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위성을 발사하기 시작하여 GLONASS가 완성되는 경우에는 총 24대의 위성으로 구성되지만, 러시아의 경제사정 등에 의해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위성 수는 8개 정도이다.
그런데 GLONASS는 GPS와 달리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위성마다 반송파의 주파수가 다르다. 그리고 GPS에서 군사용으로만 허용되는 P-code를 GLONASS에서는 민간 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GPS나 GLONASS가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미국이나 러시아가 유사시에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이 위성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사용도가 높은 여러 나라에서 제기돼 왔다.
유럽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민간이 설치하고 운영하는 인공위성 시스템인 '갈릴레오(Galileo)'를 만들기로 하였다.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EU에서 추진중인 항법 시스템 개발 계획이다. 이는 고도 2만3,000 ㎞의 궤도에 쏘아올린 30기의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해 지상에 있는 목표물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위성추적 시스템은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LONASS뿐이며 두 시스템 모두 군사적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GPS는 민간용도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유럽이 미국에 위성 정보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벗어나 ‘정보 독립’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핵심 기술이다.
미국은 GPS 경쟁상대 출현을 막기 위해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리고 EU 내에서도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 일부 국가들이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드는 막대한 비용, 시스템의 상용화 가능성 등을 우려해 반대 의사를 표명해왔다. 그러나 갈릴레오 프로젝트가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사안이라는데 동의해 EU 정상들은 2002년 3월 열린 바르셀로나 정상회담에서 이 프로젝트를 승인하기로 합의하였다.
EU교통장관들은 2006년까지 시스템 개발비용으로 4억5,000만 유로(3억9,200만 달러)를 투입키로 결정, 2007년 위성 30기를 발사하고 2008년 상용 서비스를 개시할 때까지 총 34억~36억 유로의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민간용도 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오는 2008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한편, 우리 정부도 2005년 2월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으며, 2006년 1월 한·EU 정부 간 갈릴레오 기본협정이 체결 되었다.
갈릴레오가 사용하는 기술은 기본적으로 GPS나 GLONASS와 동일하나 갈릴레오 시스템은 30개의 위성과 지상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며, 1m 이내까지 물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미 국방부가 군사위성 24개로 운영 중인 GPS(30m)보다 정확도가 훨씬 뛰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 충돌 방지 시스템(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 TCAS)
1956년 미국 그랜드캐니언에서 민간 여객기의 충돌을 계기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2차 감시레이더(secondary surveillance radar)의 질의에 대하여 각 항공기에 부여된 호출부호 및 고도정보를 응답하게 되어 있는 레이더비컨(트랜스폰더:airtraffic control radar beacon system)을 이용하여 항공기 상호간에 질의 응답하는 TCAS(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의 개념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미국의 항공법은 미국 공역을 운항하는 모든 상업용 항공기(외국 국적기 포함)에 대하여 10∼30석의 터빈엔진 항공기는 TCAS I(수평적 교통상황만 제공)을 1995년 9월까지, 30석 이상의 여객기는 TCAS II(수직적 교통상황도 제공)를 1993년 12월까지 장착할 것을 의무화하였다.
1) TCAS 종류
TCAS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교통상황만을 경고하는 TCAS-I, 두 번째는 TCAS-I과 같은 교통상황은 물론이고 이탈경고와 수직축으로는 기동형태도 제공하는 TCAS-II이다. 끝으로 세 번째의 TCAS-III는 수평과 수직축으로 교통상황경고는 물론 이탈경고도 제공한다
참고적으로 미국에서의 TCAS에 대한 동향은 다음과 같다.
① TCAS-I : 1987년 3월에는 실용 TCAS-I 시스템용 기술개발이 MOPS를 발간함으로서 완성되었다. 1989년 1월에는 10에서 30석의 상업용 항공기에는 의무적으로 TCAS-I시스템을 1995년2월까지 장착하도록 규정하였다.
② TCAS-II : Piedmont항공사의 B-727 항공기에 탑재한 시제기의 평가가 1988년 1월에 완성되었다. 양산제품으로는 Bendix/King 제품이, UAL의 B737항공기와 DC-8항공기에, Honeywell사 제품은 Northwest항공사의 MD-80항공기에 장착 운용 중이며 항공사와 조종사 모두가 안정성과 효용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FAA에서는 1993년 12월까지 30석이상의 민항공에서는 의무적으로 TCAS-II를 장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③ TCAS-III : 현재 개발중에 있다.
<< 특 징 >>
① TCAS는 자기 항공기와 상대 항공기에 탑재하고 있는 SSR 모드 S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장치이다.
② TCAS는 지향성 주사 안테나를 사용하여 자기 항공기를 중심으로 한 반경 10 해리 내에 94기의 항공기 밀도가 있어도 작동한다.
③ 지상의 ATC 장치와 완전히 독립인 장치이다.
접근 경보(traffic advisory : TA)
자기(own aircraft)와 칩입기(intruding aircraft)의 위치 관계를 조사하고, 이상 접근이나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그림 16]과 같이 기상 레이더 지시기 상에 침입기의 위치와 상승중인가 하강중인가 표시를 한다.
회피 지시(resolution advisory : RA)
자기와 침입기가 충돌 기미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림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 방향의 회피 지시를 낸다(TCASⅡ). 그리고 수평면에서의 회피 지시를 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TCASⅢ).
그런데 GLONASS는 GPS와 달리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위성마다 반송파의 주파수가 다르다. 그리고 GPS에서 군사용으로만 허용되는 P-code를 GLONASS에서는 민간 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GPS나 GLONASS가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미국이나 러시아가 유사시에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이 위성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사용도가 높은 여러 나라에서 제기돼 왔다.
