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행정신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행정신뢰에 대한 공자의 생각

III. 신뢰라는 개념의 뜻

IV. 맺음말 : 행정신뢰라는 개념의 재구성

본문내용

말이 71번 나오고 정(政)이라는 말이 42번, 그리고 신(信)이란 말이 37번 나옵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면 공자가 생각하는 행정신뢰를 다음과 같이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우선, 행정신뢰란 ‘행정에 대한 백성의 신뢰’를 줄인 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행정은 “나랏일 또는 나랏일을 하는 것”을 뜻하고 신뢰는 ‘믿음’, 곧 “의심하지 않고 의지하거나 의존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공자가 생각하는 행정신뢰란 “백성이 나랏일을 믿고 따르는 것”으로, 이것은 다시 백성들이 나랏일을 의심하지 않는 태도와 백성들이 나랏일 때문에 생길지도 모르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겠다는 행동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박통희, 1999).
다음으로 신뢰의 또 다른 뜻으로는 ‘진실성’과 ‘능력’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뜻은 ‘믿음’이라는 말의 하위개념으로 보는 게 좋을 듯합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진실성과 능력은 믿음의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입니다. 진실성이란 행정이 거짓말을 하지 않고, 말한 것(公約)은 그대로 지키며, 나라에서 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 능력이란 행정이 백성들의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해서 백성들을 잘살게 해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자가 생각하는 행정신뢰는 백성들이 나랏일을 믿고 따르는 것이고, 그러한 신뢰는 다시 행정이 진실하고 능력 있게 이루어질 때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서양문헌을 보면, 신뢰란 “어떤 사람이나 제도가 공정하고 확실하며 윤리적이고 능력이 있으며 위험이 없을 것이라는 신념과 확신의 표현” Trust is an expression of faith and confidence that a person or an institution will be fair, reliable, ethical, competent, and nonthreatening(David G. Carnevale, 1995: xi).
또는 “다른 사람의 의도와 행동에 대해 호혜적인 신념” Trust is defined as reciprocal faith in others' intention and behavior(Robert Kreitner, and Angelo Kinicki, 1995: 342).
이라고 정의하면서, 신뢰라는 개념을 다시 진실성(integrity), 능력(competence), 언행일치(consistency), 충성(royalty), 그리고 개방성(openness)이라는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신뢰의 하위개념으로서 진실성이란 정직함과 의심하지 않음(honesty and truthfulness)을 가리키는 것이고, 능력이란 일을 하고 사람을 다루는 지식과 기술(technical and interpersonal knowledge and skills)을 가리킵니다. 또한 언행일치는 확실성과 예측가능성(reliability and predictability)을 가리키며, 충성은 어떤 사람을 보호하거나 지켜주려는 의지(willingness to protect and save face for a person)를, 그리고 개방성은 생각이나 정보를 자유롭게 나누려는 의지(willingness to share ideas and information freely)를 가리킵니다(Stephen P. Robbins, 1998: 294~295).
이제 서양문헌에서 제시된 신뢰라는 개념의 차원과 공자가 생각했던 신뢰의 차원을 맞춰보면 우리는 참으로 재미있는 사실을 한 가지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서양문헌에서 말하는 신뢰와 「논어」에서 말하는 신뢰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내용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서양문헌에서 말하는 진실성과 능력은 바로 공자가 신뢰의 원인으로 제시한 진실성과 능력을 가리킵니다. 언행일치는 공자가 말하는 진실성 가운데 하나인 약속을 지키는 것과 같고, 충성은 공자가 말하는 신(信)의 내적인 측면인 충(忠)과 같으며, 개방성은 공자가 말하는 신(信) 가운데 거짓이 없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재미있는 발견이 아닐 수 없으며, 이러한 발견은 한국의 행정학을 연구하는 방법에 적지 않은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참 고 문 헌>
김세영. (1992). 「공자의 정치사상」. 서울: 인간사랑.
김운태. (1981). 「조선왕조행정사」. 서울: 박영사.
김종무. (1989). 「논어신해(論語新解)」. 서울: 명문사.
노사광(勞思光). (1995). 「중국철학사-고대편-」. 서울: 탐구당.
도오슨, R. (1993). 「공자」. 김용헌 옮김. 서울: 지성의 샘.
박권상. (1983). 「영국을 생각한다」. 서울: 동아일보사.
백완기. (1995). 「행정학」. 서울: 박영사.
사마천. (1994). 「사기본기(史記本紀)」. 정범진 외 옮김. 서울: 까치.
성백효 역주. (1990). 「논어집주(論語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 (1996). 「맹자집주(孟子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안병주. (1992). 공자의 정치설. 윤사순 외. 「공자사상의 발견」 45~52. 서울: 민음사.
원한식. (1990). 행정신뢰의 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 (1997). 공자가 생각하는 행정.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이종범. (1986). 「국민과 정부관료제」.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임어당. (1983). 「공자의 사상」. 민병산 옮김. 서울: 현암사.
정종. (1985). 「논어와 공자」. 이리: 원광대학교 출판부.
조동일. (1997). 「우리 학문의 길」. 서울: 지식산업사.
조기빈(趙紀彬). (1996). 「反논어」. 서울: 예문서원.
진대제. (1996). 「공자의 학설」. 안종수 옮김. 서울: 이론과 실천.
진순(陳淳). (1995). 「북계자의(北溪字義)」. 서울: 예문서원.
크릴, H. G. (1987). 「공자, 인간과 신화」. 이성규 역. 서울: 지식산업사.
풍우란. (1996). 「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서울: 형설출판사.
한국행정학회. (1999). 「신뢰사회와 정부」.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키워드

공자,   행정,   신뢰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8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