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의의,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편성과 절차,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기초,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호흡지도와 장단지도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의의,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편성과 절차,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기초,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호흡지도와 장단지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의의

Ⅲ.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편성
1. 악기
2. 편성

Ⅳ.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절차

Ⅴ.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기초
1. 악기 구성
1) 쇠(꽹과리)
2) 징
3) 장고
4) 북
5) 소고
6) 나발
7) 날라리(태평소)
2. 풍물의 구성 요소와 그 특징
1) 가락
2) 춤
3) 진풀이
4) 잡색
5) 노래
6) 사설
7) 재주
8) 놀이

Ⅵ.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호흡지도
1. 앉은 자세에서의 호흡법
1) 상하호흡법
2) 전후호흡법
3) 좌우 호흡법
2. 선 자세에서의 호흡법
1) 상하호흡법
2) 전후호흡법
3) 좌우 호흡법

Ⅶ.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장단지도
1. 장단의 원칙
2. 장단과 호흡
1) 굵은 실선
2) 점선
3) 가는 실선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2박자 호흡법
좌우호흡을 2박자호흡으로 하는 경우는 3박자로 하는 경우에 비해 좀 더 빠른 동작과 호흡이 필요하다. 상체를 오른쪽으로 숙였다가 펴는 호흡①’과, 왼쪽으로 숙였다가 펴는 ‘호흡②’를 번갈아 가면서 하게 되는데 항상 동작이 끊이지 않고 연결되게 한다.
2. 선 자세에서의 호흡법
1) 상하호흡법
선 자세에서 호흡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오금질’이다. 오금질은 ‘오금을 준다’라는 말로도 표현을 하며 이는 단순히 무릎을 올리고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리의 탄력을 주어 내려갈 때에는 다소 빠르게, 올라올 때에는 다소 느리게 진행된다.
우선 몸을 똑바로 세워 전신의 긴장을 풀어 힘을 빼고 다음으로 오금을 내리는데 이때 엉덩이가 뒤로 빠지거나 상체가 앞으로 쏠리지 않고 똑바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 3박자 호흡법
무릎을 붙이고 호흡하다가 익숙해지면 몸의 왼쪽, 오른쪽을 번갈아 가면서 중심을 바꾸는 단계도 익숙해져야 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음과 같이 두 장단을 연결하여 호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2박자 호흡법
2박자 호흡에서는 정간 두 칸마다 번갈아 가면서 오금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호흡이다. 이 호흡을 할 때에는 3박자에서처럼 오금을 펼 때 천천히 올라오는 것이 아니고 굽힐 때와 같은 속도로 펴주어야 한다.
2) 전후호흡법
이 호흡법은 오금을 줄 때 고개를 앞쪽으로 숙였다가 다시 제자리로 오면서 호흡하는 방법이다. 우선 오금을 가볍게 내린다. 이 때 고개가 아래쪽을 향하여서 내려가는 동작이 되어야 하고 다음에 이어서 오금과 함께 상체를 펴는 동작이 이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상체를 편 상태로 오금을 굽히며 몸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고 이 동작에 이어서 무릎의 탄력을 이용하여 다시 오금을 들어올리며 고개를 든다.
· 3박자 호흡법
앞으로 오금을 굽혔다 펴는 동작이 고개를 숙였다 펴는 동작과 함께 하는 ‘호흡①’과, 오금과 호흡은 똑 같지만 상체를 똑바로 편 상태에서 움직이는 ‘호흡②’가 끊기지 않고 연결된 동작으로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
제자리에서 오금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하고 나서는 천천히 걸으면서도 똑같은 호흡법이 되도록 익힌다.
· 2박자 호흡법
2박자 호흡법에서는 정간 두 칸마다 번갈아 가면서 오금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호흡으로 이 때 상체를 굽혔다 펴는 동작도 함께 반복해야 한다.
강박이 되는 ‘하’, ‘두’, ‘세’, ‘네’의 길이가 그 다음에 이어지는 정간의 길이에 비해 길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오금을 굽혔다가 펴면서 고개를 숙이고 올리는 ‘호흡①’과, 상체를 편 상태에서 오금을 굽혔다가 펴는 ‘호흡②’가 연결된 동작으로 나타나야 하며, 호흡의 세기와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3) 좌우 호흡법
기본자세로 서고 나면 오금을 내리며 오른쪽으로 얼굴을 향한다. 그리고 나면 원래의 기본자세로 돌아오면서 굽혔던 오금을 부드럽게 편다. 정면으로 돌아오면 얼굴을 왼쪽으로 향하게 오금을 내리고 다시 정면을 향해 돌아오면서 오금을 올린다.
위의 네 가지 동작을 할 때에는 얼굴을 오른쪽으로, 왼쪽으로 돌리는 동작에서 ‘앉은 자세에서의 호흡법’에서처럼 상체까지 같이 돌아가지 않도록 해야 하며 얼굴방향을 바꿀 때 기계적인 동작이 되지 않게 탄력을 주도록 한다.
· 3박자 호흡법
호흡이 시작되고 나서 끝날 때까지 좌우로 움직이는 동안 멈춰지는 동작 없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오금을 주어야 한다.
앞으로 얼굴을 오른쪽으로 돌렸다가 정면으로 향하는 ‘호흡①’과, 반대로 왼쪽으로 돌렸다가 정면을 향하는 ‘호흡②’가 끊기지 않고 연결된 동작으로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
· 2박자 호흡법
좌우호흡을 2박자로 하는 경우는 3박자에 비해 좀 더 빠른 동작으로 호흡과 함께 오금을 움직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얼굴을 오른쪽으로 돌렸다가 제자리로 오면서 오금을 굽히고 펴는 ‘호흡①’과, 반대로 얼굴을 왼쪽으로 돌렸다가 제자리로 오면서 오금을 굽히고 펴는 ‘호흡②’를 반복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면 처음부터 끝까지 자연스러운 몸동작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Ⅶ. 풍물놀이지도(풍물굿교육, 농악학습)의 장단지도
1. 장단의 원칙
· 첫박을 강하게 친다.
· 내고- 달고- 맺고- 푼다.
· 하나의 박자를 세개의 작은 박으로 나눈 강, 약, 중의 구조이다
2. 장단과 호흡
한 장단속에서 가락이나 춤사위(몸동작)에 따라 호흡은 변한다.
← 한배 →
← 작은한배 →
분박






