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유리기구검정 Calibration of Volumetric Glassware 4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표
2. 실험 원리
3. 실험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

본문내용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0~10㎖
0.008
0.011
0.008±0.027
10~20㎖
0.022
0.043
0.022±0.106
20~30㎖
0.025
0.003
0.025±0.007
30~40㎖
0.011
0.028
0.011±0.069
40~50㎖
0.001
0.003
0.001±0.007
◆ 표준편차
∴ S (S = 표준편차, = 오차값, = 평균오차값)
※ 0~10㎖
= 0.011
※ 10~20㎖
= 0.043
※ 20~30㎖
= 0.003
※ 30~40㎖
= 0.028
※ 40~50㎖
= 0.003
<95% 신뢰구간>
( = 평균오차값, t = student의 t , s = 표준편차, n = 횟수)
※ 0~10
= 0.008±0.027
※ 10~20
= 0.022±0.106
※ 20~30
= 0.025±0.007
※ 30~40
= 0.011±0.069
※ 40~50
= 0.001±0.007
<피펫>
횟수
weighing bottle(g)
weighing bottle(g)+증류수
증류수(g)
참부피(㎖)
오차(㎖)
1
44.818
68.813
24.995
25.030
+0.030
2
44.818
94.704
24.891
24.926
-0.074
3
44.769
69.757
24.988
25.023
+0.023
※ 평균
{ 0.030 +(-0.074)+ 0.023 } ÷ 3 = -0.007
※ 표준편차
= 0.058
※ 신뢰구간
μ = -0.007 ±
= -0.007 ± 0.144

◆ 100㎖ flask
횟수
플라스크 무게(g)
플라스크 +
증류수(g)
증류수(g)
참부피(㎖)
오차(㎖)
1
62.34
162.305
99.965
100.105
0.105
2
62.029
161.98
99.951
100.090
0.090
3
62.335
162.41
100.075
100.215
0.215
※ 평균
0.105+0.090+0.215 ÷ 3 = 0.137
※ 표준편차
= 0.045
※ 신뢰구간
μ = 0.137 ± = 0.137±0.112
◆ 250㎖ 플라스크
횟수
플라스크 무게(g)
플라스크 +
증류수(g)
증류수(㎖)
참부피(㎖)
오차(㎖)
1
130.84
380.72g
249.88g
250.23
0.23
2
131.222
381.29g
250.07g
250.42
0.42
3
131.121
381.08g
249.95g
250.30
0.30
※ 평균
(0.23 + 0.42 + 0.30)÷3 = 0.31
※ 표준편차
= 0.10
※ 신뢰구간
μ = 0.31 ± = 0.31±0.25
◆ 500㎖ 플라스크
횟수
플라스크 무게(g)
플라스크 +
증류수(g)
증류수(㎖)
참부피(㎖)
오차(㎖)
1
172.73g
672.57g
499.84g
500.54
0.54
2
172.47g
672.32g
499.85g
500.55
0.55
3
172.80g
672.57g
499.77g
500.47
0.47
* 표준편차
S =
= 0.291
* 신뢰구간
μ = 0.52 ± = 0.52±0.723
고찰
이번 실험은 뷰렛, 피펫, 플라스크의 부피를 보정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이제부터 분석화학실험에서 해야 하는 모든 실험의 기초가 되는 것이었기에 더욱더 정밀한 실험을 해야 했다. 그리고 또한 더욱 더 정밀한 실험을 하기 위해서 이번실험이 가장중요 했다. 우리 실험도구는 A급 실험도구를 쓰고 있지만 우리고 실험했을 때는 오차가 많이 나왔다. 오차를 생각해보면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실험과정에서 작은 물방울, 먼지, 지문 등 이 묻었다. 0.001 까지 감지하는 저울에서 바람 등 여러 가지 많은 변수들이 오차를 나게 한 원인이었다. 또 저울에 물이 묻어있어 그것도 오차의 원인이 되었다.
두 번째는 용기의 건조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난거 같다. 플라스크의 경우 입구가 좁아 건조시키기 더욱이 힘들기 때문이 작은 물방울에도 오차가 많이 나기 때문에 플라스크의 경우 오차가 더욱더 크게 나온 것 같다.
세 번째는 눈금을 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더욱이 오차가 많이 난다. 정확한 눈금에 물높이를 맞추어야 되지만 시각적으로는 그것이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오차가 여기서 나온다. 시각적으로 더욱더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다면 오차가 많이 줄어들것 이다.
이번 실험에서 많은 걸 알았다. 화학에서의 실험에서 작은 오차라도 분자 수준을 다루는 화학에서 많은 오차가 난다는 것이다. 이번 실험으로 인해 더욱이 정확한 실험을 하도록 노력해야겠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