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정성 반응
2. 실험 일시 및 기후 9월 16일. 9월 23일
3. 시약 및 기구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황산 Molish시약(95% ethanol 100ml 속에 α-naphthol 10g을 용해시켜만듬). Anthrone시약 Fehling용액A Fehling용액B
4. 서론 및 원리
2. 실험 일시 및 기후 9월 16일. 9월 23일
3. 시약 및 기구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황산 Molish시약(95% ethanol 100ml 속에 α-naphthol 10g을 용해시켜만듬). Anthrone시약 Fehling용액A Fehling용액B
4. 서론 및 원리
본문내용
/3의감미를 나타내고 물엿의 주성분이다. 환원당으로서 여러 가지성질을 나타낸다.
lactose(젖당)
- 락토스·유당이라고도 한다. 분자식 C12H22O11. β-D-갈락토실-(1,4)-D-글루코스의 구조를 갖는다. 젖당은 이름 그대로 포유류의 젖, 특히 초유 속에서 많이 발견되며, 그 양은 모유에 6.7%, 우유에 4.5% 정도 함유되어 있다. 모유 속에서는 이 밖에도 10종 이상의 소당류가 발견되는데, 이들은 모두 젖당의 골격구조로 가지고 있다. 젖당은 젖 이외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았으나, 식물의 씨에서 발견되었다는 몇 가지 보고가 있다. α, β형의 2종류가 있는데, α-락토스는 약간 단맛이 나며, 1g은 5mℓ의 물과 2.6mℓ의 온수에 녹으나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고 클로로폼이나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sucrose(자당)
-자당(蔗糖) 또는 사카로스라고도 한다. 광합성 능력이 있는 모든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사탕수수·사탕무에 많다. 사탕수수에서는 그 액즙의 20%, 사탕무에서는 15%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들은 슈크로스의 공업적 원료로 이용된다. 이 밖에 사탕옥수수·사탕단풍의 수액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Molish반응과정
Molish 실험방법
1. Molisch시약을 제조한다.(5% 나트륨용액/에탄올100ml 6ml/10g)
2. 시험관 6개를 준비한다.
3. 시료를 각 1ml씩 시험관에 넣는다.
4. Molisch시약을 2방울 각각 떨어뜨린다.
5. 시료와 시약이 섞이게 한다.
6. 1ml의 황산을 각각 취한 후 시험관에 가한다.
7. 색을 관찰한다.
실험결과 및 고찰
- 제조된 Molish용액을 준비해두고 시험관 6개에 각자 번호를 쓴 다음 각각의 시료를 시험관에 1ml씩 넣은 후 Molish시약을 조금씩 떨어뜨리고 황산을 조금씩 넣어주었더니 glucose를 넣은 1번 시험관과 fructose를 넣은 2번 시험관과 galactose를 넣은 3번 시험관 maltose를 넣은 4번 시험관에서는 모두 반응이 일어나 보라색환형이 생겼다. 하지만 lactose를 넣은 5번 시험관과 sucrose를 넣은 6번 시험관은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반응이 미약 한 것으로 보아 실험한 것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원래는 5번 시험관 lactose와 6번 시험관 sucrose또한 당이기 때문에 반응이 일어나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무슨 이유인지 보라색 환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탄수화물이 진한 황산에 의해 탈수반응을 받아서 furfural 유도체로 되며 이것이 α-naphthol과 반응하여 보라색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당류 및 다당류는 황산에 의해 글리코시드 결합이 끊어져서 단당류로 변한 다음 똑같은 물질을 만들어서 보라색환형이 생기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Anthrone 실험방법
1. Anthrone시약을 준비한다.
2. 시험관 8개를 준비한다.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starch cellulose)
3. 시료를 각 0.1ml씩 시험관에 넣는다.
4. Anthrone용액을 각각 떨어뜨린다.
5. 시료와 시약이 섞이게 한다.
6. cellulose가 들어간 시험관에는 여과지를 잘게 잘라서 넣는다.
7. 반응 직후와 30분 이후의 색을 비교 한다.
