목차
1.김홍도-일본화가 샤라쿠
2.신윤복과 두개의 미인도비교
2.신윤복과 두개의 미인도비교
본문내용
리가 올라가게 되어 겨드랑이 밑의 맨살이 보이고 있는 것이다. 작가의 의도가 노골적으로 전달되는 표현이 아닐 수 없다. 거기에다 저고리 앞길을 봉긋하게 하여 저고리 밑에 감추어진 젖가슴의 풍만함을 느끼게 하고 있는 것은 이 그림을 그린 화가가 관능미의 표현에 능숙한 사람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점은 신윤복이 그린 <미인도>의 여인과 비교하면 너무나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신윤복이 그린 여인은 관능적 요소를 안으로 감춘 차분하고 정적이며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해, 작가미상의 <미인도>의 여인은 감각적이고 보다 동적이며 도발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신윤복의 <미인도>가 고전주의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면, 작가미상의 <미인도>는 보다 낭만주의적인 성격의 그림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추천자료
한국 청소년 문화와 일본문화이 수용
일본 문화 개방
일본의 보수화
한국에서 일본만화의 위치와 보호론 및 산업론 현상 비판
일본의 아시아 게이트웨이 전략 구상과 전망
일본 대중 문화 수용성
일본의 국방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
일본의 성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 대중문화의 상관성 및 문화경쟁력
문화비평을 통해 본 일본의 한류 -드라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전략과 사례분석 연구(일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 축제의 비교를 통한 한국 지역 축제의 발전방향
한국과 일본의 FTA관계에 따른 칠례와의 관계
-한국과 일본의 뉴타운 사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