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저씨> 남성, 그리고 여성
1. 텍스트 선정이유
2. 서론
3. 본론
-태식의 미완성의 남성성
-소미와 람로완, 그리고 태식
-영화 속 여성들
-소미로 대표되는 여성과 사회의 관계
-정말 무서운 것은?
4. 결론
※참고 자료
1. 텍스트 선정이유
2. 서론
3. 본론
-태식의 미완성의 남성성
-소미와 람로완, 그리고 태식
-영화 속 여성들
-소미로 대표되는 여성과 사회의 관계
-정말 무서운 것은?
4. 결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여성인데, 이 여성이 죽은 후 태식이 죽은 줄 알고 들어간 람로완이 뒤에서 태식에게 공격을 당한다. 그리고 화장실 칸 안에서 그녀의 시체를 앞에 두고서 둘은 서로 대적하여 싸운다.
(변아로미 역)또한 마찬가지이다.
-정말 무서운 것은?
액션영화, 그 중에서도 단순한 깡패의 영화가 아닌 사람 고기 장사 장기 매매
하는 사람들과 특수 요원의 죽고 죽이는 살인 현장은 치열하고 잔혹하게 그려졌다. 그러나 영화의 절정에서 보이는 장면들보다 더욱 치열한 것은 그 속에 담겨진 사회상이다. 어떻게 보면 남성을 위한, 남성을 우열에 둔 이 영화는 전형적인 남성우월주의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속에 새겨진 여성은 단순히 ‘당하는’존재로 인식되어진다. 이전부터 사회로부터 ‘당하고’있었던 소미의 말은 그 나이대의 아이들이 할 수 있을 만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소미는 이미 그 나이 대를 넘어서는 성숙함과 또래의 시선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소미는 사람에 대한 믿음과 그에 대해 관망하는 자세로 세상을 본다. 그녀가 납치되고 난 이후에 직접적으로 해를 가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모두 남성이다. 그녀가 바라보는 세상은 자신을 위협하는 남성, 아직 크지 못한 남성인 아저씨로 이분화 된다. 이 중에서 진정한 세상의 남성이라고 대변되는 사람은 없었다. 우리는 여기서 소미의 이분화된 남성상을 우리의 시선에 맞출 수 있다. 여성들이 정말로 무서워해야하는 것은, 이 영화 속 남성들의 위치와 사회상이다.
4. 결론
<아저씨>에서 태식은 결국 소미를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다. 소미의 엄마가 죽은 후 소미가 물건을 훔쳤던 문방구의 할아버지에게 소미를 부탁만 하고 결국 태식은 자신의 죗값을 치루기 위해 감옥으로 가게 된다. 자신을 위기의 순간들에서 구해준 단 두명의 존재는 그녀의 곁에서 멀어졌다. 어떻게 보면 해피엔딩으로 보이는 마지막은 또다시 홀로 사회에 남겨져 자신에게 가해질 해는 변하지 않을 하나의 수레가 되어 그녀를 덮치는 것과 진배없다. 그녀는 하나의 고비를 ‘도움’으로 인해서 넘어간 것이다. 사회 속에서 여성, 아동이라는 먹이사슬의 밑에 자리 잡은 그녀의 위치는 그대로이다. 앞으로 그녀가 겪어야하는 사회적 숙명은 영원히 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참고 자료
이정범, <아저씨>, 2009
오세형, 「아저씨라는 호명의 숨은 뜻」, 2010.08.26
김혜리, 「순결한 여성을 위해 피 흘리며 구원을 소망한다」, 2010.08.04
(변아로미 역)또한 마찬가지이다.
-정말 무서운 것은?
액션영화, 그 중에서도 단순한 깡패의 영화가 아닌 사람 고기 장사 장기 매매
하는 사람들과 특수 요원의 죽고 죽이는 살인 현장은 치열하고 잔혹하게 그려졌다. 그러나 영화의 절정에서 보이는 장면들보다 더욱 치열한 것은 그 속에 담겨진 사회상이다. 어떻게 보면 남성을 위한, 남성을 우열에 둔 이 영화는 전형적인 남성우월주의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속에 새겨진 여성은 단순히 ‘당하는’존재로 인식되어진다. 이전부터 사회로부터 ‘당하고’있었던 소미의 말은 그 나이대의 아이들이 할 수 있을 만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소미는 이미 그 나이 대를 넘어서는 성숙함과 또래의 시선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소미는 사람에 대한 믿음과 그에 대해 관망하는 자세로 세상을 본다. 그녀가 납치되고 난 이후에 직접적으로 해를 가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모두 남성이다. 그녀가 바라보는 세상은 자신을 위협하는 남성, 아직 크지 못한 남성인 아저씨로 이분화 된다. 이 중에서 진정한 세상의 남성이라고 대변되는 사람은 없었다. 우리는 여기서 소미의 이분화된 남성상을 우리의 시선에 맞출 수 있다. 여성들이 정말로 무서워해야하는 것은, 이 영화 속 남성들의 위치와 사회상이다.
4. 결론
<아저씨>에서 태식은 결국 소미를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다. 소미의 엄마가 죽은 후 소미가 물건을 훔쳤던 문방구의 할아버지에게 소미를 부탁만 하고 결국 태식은 자신의 죗값을 치루기 위해 감옥으로 가게 된다. 자신을 위기의 순간들에서 구해준 단 두명의 존재는 그녀의 곁에서 멀어졌다. 어떻게 보면 해피엔딩으로 보이는 마지막은 또다시 홀로 사회에 남겨져 자신에게 가해질 해는 변하지 않을 하나의 수레가 되어 그녀를 덮치는 것과 진배없다. 그녀는 하나의 고비를 ‘도움’으로 인해서 넘어간 것이다. 사회 속에서 여성, 아동이라는 먹이사슬의 밑에 자리 잡은 그녀의 위치는 그대로이다. 앞으로 그녀가 겪어야하는 사회적 숙명은 영원히 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참고 자료
이정범, <아저씨>, 2009
오세형, 「아저씨라는 호명의 숨은 뜻」, 2010.08.26
김혜리, 「순결한 여성을 위해 피 흘리며 구원을 소망한다」, 2010.08.04
추천자료
성차별 여성과 남성
미즈의 남성과 여성
델마와루이스에 나타난 여성상과 남성상에 관한 내용
페미니즘 -남녀평등인가 남성배타적 여성우월주의인가
대중매체속의 여성과 남성
원시시대 남성과 여성의 사회생활이 뇌의 구조와 기능에 미친 영향
성의 생물학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
대중매체속의 여성과 남성
광고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
가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역할과 성역할의 사회화
현대인의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관해서
진화 이론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파트너 선택에 서로 어떤 기준을 사용하며, 왜 그러하다고 설...
첫 만남에 여성이 남성에게 가지고 있는 심리
광고 속에서 여성과 남성의 달라진 모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