실험결과 및 고찰
- Anthrone 시약과 각각의 시료들을 준비한 후 각각의 시료를 시험관에 넣는다. 그리고 난 후 Anthrone용액을 시험관에 각각 떨어뜨리고 나서 시료와 시약이 잘 섞이게끔 흔들어준다. Cellulose가 들어간 시험관에는 여과지를 조그마하게 잘라서 넣어두고 잘 섞이게끔 흔들어준다. 반응 직후와 30 분 후의 색을 비교 하여야 하는데 Anthrone 실험은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서 성공적인 실험이 아니였다. Anthrone시약과 당이 반응 하면 청록색으로 나타나야 하지만 우리 실험은 투명한 액속에 검정색, 회색 정도로 보이는 알맹이들이 존재 하였다. 교수님의 말씀으로는 반응이 좀 덜 되었다고 기다리라고 하셨는데 시간이 지나도 우리의 실험 결과는 같았다. 왜 반응이 다 이루어 지지 않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반응이 된 것을 보지 못해서 아쉬웠다.
결론
- Anthrone시험은 반응이 안됐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 정도도 조금은 반응이 이루어 진거라서 그 정도로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 조금은 섭섭하고 아쉬웠다.
Fehling 실험방법
1. Fehling용액 A - CuSO4·5H2O 35g을 물에 녹여 500ml가 되게 한다.
2. Fehling용액 B -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Rochelle염) 73g과 NaOH 50g을 함께 물에 녹여 500ml가 되게 한다.
3.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시료 용액을 준비.
4. Fehling용액 A액의 일정량에 같은 부피의 B액을 섞은 다음 5방울 정도의 시료 용액을 넣고 끓이면서 색깔의 변화를 관찰 하여라.
실험결과 및 고찰
- 준비되어 있는 Fehling 용액 A,B를 1:1로 섞은 다음 각각의 시험관에 조금씩 넣은 다음 각각의 시료들을 5방울씩 시험관에 넣고 시료용액들을 끓이면서 관찰 한 결과 각각의 시험관 아래쪽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
- Fehling 시험은 탄수화물의 환원성에 기초를 둔 시험법이라고 한다. Fehling시험에서 CuSO4는 알칼리와 반응 하여 Cu(OH)2로 되고, 이것이 환원성을 가진 탄수화물에 의해 환원되어 적갈색의 Cu2O로 변한다.
2Cu(OH)2 → Cu2O + H2O + [O]
펠링 반응은 알데히드를 펠링용액(CuSO4 + NaOH)에 넣고 가열하면 Cu2+이 Cu2O로 환원되면서 붉은색 앙금이 생긴다. 펠링 반응은 생물의 영양소 검출 부분에서 단당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고 하는데 이는 단당류가 분자 내에 알데히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RCHO + 2Cu2+ + 4OH- → RCOOH + 2H2O + Cu2O↓
이 반응은 지방족알데히드 또는 당류에서는 양성이지만 방향족알데히드나 케톤에서는 음성을 띈다.
lactose(젖당)
- 락토스·유당이라고도 한다. 분자식 C12H22O11. β-D-갈락토실-(1,4)-D-글루코스의 구조를 갖는다. 젖당은 이름 그대로 포유류의 젖, 특히 초유 속에서 많이 발견되며, 그 양은 모유에 6.7%, 우유에 4.5% 정도 함유되어 있다. 모유 속에서는 이 밖에도 10종 이상의 소당류가 발견되는데, 이들은 모두 젖당의 골격구조로 가지고 있다. 젖당은 젖 이외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았으나, 식물의 씨에서 발견되었다는 몇 가지 보고가 있다. α, β형의 2종류가 있는데, α-락토스는 약간 단맛이 나며, 1g은 5mℓ의 물과 2.6mℓ의 온수에 녹으나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고 클로로폼이나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sucrose(자당)
-자당(蔗糖) 또는 사카로스라고도 한다. 광합성 능력이 있는 모든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사탕수수·사탕무에 많다. 사탕수수에서는 그 액즙의 20%, 사탕무에서는 15%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들은 슈크로스의 공업적 원료로 이용된다. 이 밖에 사탕옥수수·사탕단풍의 수액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Molish반응과정
Molish 실험방법
1. Molisch시약을 제조한다.(5% 나트륨용액/에탄올100ml 6ml/10g)
2. 시험관 6개를 준비한다.
3. 시료를 각 1ml씩 시험관에 넣는다.
4. Molisch시약을 2방울 각각 떨어뜨린다.
5. 시료와 시약이 섞이게 한다.
6. 1ml의 황산을 각각 취한 후 시험관에 가한다.
7. 색을 관찰한다.
