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의 진경산수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물이 휘돌아 간다. 늙은소나무, 굳센바위, 그리고 맑은물, 이모두는 옛부터 좋은벗의 상징이다. 이셋은 조선을 대표하는 뛰어난 화가와 빼어난 시인이 만고에 모범이 될 우정을 나누는 이 그림에 참으로 걸 맞는 소재가 아닐 수 없다.
서양인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미의 원형이 인간의 신체였던 반면 우리의 옛 그림에서 가장 존종 하는 분야는 산수화였고 그중에서 중시되는 소재는 산, 물, 바위, 나무였다. 특히 바위는 옛 분들이 가장 즐겨 그렸던 소재로 괴석도 처럼 따로 그려진 예가 많다. 돌은 너무나도 흔히 보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특별하고 강력한 존재감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돌은 억겁의 긴 세월동안 형성된 것이고 영원히 변치 않는 그 무엇이다. 돌은 겉보기엔 거칠고 추하지만 그 외 양 안쪽엔 사람들조차 본받기 어렵다고 하는 굳센 정신을 간직하고 있다.
정선이 인왕제색도에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친구 이병헌의 모습을 비가 개어가는 인왕산 거대한 바윗덩어리로 그린 것은 그 때문이다. 우리 옛 그림속의 자연은 그저 단순한 객관적인 자연이 아니고, 항상 자연인 동시에 사람이며 자연이 위대한 만큼 거기엔 자연의 위대함을 지닌 참사람의 모습이 들어있다.
정선회화의 의의
정선의 회화가 지닌 의의는 여러 가지로 얘기할 수 있겠으나 크게 묶어서 보면, 가장 한국적인 산수화풍을 창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미술과 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과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큰 귀감이 되고 많은 교훈을 준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의 회화가 제시하는 교훈에 관해서도 사람에 따라 견해가 다를 가능성이 있으나 그는 가장 한국적인 화풍을 창출하는 것이 한국의 화가에게 부여된 제일 소중한 임무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가장 크고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과 타고난 재주와 끊임없는 노력의 겸비가 작가의 성장에 필수적인 점이라는 것이다. 또 전통을 착실하게 계승하고 외래미술을 현명하게 수용하여 자기화하는 것이 창작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며 끊임없이 공부하고 사색하며 많은 여행을 하는 것이 대가로 성장하고 격조 높은 작품을 낳는데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고금의 좋은 작품들을 박람하는 것이 작가로써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정선회화가 우리에게 보여주고 나타내고 주는 교훈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점이 우리에게 살아 있으며 새 미술문화의 창출을 위한 밑거름이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