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 계측
-목적
-기구
-계측방법
-계측결과
-결과계산
-느낀점
2. 체성분 검사
-원리
-결과 분석 및 고찰
-목적
-기구
-계측방법
-계측결과
-결과계산
-느낀점
2. 체성분 검사
-원리
-결과 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질 모두 양호, 상하균형 상체, 하체 표준, 좌우 균형은 상체는 균형, 하체는 불균형이었다. 이유는 오른다리와 왼다리의 체수분양이 오른다리가 더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것은 오른다리로 더 많이 지탱하고 사용해서 그런 것 같다.
(9)체중조절
-적정체중은 개인의 근육량에 따른 계산값을 말하며, 적정체중을 기준으로 근육량과 지방 량을 어떻게 조절할지 표시된다. 적정 체중은 50.4kg이고, +4.2kg의 체중 조절과 +1.8kg 의 지방조절, +2.4kg의 근육조절을 해야 한다고 표시되었다. 무엇보다도 근육양을 늘려 기초 대사량도 높이는 게 좋은 것 같다.
(10)기초 대사량
-기초 대사량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에너지량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누워만 있을 때 사용되는 에너지 량을 말하며 주로 심장박동, 호흡, 체온조절 등을 위해 사용된다. 기초 대사량은 후천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데 이는 근육량을 통해서이다. 기초 대사량 구하는 공식은 21.6 * 제지방량(kg)+ 370이다.
(11)신체발달
-신체발달은 70점이하 허약형, 비만형, 70~90점은 일반인, 건강형이며, 90점 이상은 강인형 이다. 측정 결과, 79점이므로 일반인, 건강형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느낀점
-인바디 측정을 해보면서, 지금 내 몸 상태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저번 달 측정 때에는 체지방량과 복부 지방양이 지금 보다 많았다. 체수분도 대부분 표준 이하로 나왔고 단백 질도 부족으로 나와 신체 발달 점수가 73점이었다. 저녁에 조금씩이라도 운동을 해서 지 방양이 줄어 든 것 같다.
(9)체중조절
-적정체중은 개인의 근육량에 따른 계산값을 말하며, 적정체중을 기준으로 근육량과 지방 량을 어떻게 조절할지 표시된다. 적정 체중은 50.4kg이고, +4.2kg의 체중 조절과 +1.8kg 의 지방조절, +2.4kg의 근육조절을 해야 한다고 표시되었다. 무엇보다도 근육양을 늘려 기초 대사량도 높이는 게 좋은 것 같다.
(10)기초 대사량
-기초 대사량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에너지량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누워만 있을 때 사용되는 에너지 량을 말하며 주로 심장박동, 호흡, 체온조절 등을 위해 사용된다. 기초 대사량은 후천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데 이는 근육량을 통해서이다. 기초 대사량 구하는 공식은 21.6 * 제지방량(kg)+ 370이다.
(11)신체발달
-신체발달은 70점이하 허약형, 비만형, 70~90점은 일반인, 건강형이며, 90점 이상은 강인형 이다. 측정 결과, 79점이므로 일반인, 건강형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느낀점
-인바디 측정을 해보면서, 지금 내 몸 상태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저번 달 측정 때에는 체지방량과 복부 지방양이 지금 보다 많았다. 체수분도 대부분 표준 이하로 나왔고 단백 질도 부족으로 나와 신체 발달 점수가 73점이었다. 저녁에 조금씩이라도 운동을 해서 지 방양이 줄어 든 것 같다.
추천자료
유아기 체력과 신체 활동
신생아 신체사정
[스포츠심리]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측정 및 활용
생체유기화학(신체조절물질구성 및 미량생리활성물질) 1
아동의 신체적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지역사회영양학 4B)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보건영양정책과 보건소에서 실시되는 생애...
만2~5세 중에서 한 연령을 선택하여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에 대해 알아보...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보건교육)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프리시드-프로시드 (Pr...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모자보건-영유아보건] 영유아의 성장발달 및 정신발달, 영유아의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