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봉농악][필봉풍물굿]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유래,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구성과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역할 및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가락보 그리고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전수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필봉농악][필봉풍물굿]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유래,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구성과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역할 및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가락보 그리고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전수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유래

Ⅱ.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구성과 역할
1. 꽹과리의 역할
2. 징의 역할
3. 장고의 역할
4. 북의 역할
5. 소고의 역할
6. 잡색의 역할

Ⅲ.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가락보
1. 호허굿
2. 풍류굿

Ⅳ.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전수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덩







※ 계속 치다가 ‘허이’에서 상쇠가 신호를 주면 돌호허굿으로 넘어간다.
ㄷ. 돌호허굿
호허굿의 첫 번째, 두 번째 줄만 바꾸어 호허굿보다 빨리 친다.



-지갱


(호
호)



허이



-기닥


(호
호)



허이
ㄹ. 자진호허굿

지갠


-지







-지




기닥


-쿵







-쿵



ㅁ. 중삼채


































ㅂ. 맺이가락①
ㅅ. 휘모리
ㅇ. 짝두름

(듯깨)
듯깨
(듯깨)
듯깨
(듯깨)
듯깨
(듯깨)
※ ( )는 부쇠 , 징은 치지 않는다. 장구는 휘모리 및 그 변타를 친다.
ㅈ. 휘모리
2. 풍류굿
여러 가지 춤을 추면서 가장 즐겁게 놀 수 있는 가락이다. 푸지게 치도록 한다.
- 순서
인사굿 - 이음새 - 느린 풍류 - 반풍류 - 이음새 - 빠른 갠지갱 - 맺이가락② - 휘모리
ㄱ. 인사굿




개개








더더




ㄴ. 이음새
(징)

(징)

(징)
지갠







기닥


ㄷ. 느린 풍류






지갱




(읏)



지갱








기닥








기닥


ㄹ. 반풍류





지갱




(읏)



지갱



















ㅁ. 이음새

- 지




- 지




- 지



- 지

- 지




- 기




- 기




- 기



- 쿵

- 기



ㅂ. 빠른 갠지갱



- 지




- 지


- 지


- 지




- 지






















ㅅ. 맺이가락②


































ㅇ. 휘모리 ( 짝두름 )
Ⅳ. 필봉농악(필봉풍물굿)의 전수
필봉 농악은 좌도농악을 대표하며,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서 전승되고 있다. 이는 농악의 원형인 8마당을 제대로 전승하고 있다. 필봉농악 전수관을 지어서 호남 좌도 농악의 원형을 이어가고 있다. 1984년 남원군 보절면 금다리 호동마을로 이사하였지만 필봉마을에 있을 때 보다 더욱 많은 사람들이 풍물굿을 배우기 위하여 양순용을 찾아오게 되었다.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풍물굿을 배우려는 사람이 많아져 더 이상 마을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여 남원시 주생면에 있는 폐교된 학교에서 풍물굿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겨울방학동안 120개팀 1500여 명, 6월, 7월, 8월 여름방학 동안 160개 단체 1,700명이 풍물굿을 배우러 왔다. 그리고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 전수회관이 건립되어 일반인과 학생들이 필봉풍물굿을 배우러 오게 되어 37팀 800명에서 40팀 1143명이 다녀갔다. 이와 같이 많은 인원을 수용하기 위하여 남원에서도 전수를 하고 필봉리 전수회관에서도 전수를 하였다. 뒤에 필봉리 전수관이 계속해서 신축건물을 착공하기 시작하면서 겨울부터 전수생들을 필봉리 전수관에서 수용하게 되었다. 전수관의 운영에 필요한 자금의 조달은 학생들의 1주일 학습비를 비롯한 재단의 도움으로 운영되어진다.
학생들에게 풍물굿을 가르치는 전수조교들은 임실필봉농악보존회 회원들이며, 이들은 전수기간에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그 외에는 1년에 3회정도 문화재보호재단의 주최로 서울놀이마당에서 공연을 갖거나, 일본이나 미국으로 초청공연을 하러가기도 한다. 그래서 이들은 여름겨울방학 동안의 전수기간 동안은 물론 공연 연습을 위해서 전수관에서 오랫동안 생활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들 필봉농악회원들은 전수조교을 번갈아 가면서 하는데 대개 젊은 사람위주로 조교를 맞고 있다. 필봉굿 상쇠인 양진성 선생님의 경우는 필봉굿을 배우러 몰려드는 학생들에게 계속해서 지도를 하고 계신다.
참고문헌
김헌선 - 김헌선의 사물 놀이 이야기, 풀빛
김원호 - 풍물굿 연구, 학민사, 1999
민족학회 -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 아카데미, 1994
유무열 - 농악 민족문화추진회, 1986
필봉굿 홈페이지 - (www.pilbong.net)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