유럽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민간이 설치하고 운영하는 인공위성 시스템인 '갈릴레오(Galileo)'를 만들기로 하였다.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EU에서 추진중인 항법 시스템 개발 계획이다. 이는 고도 2만3,000 ㎞의 궤도에 쏘아올린 30기의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해 지상에 있는 목표물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위성추적 시스템은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LONASS뿐이며 두 시스템 모두 군사적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GPS는 민간용도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유럽이 미국에 위성 정보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벗어나 ‘정보 독립’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핵심 기술이다.
미국은 GPS 경쟁상대 출현을 막기 위해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리고 EU 내에서도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 일부 국가들이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드는 막대한 비용, 시스템의 상용화 가능성 등을 우려해 반대 의사를 표명해왔다. 그러나 갈릴레오 프로젝트가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사안이라는데 동의해 EU 정상들은 2002년 3월 열린 바르셀로나 정상회담에서 이 프로젝트를 승인하기로 합의하였다.
EU교통장관들은 2006년까지 시스템 개발비용으로 4억5,000만 유로(3억9,200만 달러)를 투입키로 결정, 2007년 위성 30기를 발사하고 2008년 상용 서비스를 개시할 때까지 총 34억~36억 유로의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민간용도 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오는 2008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한편, 우리 정부도 2005년 2월 갈릴레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으며, 2006년 1월 한·EU 정부 간 갈릴레오 기본협정이 체결 되었다.
갈릴레오가 사용하는 기술은 기본적으로 GPS나 GLONASS와 동일하나 갈릴레오 시스템은 30개의 위성과 지상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며, 1m 이내까지 물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미 국방부가 군사위성 24개로 운영 중인 GPS(30m)보다 정확도가 훨씬 뛰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 충돌 방지 시스템(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 TCAS)
1956년 미국 그랜드캐니언에서 민간 여객기의 충돌을 계기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2차 감시레이더(secondary surveillance radar)의 질의에 대하여 각 항공기에 부여된 호출부호 및 고도정보를 응답하게 되어 있는 레이더비컨(트랜스폰더:airtraffic control radar beacon system)을 이용하여 항공기 상호간에 질의 응답하는 TCAS(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의 개념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미국의 항공법은 미국 공역을 운항하는 모든 상업용 항공기(외국 국적기 포함)에 대하여 10∼30석의 터빈엔진 항공기는 TCAS I(수평적 교통상황만 제공)을 1995년 9월까지, 30석 이상의 여객기는 TCAS II(수직적 교통상황도 제공)를 1993년 12월까지 장착할 것을 의무화하였다.
1) TCAS 종류
TCAS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교통상황만을 경고하는 TCAS-I, 두 번째는 TCAS-I과 같은 교통상황은 물론이고 이탈경고와 수직축으로는 기동형태도 제공하는 TCAS-II이다. 끝으로 세 번째의 TCAS-III는 수평과 수직축으로 교통상황경고는 물론 이탈경고도 제공한다
참고적으로 미국에서의 TCAS에 대한 동향은 다음과 같다.
① TCAS-I : 1987년 3월에는 실용 TCAS-I 시스템용 기술개발이 MOPS를 발간함으로서 완성되었다. 1989년 1월에는 10에서 30석의 상업용 항공기에는 의무적으로 TCAS-I시스템을 1995년2월까지 장착하도록 규정하였다.
② TCAS-II : Piedmont항공사의 B-727 항공기에 탑재한 시제기의 평가가 1988년 1월에 완성되었다. 양산제품으로는 Bendix/King 제품이, UAL의 B737항공기와 DC-8항공기에, Honeywell사 제품은 Northwest항공사의 MD-80항공기에 장착 운용 중이며 항공사와 조종사 모두가 안정성과 효용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FAA에서는 1993년 12월까지 30석이상의 민항공에서는 의무적으로 TCAS-II를 장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③ TCAS-III : 현재 개발중에 있다.
<< 특 징 >>
① TCAS는 자기 항공기와 상대 항공기에 탑재하고 있는 SSR 모드 S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장치이다.
② TCAS는 지향성 주사 안테나를 사용하여 자기 항공기를 중심으로 한 반경 10 해리 내에 94기의 항공기 밀도가 있어도 작동한다.
③ 지상의 ATC 장치와 완전히 독립인 장치이다.
접근 경보(traffic advisory : TA)
자기(own aircraft)와 칩입기(intruding aircraft)의 위치 관계를 조사하고, 이상 접근이나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그림 16]과 같이 기상 레이더 지시기 상에 침입기의 위치와 상승중인가 하강중인가 표시를 한다.
회피 지시(resolution advisory : RA)
자기와 침입기가 충돌 기미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림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 방향의 회피 지시를 낸다(TCASⅡ). 그리고 수평면에서의 회피 지시를 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TCASⅢ).
추천자료
생체모방과학기술(바이오닉스, 바이오마이메틱스)에 대한 예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의 방향
레이저의 원리와 그 사용 분야
바이오 센서의 시장 동향과 기술 동향 조사 및 응용 사례 조사 분석(A+레포트)★★★★★
컴퓨터의 역사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디자인을 평가하는 PPP(Product Performance Program)_ 유니버설디자인
해상충돌 예방 규칙
학습의 인지이론적 관점에 관한 연구
전자레인지의 동작원리
Microwave 결과레포트 (microwave optics)
전쟁사_태평양전쟁과 일본의패망원인에 대한 연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 8장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교육 탐구문제
저가의 재료를 최고의 디자인으로 커버한다 IKEA 기업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