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참 닫혀있는 세상이다. 이 장면으로 목욕탕과 바깥세상의 대조를 짧지만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목욕탕처럼 서로의 맨살을 의식하지 않고, 서로를 가리 않아도 느낄 수 있는 따뜻한 공간이 우리에겐 없는 것일까. 물론 아담과 이브와 같은 삶을 꿈꾸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서로가 서로에 대해 꾸밈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대화가 되고 통할 수 있는 세상을 원하는 것이다. 목욕탕을 나가는 영화의 주인공들은 마치 굉장한 휴가를 즐긴 듯이 행복하고 부유해 보인다. 그녀들은 정말 지상 최대의 휴양지에 갔다 온 건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평소에 너무나도 사소하게 보았던, 그리고 영화의 소재로 쓸 엄두조차 못 내었던 그런 공간과 소재를 참 담담하게 그리고 깔끔하게 담아내었다.
추천자료
영화에 나타난 페미니즘
<자유부인>과 <지옥화> : 1950년대 근대성과 매혹의 기표로서의 여성 섹슈얼리티
[국어작문] 여성 성억압의 실태 및 문제점과 대안문화의 연구
성과 사회-영상매체 속에 나타난 여성상에 대한 고찰
영화 속 장애인의 묘사
영화를 통해 알아보는 페미니즘과 그 효과 -영화 ‘자유부인’, ‘금발이 너무해’, ‘뜨거운 것이...
<아저씨> 남성, 그리고 여성
허란설헌의 <규원가> - 여성으로서의 저항과 갈구
페미니즘 영화 연구분석- 페미니즘의 정의와 발생 배경,페미니즘 영화의 출현,영화 분석-하녀...
[한국영화사] 1980년대 영화사
포스트 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한 여성의 정체성
[국어국문학과 B형] 영화 ‘봄베이’, ‘아쉬람’, ‘로봇’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쓰되, ...
[세계의역사C]영화 “와즈다”, “소스”, “아빠와 함께”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쓰되,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