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 의
Ⅱ. 종 류
Ⅲ. 법적 성질
Ⅳ. 법적 근거
Ⅴ. 규칙제정사항과 한계
1. 규칙사항
2. 법률 유보
3. 법률 우위
Ⅵ. 효력 발생
Ⅶ. 보고․승인
Ⅱ. 종 류
Ⅲ. 법적 성질
Ⅳ. 법적 근거
Ⅴ. 규칙제정사항과 한계
1. 규칙사항
2. 법률 유보
3. 법률 우위
Ⅵ. 효력 발생
Ⅶ. 보고․승인
본문내용
칙은 효력을 발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Ⅶ. 보고·승인
지방자치법 제 21조는 '규칙을 제정 또는 개폐한 경우에는 공포예정 15일 전에 시·도지사는 행정자치부장관에, 시장·군수 및 자치구의 구청장은 시·도지사에게 그 전문을 첨부하여 각각 보고하여야 하며, 보고를 받은 행정자치부장관은 이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Ⅶ. 보고·승인
지방자치법 제 21조는 '규칙을 제정 또는 개폐한 경우에는 공포예정 15일 전에 시·도지사는 행정자치부장관에, 시장·군수 및 자치구의 구청장은 시·도지사에게 그 전문을 첨부하여 각각 보고하여야 하며, 보고를 받은 행정자치부장관은 이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추천자료
[행정정보화][행정개혁][행정]행정정보화 사례와 행정개혁의 현황과 향후 과제 분석(행정개혁...
[사회과학] 광역행정과 한국의 광역행정 (지방자치) 에 대하여
우리지역 도시 발전 방향(지방자치와행정)
미국의 지방자치와 지방 교육행정 조직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사례
[교육행정체제] 중앙교육행정조직, 지방교육자치제도, 지방교육행정조직
2012년 1학기 지방자치행정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행정학 레포트 예산 지방자치
[사회복지법제론]청소년보호법 - 청소년보호법의 제정이유와 목적 및 정의, 국가와 지방자치...
독일 행정개혁의 특징 - 고유의 특징을 훼손하지 않는 행정개혁, 협조와 참여를 통한 행정개...
구동독 행정체제 구축에 따른 문제점 - 신연방주 부활에 따른 문제점, 지방자치행정 구축에 ...
러시아의 지방자치와 거버넌스(Governance) (러시아 연방주체 종류 및 하부행정단위, 중앙-지...
[지역발전론] 지방자치단체간 계획통합 - 계획 관련법의 체계와 실태(대구, 경북을 중심으로)
[지방행정론 독후감]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