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당귀 재배][당귀 품종][당귀 병충해방제][약재][한약재]당귀의 성상, 당귀의 분포, 당귀의 용도, 당귀의 재배기술(당귀의 재배적지, 당귀의 재배법, 당귀의 품종선택), 당귀의 병충해방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귀][당귀 재배][당귀 품종][당귀 병충해방제][약재][한약재]당귀의 성상, 당귀의 분포, 당귀의 용도, 당귀의 재배기술(당귀의 재배적지, 당귀의 재배법, 당귀의 품종선택), 당귀의 병충해방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당귀의 성상

Ⅱ. 당귀의 분포와 용도
1. 종류 및 분포
2. 주요성분
1) 참당귀
2) 일당귀

Ⅲ. 당귀의 재배기술
1. 재배적지
1) 기후
2) 토양
2. 재배법
1) 직파재배
2) 온상육묘 이식재배
3) 노지육묘 이식재배
3. 품종선택
1) 품종
2) \"만추당귀\"의 주요특성
3) 재배상 유의점

Ⅳ. 당귀의 병충해방제
1. 점무늬병(班點病) Leaf spot
2. 갈색점무늬명(褐色班點病) Brown leaf spot
3. 줄기썩음병(莖腐病) Stem rot
4. 파총채벌레
5. 노린재
6. 흰띠거품벌레
7. 진딧물
8. 바구미
9. 산호랑나비
10. 명나방
11. 잎말이나방
12. 응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체는 줄기 밑부분에서부터 갈색으로 변색되어 썩으며 지상부위가 푸른 채로 시든다.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뿌리까지 썩고, 식물체가 말라죽는다. 예방은 당귀의 연작을 피하고 병든 잎이나 뿌리를 제거해 준다. 당귀의 이병에 적용되는 고시된 약은 없으며, 다른 작물의 적용약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약해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한다.
4. 파총채벌레
전 생육기간에 발생되며, 성충과 유충이 줄기, 잎, 꽃을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은백색의 흔적과 작은 반점이 생긴다. 새순부위가 피해를 받으면 잎이 기형이 되거나 오그라들며 심하면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죽는다.
5. 노린재
8~10월 많이 발생하며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를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주로 순부위, 꽃, 열매에 발생되며 피해받은 순은 기형이 되거나 황갈색 반점이 생긴다. 피해부위는 잎이 자람에 따라 확장되어 불규칙한 구멍이 생긴다. 꽃이 피면 꽃부위에 모여 흡즙하므로 종자는 쭉정이가 많이 생긴다.
6. 흰띠거품벌레
성충은 6월 하순~10월까지 발생하나 7월에 가장 발생이 많다. 약충은 줄기와 잎자루 기부가 만나는 부위에서 백색 거품을 분비하고 그 속에서 줄기를 흡즙한다. 배설물과 거품벌레의 분비물이 지저분하게 엉켜있다.
7. 진딧물
6월 상순부터 발견되며 7월 상순경에 피해와 발생이 많다. 새순이나 어린잎 뒷면에 기생하여 흡즙한다. 피해받은 잎은 생육이 부진하고 잎이 정상적으로 펴지지 않고 오글오글하게 말린다.
8. 바구미
6월~10월 하순 피해와 발생이 많다. 유충은 천궁, 당귀의 줄기내부를 심식하며 피해 줄기는 점차 말라죽는다. 줄기조직 내부에 산란하여 산란부위에 구멍이 생긴다.
9. 산호랑나비
섭식량이 많아서 줄기만 남기고 잎을 갉아먹는다. 유충은 잎과 어린줄기를 잘 먹지만, 꽃, 열매도 피해를 준다. 주로 산간지에서 피해가 많다.
10. 명나방
서늘한 산간지역에서 많이 발생된다. 유충이 실을 토해 잎을 묶고 그 속에 살면서 주변의 잎을 식해하고 어린 유충이 잎뒷면에 집단으로 가해한다. 잎의 표피만 남으므로 쉽게 발견된다.
11. 잎말이나방
6월~9월 발생되며 유충은 잎자루 기부와 줄기 사이로 침입하여 심식한다. 개화전에는 유충이 꽃봉오리에 침입하여 피해를 준다. 배설물을 내므로 피해 부위는 배설물로 인해 지저분하고 피해부분이 말라죽는다.
12. 응애
연간 9~11회 발생되며 여름철 고온건조시 발생량이 많다. 피해초기에는 잎에 흰색 반점이 생기고 피해가 진전되면서 잎이 갈색으로 변하며 마른다. 잎 뒷면에 기생하므로 초기발견이 어렵고 순식간에 퍼져 피해를 준다. 방제약제로는 아씨틴(페로팔)1,500배, 치아스(닛쏘란)2,000배, 펜프로유제(타니톨) 1,000배액을 살포해 준다.
참고문헌
김호철(2001) - 한약 약리학, 집문당
김태정(1993) - 약이 되는 야생초, 서울 : 대원사
김태정(1994) - 약용식물, 서울 : 대원사
본초학(1991), 영림사
한방양생 - http://www.ongjin.go.kr/ongjin2003/health/body4_120.html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