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공산주의의 혁명전략
1. 사회주의 혁명전략
2. 부르주아 민족혁명전략
3. 인민민주주의 혁명전략
Ⅲ. 이탈리아공산당
1. 민주집중제(Il centralismo democratico: 규약 16조)
2. 세포
2. 지부
3. 연합
4. 주위원회(comitato regionale)
5. 연합회의(conferenza di federazione)
6. 전국대회(congresso nazionale)
7. 중앙위원회(comitato centrale)
8. 전국협의회(consiglio nazionale)
9. 전국회의(conferenza nazionale)
10. 상설 통제기구
11. 기타 임시기구
Ⅳ. 조선공산당
1. 공산당의 출현 배경
2. 제1차 공산당
3. 제2차 공산당
4. 제3차 공산당
5. 제4차 공산당
Ⅴ. 동유럽의 공산화
Ⅵ.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1. 이론에 대해서
2. 혁명전략에 대해서
Ⅶ. 결론
참고문헌
Ⅱ. 공산주의의 혁명전략
1. 사회주의 혁명전략
2. 부르주아 민족혁명전략
3. 인민민주주의 혁명전략
Ⅲ. 이탈리아공산당
1. 민주집중제(Il centralismo democratico: 규약 16조)
2. 세포
2. 지부
3. 연합
4. 주위원회(comitato regionale)
5. 연합회의(conferenza di federazione)
6. 전국대회(congresso nazionale)
7. 중앙위원회(comitato centrale)
8. 전국협의회(consiglio nazionale)
9. 전국회의(conferenza nazionale)
10. 상설 통제기구
11. 기타 임시기구
Ⅳ. 조선공산당
1. 공산당의 출현 배경
2. 제1차 공산당
3. 제2차 공산당
4. 제3차 공산당
5. 제4차 공산당
Ⅴ. 동유럽의 공산화
Ⅵ.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1. 이론에 대해서
2. 혁명전략에 대해서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에 대해 망명 정부는 전후의 정치적 주도권을 잡기 위하여, 그해 8월 바르샤바 봉기를 감행하였으나, 소련군으로부터의 지원을 거부당하고 많은 희생자를 낸 끝에 10월에 진압되었다. 12월 말, 국민해방 위원회의 주도로 폴란드 공화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고, 다음해 6월 망명 정부도 가담하여 국민 통일 정부가 수립되었다. 1947년 총선거에서 노동자당과 사회당이 의석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반공 세력을 일소하고 다음해에 노동자당과 사회당의 합당에 의해 통일 노동자당이 성립되었으며 비에루트가 당 제 1서기에 취임 했고, 그 후 스탈린주의가 확립되었다. 체코는 1938년 9월 뮌헨 회담에서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4국은 히틀러의 요구대로 수데텐 지방을 독일에 병합 시켰고, 이듬해 3월 체코 전체가 독일의 보호령으로 병합 되었고, 슬로바키아는 독일의 보호하에 독립하였다. 마사릭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 베네쉬는 뮌헨 회담 후 망명하여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런던에서 망명 정부를 조직하고 있었다. 독일의 지배는 가혹하였고 1942년 하이드리히 암살에 대한 보복으로 행한 라디체 마을의 학살 사건은 유명하다. 대전 중 독일에 대한 저항 운동이 활발하였는데 1944년 8~10월의 슬로바키아 봉기는 규모가 큰 사건이었다. 소련에서 편성된 체코슬로바키아군과 소련군은 1944년 10월 체코슬로바키아에 이르렀고, 이듬해 5월 겨우 프라하를 해방하였다. 해방 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코시체 강령에 의거하여 신 정권이 발족하였으나 내부에서 좌우 대립은 더욱 격화되어 1948년 2월에는 극점에 달하였고, 내란의 발생을 두려워한 베네쉬는 공산당이 주도권을 장악하는 신정권의 수립을 인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체코 2월 혁명은 성립되었고, 그해 5월 신헌법이 채택되어 인민 민주주의 체제가 성립하고, 6월 고트발트가 대통령에 취임하여 공산당에 의한 지배가 완성되고, 이 과정중 1949~1951년 사이 당내에서 일련의 숙청 작업이 있었다. 제 3의 유형은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의 경우로서, 이들은 제 2차 세계 대전 중 구축국에 가담하였던 나라였다. 헝가리에서는 소련군의 침공에 동조한 정권이 서고, 루마니아와 불가리아에서는 쿠데타로 정권을 수립하였다. 헝가리에서는 48년에 사회 민주당과 공산당이 합동해서 공장 등의 국유화가 이루어지고, 농업의 집단화가 진척되기 시작하여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었으며, 루마니아에서는 44년 8월 미하일 국왕과 그 측근 및 공산당을 포함하는 4당 연합이 궁정 쿠데타를 감행, 연합국측에 가담하였고, 45년 3월 공산당 정권이 탄생하여 자유당, 민족 농민당을 배제하고, 47년 12월 인민 공화국의 성립이 선언되고 48년 사회 민주당 좌파를 흡수하여 노동당이라 개칭하고 스탈린주의 정치가 시작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42년 노동자당을 중심으로 조국 전선을 결성, 반파시즘 빨치산 운동이 전개되어, 44년 9월 소련이 불가리아 영내로 들어왔다. 9월 9일 조국 전선 쿠데타가 성공하여 파시즘 체제가 무너지고 46년 왕제가 폐지되며 인민 공화국 선언이 나왔다.