1) 굵은 실선
호흡이 시작되는(내려가는) 선
2) 점선
한 분박을 나누는 선(생략 가능)
3) 가는 실선
호흡이 나누어지는(올라가는) 선
Ⅷ. 결론 및 시사점
장구채를 어색스럽게 잡고 열심히 소리를 내어본다. 생각보다 어렵고 이상하다고 찡그려 보기도 하고 웃어보기도 하면서 열심히 쳐 본다. 차차 장구에 익숙해지고 여러 가지 악기에 손이 가면서 교사가 치던 가락을 흉내 내어 본다. 교사가 들어보아도 제법이다. 이렇게 하여 신명나는 사물놀이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사물놀이만 하다보면 악기를 메고 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 장구를 메는 법, 북을 메는 법, 꽹과리를 잡는 법 등을 배우고, 가서는 투박하게 힘이 솟는 풍물놀이 장단을 치게 된다. 상모를 돌리고 좌반 뒤집기도 해본다. 아동들은 매우 신기하여 고된 연습도 마다하지 않고 흥에 겨워 시간 가는 줄을 모른다. 이렇듯 풍물굿 한마당은 심장의 고동과 맥박을 꿈틀거리게 하는 놀라운 힘과 흥겨움을 가지고 있어 아이들은 지칠 줄 모르고 배우려 한다.
이러한 아동들에게 풍물놀이지도를 통해 꿈을 갖게 해 주고 , 나아가 우리 전통 문화의 저변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배(1990) - 농악장단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풍물놀이의 기초표현 기능 신장
봉천놀이마당 - 민속교육 자료집, 서울 : 우리교육
우미자(1999) - 호남좌도 풍물굿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무열(1986) - 농악, 민족문화추진회
이태호·이성호 - 풍물굿의 현재와 앞으로의 과제 그리고 미래,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정병호 저(1986) - 농악, 서울 : 열화당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