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증적장애(우울증, 불안증, 공포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증적장애(우울증, 불안증, 공포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경증적장애(우울증, 불안증, 공포증)

1. 기분장애(mood disorders)

2. 기분장애의 원인과 유병률

3. 기분장애의 특성

4. 기분장애의 치료와 예후

5.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6. 신체형 장애 (somatoform disorders)

본문내용

정이 많아져 긴장된 상태가 계속되고, 이러한 긴장 상태 때문에 뒷목이 당기듯이 아픈 긴장성 두통, 손 떨림이나 땀이 많이 나거나 입이 마르고, 상복부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10)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일반적인 의학상태로 인한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라도 판단되는 뚜렷한 불안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11)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
약물남용이나 투약, 또는 독소 노출로 인한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라고 판단되는 뚜렷한 불안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12) 달리 분류되지 않는 불안장애
불안장애의 어떠한 진단기준에도 맞지 않는 현저한 불안증상이다.
6. 신체형 장애 (somatoform disorders)
의학적 상태로 보이는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의학적 상태나 물질의 직접적인 효과, 다른 정신장애 등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심리적 요인이나 갈등에 의해 야기된다고 볼 수 있다. 환자 본인은 그러한 증상이 왜 생겼는지 알지 못하고, 신체 질환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며, 신체질환이 없다는 의사의 설명을 쉽게 납득하지 못하고, 적대감을 표시하기도 한다.
(1) 신체화 장애(somatization disorder)
신체화 장애는 의학적으로 원인을 알기 어려운 신체적 불편감과 증상을 경험하고 이를 다른 사람에게 호소하는 동시에 질병이 있다고 생각하여 치료를 받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고 이로 인해 적응 상의 현저한 어려움을 초래하는 장애이다.
이 장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신체증상, 즉, 두통, 복통, 허리의 통증, 가슴의 통증 등 신체 여러 부위의 동통이나, 구역질, 구토, 복부팽만, 설사 등 위장증상, 근육 약화 또는 마비, 시력장애 또는 실명, 목의 이물감 등 가성신경학적 증상을 지속적응로 호소하여 여러 가지 진단적 검사를 받게 되지만 이러한 증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신체적 질환을 발견할 수 없고, 심리적 요인을 원인으로 볼 수 있는 질환이다. 환자들은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옮겨 다니고 여러 의사를 찾아다니며 종합진단을 받고, 치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2) 감별불능 신체형 장애(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어떤 특정한 신체형 장애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에 진단한다.
(3)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전환장애는 과거에 ‘히스테리’ 또는 ‘히스테리성 신경증’이라고 불리던 질환으로, 갑작스러운 감각기관의 기능상실이나 근육마비 등의 신체증상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증상이 신체적 질병이 아닌 심리적 갈등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전환장애의 특징으로는 환자는 자신이 지닌 증상의 심각성에 비해 그다지 걱정하지 않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근육마비나 감각기관의 기능상실 등의 신체증상이 의도적이기 보다는 무의식으로 일어나는 것이므로 환자 자신은 그것이 심리적 원인으로 일어난 것임을 모르는 것 등이 있다.
(4) 통증장애(pain disorder)
신체의 특정부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을 호소하나 원인이 될 만한 신체질환을 찾을 수 없으며 그 원인이 심리적 요인으로 간주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것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통증을 주요 증상으로 내과나 정형외과 등을 찾는 사람들 가운데 심인성 통증 환자들이 상당히 많다.
(5) 건강염려증(hypochodriasis)
건강염려증 신체적 증상이나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하여 자신이 심한 병에 결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6)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흔히 BDD라는 병명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신체변형장애는 자신의 외모가 기형적이라고 잘못 집착하는 경우를 말하며 신체추형장애라고 불리기도 한다.
오랜 기간 동안 잠재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외모와 자신의 외모가 많이 다르게 느껴지거나, 혹은 약간 다른 모습을 갖고 있다는 것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을 사로잡은 생각은 그들을 정신적으로 괴롭게 만들고 결국 신체를 변형시켜 자신의 다른 모습을 고쳐보려는 시도들도 시행된다. 주로 눈, 코, 입, 귀, 턱, 볼 등 얼굴의 대칭적 균형을 이루려는 욕구가 가장 큰 원인이 된다.
(7)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신체형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신체형 장애는 어떤 특정한 신체형 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신체형 증상이 있는 장애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성임신을 들 수 있다. 이는 실제 임신을 하지 않았지만 임신을 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실제 복부팽만, 무월경 등과 임신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신체적 불편 호소
신체적 기초
심리적 기초
전형적 증상
전형적 예
정신신체
질환
있음
있음
있음
다양한 스트레스 관련질환
궤양, 고혈압
신체화 장애
있음
없음
있음
많은 조직체계에 사소한 증상이 나타남
등흉부통증, 현기증에 대한 불명확한 불편감 호소
전환장애
있음
없음
있음
단일 조직체계에서 주요 기능 손실
히스테리성 마비, 전신마비
건강염려증
있음
없음
있음
건강상태에 대 한 집착
감염에 대한 근거없는 공포
*참고자료*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이준우 손덕순 저 서현사
정신건강론, 설진화 저 학현사
블랙독 우울증
http://video.naver.com/2009031622454870434
공황장애, 우울증 영상
http://blog.naver.com/separa715/150018696711
전환장애 영상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430764&st=0&cooper=NAVER
특정공포증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44_netv.jsp?vProgId=1000324&vVodId=V0000329555&vMenuId=1008784&uccid=10000424624&st=0&cooper=NAVER
사회공포증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464909&st=0&cooper=NAVER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4.22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