Ⅵ.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1. 이론에 대해서
공산주의의 이론은 역사의 흐름과 함께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구소련과 동부 유럽 공산 체제가 무너지면서 공산주의 신봉자들도 사라져 가고 있다. 심지어 남아 있는 공산주의들조차도 이제는 신봉하지 않는 이론이 많다. 그러나 한 때 전 세계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공산주의 세력을 생각할 때, 공산주의 이론을 냉철히 비판하여 봄으로써 그 역사적 반성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혁명전략에 대해서
공산주의자들이 말하는 혁명전략에 따라 공산화 된 나라는 후진국에 있어서의 전략, 즉 인민민주주의 혁명전략에 의한 것 밖에는 없다. 즉 선진국의 공산화 혁명전략에 있어서 사회주의 혁명전략은 Marx이후 전통적인 혁명방법이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혁명이 이루어진 나라는 한나라도 없다.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선진국은 국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공동사고에 의하여 점차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또 민주복지사회의 건설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므로, 혁명의 타당성이 배제되는 것이다. 또한 중산층의 확대 등은 공산당들이 아무리 사회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늘어놓는다 하여도 그 사회에서 효력을 발생할 수 없는 것이고, 혁명의식을 고취해 보려고 해도 호소력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전략은 하나의 공상적 전략인 것이다. 중진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전략의 형태도 러시아혁명 때부터 구분된 것은 아니고 그 후에 그것은 처음부터 과학적인 전략에 따라 이루어진 것처럼 꾸민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Ⅶ. 결론
칼 막스는 철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등에 관한,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에 대해 탐구하고 그것에 대해 답을 내렸다. 그는 역사 발전의 원동력에 관해 논하고, 인간과 사회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것들이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 모든 것들은 이제껏 막스주의자가 탐구해 온 이론적 범주였다. 그리고 그 답은 인류에게 지대한 사상적 영향을 끼쳤다. 수많은 사람들은 『공산당선언』(이하 『선언』)의 사상을 채취하였고 실천하였다. 『선언』은 막스의 사상을 가장 간결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어조로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막스주의는 현실에 적용되면서 많은 이견과 차이를 낳았고, 왜곡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막스주의의 영향으로 수많은 혁명이 일어났고 소련이 건설되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렇듯 막스주의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에서 말했듯이 막스는 현대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답을 제시했으며, 그것들은 현대사회와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양호민 외(1981) - 공산주의 비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자유총연맹(1990) - 공산주의의 도전과 실패, 양동문화사
황인덕(1989) - 공산국연구, 세신문화사
A. 야코블레프·김병린·김근식(1992) - 공산주의의 종언, 나남출판사
D.S. Mares(1961) - 공산주의 비판의 기초, 중앙문화사
Ⅵ.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1. 이론에 대해서
공산주의의 이론은 역사의 흐름과 함께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구소련과 동부 유럽 공산 체제가 무너지면서 공산주의 신봉자들도 사라져 가고 있다. 심지어 남아 있는 공산주의들조차도 이제는 신봉하지 않는 이론이 많다. 그러나 한 때 전 세계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공산주의 세력을 생각할 때, 공산주의 이론을 냉철히 비판하여 봄으로써 그 역사적 반성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혁명전략에 대해서
공산주의자들이 말하는 혁명전략에 따라 공산화 된 나라는 후진국에 있어서의 전략, 즉 인민민주주의 혁명전략에 의한 것 밖에는 없다. 즉 선진국의 공산화 혁명전략에 있어서 사회주의 혁명전략은 Marx이후 전통적인 혁명방법이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혁명이 이루어진 나라는 한나라도 없다.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선진국은 국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공동사고에 의하여 점차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또 민주복지사회의 건설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므로, 혁명의 타당성이 배제되는 것이다. 또한 중산층의 확대 등은 공산당들이 아무리 사회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늘어놓는다 하여도 그 사회에서 효력을 발생할 수 없는 것이고, 혁명의식을 고취해 보려고 해도 호소력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전략은 하나의 공상적 전략인 것이다. 중진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전략의 형태도 러시아혁명 때부터 구분된 것은 아니고 그 후에 그것은 처음부터 과학적인 전략에 따라 이루어진 것처럼 꾸민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Ⅶ. 결론
칼 막스는 철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등에 관한,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에 대해 탐구하고 그것에 대해 답을 내렸다. 그는 역사 발전의 원동력에 관해 논하고, 인간과 사회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것들이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 모든 것들은 이제껏 막스주의자가 탐구해 온 이론적 범주였다. 그리고 그 답은 인류에게 지대한 사상적 영향을 끼쳤다. 수많은 사람들은 『공산당선언』(이하 『선언』)의 사상을 채취하였고 실천하였다. 『선언』은 막스의 사상을 가장 간결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어조로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막스주의는 현실에 적용되면서 많은 이견과 차이를 낳았고, 왜곡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막스주의의 영향으로 수많은 혁명이 일어났고 소련이 건설되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렇듯 막스주의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에서 말했듯이 막스는 현대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답을 제시했으며, 그것들은 현대사회와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양호민 외(1981) - 공산주의 비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자유총연맹(1990) - 공산주의의 도전과 실패, 양동문화사
황인덕(1989) - 공산국연구, 세신문화사
A. 야코블레프·김병린·김근식(1992) - 공산주의의 종언, 나남출판사
D.S. Mares(1961) - 공산주의 비판의 기초, 중앙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