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켈로그(R,kellog)의 그림 발달단계
1) 그림의 기본형태 단계(Pattern stage : 2세 이후)
2) 단순도형 단계(Shape stage : 2~3세)
3) 디자인(design stage : 3~4세)
4) 인물화 시기(early pictorialism stage: 4세)
5) 초기회화 시기(4~5세)
2. 로웬펠드(Lowenfeld)의 그림 발달단계
1) 난화기(2~4세)
2) 전도식기(4~7세)
3) 도식기(7~9세)
4) 여명기(9~11세)와 의사실기(11~13세)
5) 의사실기(11~13세)
6) 사춘기(13세이후)
◆ 참고자료 ◆
1) 그림의 기본형태 단계(Pattern stage : 2세 이후)
2) 단순도형 단계(Shape stage : 2~3세)
3) 디자인(design stage : 3~4세)
4) 인물화 시기(early pictorialism stage: 4세)
5) 초기회화 시기(4~5세)
2. 로웬펠드(Lowenfeld)의 그림 발달단계
1) 난화기(2~4세)
2) 전도식기(4~7세)
3) 도식기(7~9세)
4) 여명기(9~11세)와 의사실기(11~13세)
5) 의사실기(11~13세)
6) 사춘기(13세이후)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을 그릴 때 먼저 위에서 내려다본 것같이 동그리미를 그림 다음, 컵의 옆모습은 옆에서 본 것 같이 직사각형을 그리고, 컵의 밑바닥은 테이블 위에 안정감 있게 놓이도록 수평선을 그린다.
동시적 표현
공존화 현상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여러 면에서 본 것을 한 그림에 모두 나타내거나 과거, 현재, 미래의 현상이 한 그림 안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공간개념과 시간개념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유아가 한자의 그림 속에 낮과 밤, 비오는 날과 갠 날, 여름과 겨울을 함께 그리는 것은 공존화 현상의 특성이 나타난 예이다.
전개도식 표현
전개도를 그릴 때의 같은 방법으로 펼친 그림을 그린다. 식탁에 둘러 앉아 식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방으로 펼쳐져 누워 있는 것같이 그리는 것은 전형적인 예이다.
물활론적 사고 표현을 한다.
만물이 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는 애니미즘적 사고를 갖고 표현하는 형태이다. 이 시기 유아는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혼동하며 어떤 사물이라도 인간과 같이 생명이 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유아 자신과 친근한 해, 나무, 꽃, 새 등을 그릴 때도 인간의 얼굴로 표현하는 등 의인화시켜 그린다.
기저선 표현을 한다.
지면의 선을 수평으로 화면에 그려 넣는다. 집이나 나무, 사람들은 모두 기저선 위에 그린다.
그림 속에 자기를 투영한다.
유아는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에 그림 속에 사람을 그릴 때 자기 자신을 그려 넣는다.
4) 여명기(9~11세)와 의사실기(11~13세)
이 시기는 도식적 표현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다. 기저선 표현에서 벗어나 중첩과 원근을 의식한 표현을 한다거나, 사물을 위에서 본 모습을 표현한다든지, 사물을 세부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전체적인 모습을 완성시킨다.
5) 의사실기(11~13세)
이 시기는 배경과 원근감, 비례 등의 미술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사실적 표현하려고 애쓰나 표현 기능이 따라가지 못하는 데 갈등을 느껴 미술 표현이 점차 침체되는 시기이다.
6) 사춘기(13세이후)
이 시기는 미술 표현이 3가지 유형(촉각형, 시각형, 중간형)으로 결정된다. 촉각형은 자신의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거나 색채나 공간을 주관적으로 표현한다. 시각형은 외관, 비례, 명암, 배경, 원근 등을 중시한다. 중간형은 촉각형과 시각형의 중간에 속한다.
◆ 참고자료 ◆
김정 저「미술교육총론」학연사(2000)
양경희「21세기를 위한 열린 아동미술 교육」학지사(2001)
동시적 표현
공존화 현상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여러 면에서 본 것을 한 그림에 모두 나타내거나 과거, 현재, 미래의 현상이 한 그림 안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공간개념과 시간개념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유아가 한자의 그림 속에 낮과 밤, 비오는 날과 갠 날, 여름과 겨울을 함께 그리는 것은 공존화 현상의 특성이 나타난 예이다.
전개도식 표현
전개도를 그릴 때의 같은 방법으로 펼친 그림을 그린다. 식탁에 둘러 앉아 식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방으로 펼쳐져 누워 있는 것같이 그리는 것은 전형적인 예이다.
물활론적 사고 표현을 한다.
만물이 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는 애니미즘적 사고를 갖고 표현하는 형태이다. 이 시기 유아는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혼동하며 어떤 사물이라도 인간과 같이 생명이 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유아 자신과 친근한 해, 나무, 꽃, 새 등을 그릴 때도 인간의 얼굴로 표현하는 등 의인화시켜 그린다.
기저선 표현을 한다.
지면의 선을 수평으로 화면에 그려 넣는다. 집이나 나무, 사람들은 모두 기저선 위에 그린다.
그림 속에 자기를 투영한다.
유아는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에 그림 속에 사람을 그릴 때 자기 자신을 그려 넣는다.
4) 여명기(9~11세)와 의사실기(11~13세)
이 시기는 도식적 표현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다. 기저선 표현에서 벗어나 중첩과 원근을 의식한 표현을 한다거나, 사물을 위에서 본 모습을 표현한다든지, 사물을 세부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전체적인 모습을 완성시킨다.
5) 의사실기(11~13세)
이 시기는 배경과 원근감, 비례 등의 미술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사실적 표현하려고 애쓰나 표현 기능이 따라가지 못하는 데 갈등을 느껴 미술 표현이 점차 침체되는 시기이다.
6) 사춘기(13세이후)
이 시기는 미술 표현이 3가지 유형(촉각형, 시각형, 중간형)으로 결정된다. 촉각형은 자신의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거나 색채나 공간을 주관적으로 표현한다. 시각형은 외관, 비례, 명암, 배경, 원근 등을 중시한다. 중간형은 촉각형과 시각형의 중간에 속한다.
◆ 참고자료 ◆
김정 저「미술교육총론」학연사(2000)
양경희「21세기를 위한 열린 아동미술 교육」학지사(2001)
추천자료
아동미술심리이해 - 제4장 아동미술의 발달적 측면
(아동발달론) 아동 미술표현 발달단계
[유아][건강요인][신체발달][부적응행동][과학][간호][식습관형성]유아의 의미, 유아의 건강...
[신체발달, 영아기 신체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아동기 신체발달, 청소년기 신체발달, 영아기...
[신체발달][영아기 신체발달][유아기 신체발달][아동기 신체발달][영아기][유아기][아동기]영...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부모교육B형 : 유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바람직한 부모의 역...
[유아기 신체발달] 유아기는 발달을 통해 성장을 이루는 중요한 시기다. 신체발달의 전반적인...
유아발달4A) 유아기의 언어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 또한 유아기의...
[영유아교사론A형 2016] 영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및 관심사를 설명하고 교사의 발...
[유아의 사회성 발달] 유아교육기관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기관 유아...
유아발달 A형 유아기 사회인지 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