실험결과 및 고찰
- 제조된 Molish용액을 준비해두고 시험관 6개에 각자 번호를 쓴 다음 각각의 시료를 시험관에 1ml씩 넣은 후 Molish시약을 조금씩 떨어뜨리고 황산을 조금씩 넣어주었더니 glucose를 넣은 1번 시험관과 fructose를 넣은 2번 시험관과 galactose를 넣은 3번 시험관 maltose를 넣은 4번 시험관에서는 모두 반응이 일어나 보라색환형이 생겼다. 하지만 lactose를 넣은 5번 시험관과 sucrose를 넣은 6번 시험관은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반응이 미약 한 것으로 보아 실험한 것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원래는 5번 시험관 lactose와 6번 시험관 sucrose또한 당이기 때문에 반응이 일어나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무슨 이유인지 보라색 환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탄수화물이 진한 황산에 의해 탈수반응을 받아서 furfural 유도체로 되며 이것이 α-naphthol과 반응하여 보라색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당류 및 다당류는 황산에 의해 글리코시드 결합이 끊어져서 단당류로 변한 다음 똑같은 물질을 만들어서 보라색환형이 생기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Anthrone 실험방법
1. Anthrone시약을 준비한다.
2. 시험관 8개를 준비한다.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starch cellulose)
3. 시료를 각 0.1ml씩 시험관에 넣는다.
4. Anthrone용액을 각각 떨어뜨린다.
5. 시료와 시약이 섞이게 한다.
6. cellulose가 들어간 시험관에는 여과지를 잘게 잘라서 넣는다.
7. 반응 직후와 30분 이후의 색을 비교 한다.
실험결과 및 고찰
- Anthrone 시약과 각각의 시료들을 준비한 후 각각의 시료를 시험관에 넣는다. 그리고 난 후 Anthrone용액을 시험관에 각각 떨어뜨리고 나서 시료와 시약이 잘 섞이게끔 흔들어준다. Cellulose가 들어간 시험관에는 여과지를 조그마하게 잘라서 넣어두고 잘 섞이게끔 흔들어준다. 반응 직후와 30 분 후의 색을 비교 하여야 하는데 Anthrone 실험은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서 성공적인 실험이 아니였다. Anthrone시약과 당이 반응 하면 청록색으로 나타나야 하지만 우리 실험은 투명한 액속에 검정색, 회색 정도로 보이는 알맹이들이 존재 하였다. 교수님의 말씀으로는 반응이 좀 덜 되었다고 기다리라고 하셨는데 시간이 지나도 우리의 실험 결과는 같았다. 왜 반응이 다 이루어 지지 않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반응이 된 것을 보지 못해서 아쉬웠다.
결론
- Anthrone시험은 반응이 안됐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 정도도 조금은 반응이 이루어 진거라서 그 정도로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 조금은 섭섭하고 아쉬웠다.
Fehling 실험방법
1. Fehling용액 A - CuSO4·5H2O 35g을 물에 녹여 500ml가 되게 한다.
2. Fehling용액 B -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Rochelle염) 73g과 NaOH 50g을 함께 물에 녹여 500ml가 되게 한다.
3.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시료 용액을 준비.
4. Fehling용액 A액의 일정량에 같은 부피의 B액을 섞은 다음 5방울 정도의 시료 용액을 넣고 끓이면서 색깔의 변화를 관찰 하여라.
실험결과 및 고찰
- 준비되어 있는 Fehling 용액 A,B를 1:1로 섞은 다음 각각의 시험관에 조금씩 넣은 다음 각각의 시료들을 5방울씩 시험관에 넣고 시료용액들을 끓이면서 관찰 한 결과 각각의 시험관 아래쪽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
- Fehling 시험은 탄수화물의 환원성에 기초를 둔 시험법이라고 한다. Fehling시험에서 CuSO4는 알칼리와 반응 하여 Cu(OH)2로 되고, 이것이 환원성을 가진 탄수화물에 의해 환원되어 적갈색의 Cu2O로 변한다.
2Cu(OH)2 → Cu2O + H2O + [O]
펠링 반응은 알데히드를 펠링용액(CuSO4 + NaOH)에 넣고 가열하면 Cu2+이 Cu2O로 환원되면서 붉은색 앙금이 생긴다. 펠링 반응은 생물의 영양소 검출 부분에서 단당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고 하는데 이는 단당류가 분자 내에 알데히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RCHO + 2Cu2+ + 4OH- → RCOOH + 2H2O + Cu2O↓
이 반응은 지방족알데히드 또는 당류에서는 양성이지만 방향족알데히드나 케톤에서는 음성을 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