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속도 (온도에따른변화)결과 REPORT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응속도 (온도에따른변화)결과 RE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계산
2.결과 및 고찰
3.기호
4.인용문헌

본문내용

간(min)
NaOH적정부피
(ml)
아세트산농도
(N)
C (mol/L)
logC
5
26.5
1.06
0.5533
-0.2570
13
32.6
1.304
0.5417
-0.2662
21
33.1
1.324
0.5408
-0.2669
29
34
1.36
0.5390
-0.2684
37
35.6
1.424
0.5360
-0.2708
45
36.1
1.444
0.5350
-0.2716
45˚C
가장 마지막에 한 실험으로 가장 고온의 온도인 45 ˚C로써 세 가지 실험중 제일 정신없이 진행을 했던 실험이다. 마지막이라는 것도 있고 또 이 실험은 8분마다 측정을 하기 때문에 앞의 실험보다 시간을 정확하게 봐야한다. 앞에서는 분 단위가 0,5로 떨어졌지만 여기서는 그렇지 않고 3,1,9,7 과 같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간을 측정하는데 주위를 기울여야 한다. 아니나 다를까 실험을 하다가 시간을 한번 착각하여 30초가량 시간을 소비한 채로 적정을 하여 그 부분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시간을 정확히 맞춘다고 하여도 차이가 발생하는데 시간이 지나서 옮기다 보니 그 30초 동안에 안에서 더 많은 반응들을 했을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했다. 또 적정을 할 때 NaOH를 천천히 하다가 적정량이 더 많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을 한 나머지 많은 양의 NaOH를 한 번에 넣어서 원래의 적정량보다 많이 들어간 채 측정이 되었다. 그래서 아세트산의 농도를 구하는데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고 앞선 실험에서의 실수와 같이 뒤의 계산값에 영향을 주어 전체적인 값이 다르게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염산이 있는데 이 염산은 35%로 100%염산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65%가량 차이가 나서 우리가 직접 이 염산으로 100%의 염산을 만드는 작업도 하였다. 그 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더 넣어주어야 하는 염산의 양이고 36.46 g 은 실제 염산의 분자량으로 위와 같이 계산을 해 보면 이 나왔고 이것은 1 L일 때 양이고 우리가 사용한 염산의 부피는 1 L 의 1/4값인 250 ml로 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26.04 g에 해당하는 염산을 더 넣어주어서 우리가 원하는 100%의 염산을 얻게 되어 실험을 하는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NaOH도 250 ml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NaOH의 분자량인 39.99 g의 1/4값인 9.9975 g으로 약 10g의 NaOH를 사용하여 250 ml 의 NaOH수용액을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 1차 반응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이유를 찾아보면, 이번 실험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게 되는데 CH₃COOCH₃+ H₂O CH₃COOH + CH₃OH 여기서 CH₃COOCH₃가 가수분해를 하여 CH₃COOH + CH₃OH로 되기 때문에 1차 반응이 되고 물의 농도는 아세트산 메틸의 농도보다 훨씬 크므로 1차 속도 식을 따르게 된다.
이번 실험은 온도에 따라 반응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 보는 실험으로써 위의 결과들을 보게 되면 온도가 높은 실험일수록 농도가 더욱 진하게 나와 반응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농도의 이유로 반응속도가 빨라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1차 반응식이 농도에 영향을 받는 식이기 때문에 그 이유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온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반응 속도 상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응속도도 그와 같은 이유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기호
· 활성화 에너지 :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반응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이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가져야만 한다. 활성화 에너지 값이 크면 그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분자의 수가 적어 반응이 느리게 진행되고, 활성화 에너지 값이 작으면 반대로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이러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기위해서는촉매가 사용되며,한편 천천히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촉매가 사용된다.
· 1차 반응 :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질이 일정한 속도로 감소하거나 다른 물질로 전환되는 경우에 반응속도가 단지 한 가지의 반응물 농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반응이다.
· 가수분해 : 자연계의 화학반응 중에 물 분자가 작용하여 일어나는 분해반응이다.
4. 인용문헌
· 화학반응속도론, 이익춘 이본수 김시준 송호봉 공역, 탐구당, 1996, p 58~65, p402~410
· 일반화학, Willan L. Mast erton 외1, 자유아카데미, 2000년, p384~389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