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2. 본론 2
가. 대중문화의 의미 2
나. 대중문화의 특징 3
다. 대중문화의 긍정적 측면 4
라. 대중문화의 부정적 측면 5
3. 결론 6
2. 본론 2
가. 대중문화의 의미 2
나. 대중문화의 특징 3
다. 대중문화의 긍정적 측면 4
라. 대중문화의 부정적 측면 5
3. 결론 6
본문내용
화가 고급문화의 수준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이 있으나 이는 고급문화를 독점했던 계층이 자신들의 영역이 무너지는 데 대한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은 누구나 각자의 취향에 따라 문화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가 저급하므로 무조건 배척해야 하고 고급문화를 옹호해야 한다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대중문화의 부정적 측면
앞서 알아본 대로 대중문화는 긍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중문화는 상업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대중의 말초적 흥미에 영합하기 위해 실질이 배제된 표피적이며 감각적인 문화를 사회에 전파시킴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의 문화적 수준을 저급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비판 받아 마땅할 것이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세계를 묘사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수용하는 대중들은 현실과 다른 환상의 세계에 빠지게 되며, 현실을 도피하게 되는 수동적 인간으로 전락시킨다. 그리고 섹스·폭력·모험 등을 주된 소재로 삼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에게 반사회적인 행동규범을 가르치며, 사치와 낭비의 풍조를 만연 시키고, 황금만능주의를 전파시킨다. 특히 이러한 대중문화의 역기능은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일탈행위를 부추기며, 예외적인 병리현상을 과장하거나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사회의 미풍양속을 해친다. 그리고 현실보다 화려한 세계를 묘사하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상대적 박탈감을 만연시켜 사회불안의 요인이 되며, 좌절감과 욕구불만을 증폭시켜 비행과 범죄를 자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는 문화의 획일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문화의 발전을 저해한다.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대중문화란 무엇인지, 대중문화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대중문화는 어떤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중문화는 분명 저급하고 무조건 배척해야하는 문화이고, 고급문화는 옹호해야하는 문화라는 점은 분명 아니다. 분명 대중문화는 충분히 그 순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분명 대중문화는 치명적인 역기능을 지녔다. 대중의 취향에 따라 개별화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대량화 획일화의 문제, 현실을 왜곡시키고 지배 집단의 이익을 정당화하기 위한, 사실은 거짓된, 그렇지만 대중이 추종하는 신념인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하는 탈정치화 문제. 이러한 문제는 분명 대중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치명적인 역기능이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싸게 대량 유통되는 문화상품 지배예전에는 접근이 거부됐던 문화적 접근을 대중에게 허용한 것은 아닌가? 이러한 양적 증가도 진정한 예술의 민주화가 아니라 교양의 상실과 무질서의 증가만을 가져오게 만들었다. 대중문화의 주인은 대중이 되어야하지만 지금 우리네 세상에서는 대중문화의 주인은 대중이 아닌 듯하다. 몇몇의 권력자들은 언론을 통제하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바꾸어 방송한다. 그럼 우리 대중들은 그것이 옳은 것이라고 믿게 된다. 상황이 이러한데 우리가 지금 대중문화의 주인이라고 말 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우리가 산 TV에 주인이 아닌 TV에 노예가 아닌가?
대중문화의 부정적 측면
앞서 알아본 대로 대중문화는 긍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중문화는 상업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대중의 말초적 흥미에 영합하기 위해 실질이 배제된 표피적이며 감각적인 문화를 사회에 전파시킴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의 문화적 수준을 저급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비판 받아 마땅할 것이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세계를 묘사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수용하는 대중들은 현실과 다른 환상의 세계에 빠지게 되며, 현실을 도피하게 되는 수동적 인간으로 전락시킨다. 그리고 섹스·폭력·모험 등을 주된 소재로 삼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에게 반사회적인 행동규범을 가르치며, 사치와 낭비의 풍조를 만연 시키고, 황금만능주의를 전파시킨다. 특히 이러한 대중문화의 역기능은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일탈행위를 부추기며, 예외적인 병리현상을 과장하거나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사회의 미풍양속을 해친다. 그리고 현실보다 화려한 세계를 묘사하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상대적 박탈감을 만연시켜 사회불안의 요인이 되며, 좌절감과 욕구불만을 증폭시켜 비행과 범죄를 자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는 문화의 획일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문화의 발전을 저해한다.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대중문화란 무엇인지, 대중문화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대중문화는 어떤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중문화는 분명 저급하고 무조건 배척해야하는 문화이고, 고급문화는 옹호해야하는 문화라는 점은 분명 아니다. 분명 대중문화는 충분히 그 순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분명 대중문화는 치명적인 역기능을 지녔다. 대중의 취향에 따라 개별화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대량화 획일화의 문제, 현실을 왜곡시키고 지배 집단의 이익을 정당화하기 위한, 사실은 거짓된, 그렇지만 대중이 추종하는 신념인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하는 탈정치화 문제. 이러한 문제는 분명 대중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치명적인 역기능이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싸게 대량 유통되는 문화상품 지배예전에는 접근이 거부됐던 문화적 접근을 대중에게 허용한 것은 아닌가? 이러한 양적 증가도 진정한 예술의 민주화가 아니라 교양의 상실과 무질서의 증가만을 가져오게 만들었다. 대중문화의 주인은 대중이 되어야하지만 지금 우리네 세상에서는 대중문화의 주인은 대중이 아닌 듯하다. 몇몇의 권력자들은 언론을 통제하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바꾸어 방송한다. 그럼 우리 대중들은 그것이 옳은 것이라고 믿게 된다. 상황이 이러한데 우리가 지금 대중문화의 주인이라고 말 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우리가 산 TV에 주인이 아닌 TV에 노예가 아닌가?
추천자료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대중문화와 스타, 한국의 스타시스템-스타, 대중문화의 중핵-
<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대중문화속의 힙합문화> 힙합문화가 춤문화에 미치는 영향
[대중문화와매스컴미디어] 인터넷 댓글문화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한 댓글문화의 특성분석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중1) <(사회)과 교수, 학습 과정안> Ⅷ. 문화의 이해와 창조 3. 대중문화의 이해와 비판적 수...
문화 개념의 유래, 문화의 정의, 문화 연구, 헤르더, 카시러, 문화비평, 고급문화, 대중문화...
16세기(16C) 문화 도가, 제례의식, 18세기(18C) 문화 연극, 발레, 감상희극, 19세기(19C) 문...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대중문화와 기독교] 만화와 대중문화 그리고 그리스도인
절대적 기준에서 문화를 판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사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