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SUBJECT
1. Indole형성 Test
2. 당분해 실험
3. MR-VP Test
4. TSI(triple sugar ion)
5. Citrate(구연산)
Ⅱ. OBJECT
Ⅲ. INTRODUCTION
Ⅳ. MATERIAL & METHOD
Ⅴ. RESULT
Ⅵ. DISCUSSION
Ⅶ. REFERENCE
1. Indole형성 Test
2. 당분해 실험
3. MR-VP Test
4. TSI(triple sugar ion)
5. Citrate(구연산)
Ⅱ. OBJECT
Ⅲ. INTRODUCTION
Ⅳ. MATERIAL & METHOD
Ⅴ. RESULT
Ⅵ. DISCUSSION
Ⅶ. REFERENCE
본문내용
에서만 indole이 만들어져, 배지 위에 빨간 띠를 만들었다.
조사해본 결과. 대장균에서는 트립토판을 트립토파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하여, indole과 피루브산, 암모니아를 함께 생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pH의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phenol-red 지시약을 첨가한 배지
에 sucrose, lactose, glucose 세 종류의 당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균이 당을 먹고 대사를 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 배지가 산성으로
되면서 노란색으로 바뀐다.
또 한 가지 관찰해야 했던 것은, 가스가 찼나 안찼나이다.
이론적인 실험결과를 따랐다면,
sucrose에서는 E.coli ; acid해짐/ gas○
B.subtilis ; acid해짐/ gas×
S.paratyphi ; 덜 acid / gas×
lactose에서는 변화 없음
glucose에서는 E.coli ; acid(노랑)/ gas○
B.subtilis ; acid(노랑)/ gas×
S.paratyphi ; acid(노랑)/ gas○
이런 결과가 나왔겠지만 우리조의 실험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아마도, 루프의 소독 과정에서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
에 잘못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하고 있다.
3) 배지는 MR-VP배지로 같지만, 균을 배양한 후 떨어뜨리는 지시약이
methyl red와 VP sol1+sol2 두 가지이기 때문에, 두 가지 결과가 나온 다.
MR지시약은 E.coli의 색을 변화시킨다.
(MR은 산성일때 빨강색으로 변하는데,E.coli는 계속 산성물질을 생성 하지만, E.aerogenes는 처음에는 산성물질을 생성하지만 나중에는 염 기성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VP지시약은 E.aerogenes의 색을 변화시킨다.
4) 균이 자라는지 확인하기 위해 배지에 phehol red를 첨가해서 처음
에는 빨간색 배지이다. 만약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다면 계속 빨강을 유지하겠지만, 균이 당을 먹으면서 산성물질을 내놓으므로(살아있으므 로) 배지는 산성을 유지하게 되고, 노란색으로 변했다.
S.paratyphi는 황화수소를 만들어내는데, 이 황화수소가 배지의 아연 성분과 만나면서, 검정색으로 색이 변질된다. 그래서 S.paratyphi균이
자란 배지에만 검정색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즉, TSI실험 결과가
S.paratyphi ; 황화수소형성
E.coli ; gas 형성
P.aeruginosa ; gas 형성
P.vulgaris ; gas 형성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색은 네 가지 균 모두 빨강→노랑으로 변했다.
이론상 배운 대로라면, 구연산을 이용하여 자라는 균은 5)균주가 구연산(sodium citrate)를 이용하고, 발생되는 CO2 와 Na+, 그리고 H2O 와 작용하여 pH가 올라가는 것을 이용하는 실험이었다. 배지에는 Bromthymol blue 가 지시약으로 첨가 되어 green (acid)에서 Blue(alkali)로의 변색을 관찰하면 되는 실험이었다.
Sodium citrate → oxalo acetate + Acetate
Oxaloacetate → Pyruvate + CO2
CO2 + Na+ → Na2CO3
E.aerogenes
하나여야 했지만, 실험 과정 중 잘못되었는지 우리 조에서는 E.aerogenes, P.aeruginosa 두 가지가 파란색으로 변했다.
Ⅶ. REFERENCE
<참고문헌>
김경민 외, 미생물학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민봉희 외, 미생물과학, 도서출판 효일
미생물 및 면역학 분과회,최신 실험 미생물, 도서출판 신일상사
김태운 외,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인터넷 참조
교수님 수업내용 참조
조사해본 결과. 대장균에서는 트립토판을 트립토파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하여, indole과 피루브산, 암모니아를 함께 생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pH의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phenol-red 지시약을 첨가한 배지
에 sucrose, lactose, glucose 세 종류의 당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균이 당을 먹고 대사를 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 배지가 산성으로
되면서 노란색으로 바뀐다.
또 한 가지 관찰해야 했던 것은, 가스가 찼나 안찼나이다.
이론적인 실험결과를 따랐다면,
sucrose에서는 E.coli ; acid해짐/ gas○
B.subtilis ; acid해짐/ gas×
S.paratyphi ; 덜 acid / gas×
lactose에서는 변화 없음
glucose에서는 E.coli ; acid(노랑)/ gas○
B.subtilis ; acid(노랑)/ gas×
S.paratyphi ; acid(노랑)/ gas○
이런 결과가 나왔겠지만 우리조의 실험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아마도, 루프의 소독 과정에서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
에 잘못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하고 있다.
3) 배지는 MR-VP배지로 같지만, 균을 배양한 후 떨어뜨리는 지시약이
methyl red와 VP sol1+sol2 두 가지이기 때문에, 두 가지 결과가 나온 다.
MR지시약은 E.coli의 색을 변화시킨다.
(MR은 산성일때 빨강색으로 변하는데,E.coli는 계속 산성물질을 생성 하지만, E.aerogenes는 처음에는 산성물질을 생성하지만 나중에는 염 기성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VP지시약은 E.aerogenes의 색을 변화시킨다.
4) 균이 자라는지 확인하기 위해 배지에 phehol red를 첨가해서 처음
에는 빨간색 배지이다. 만약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다면 계속 빨강을 유지하겠지만, 균이 당을 먹으면서 산성물질을 내놓으므로(살아있으므 로) 배지는 산성을 유지하게 되고, 노란색으로 변했다.
S.paratyphi는 황화수소를 만들어내는데, 이 황화수소가 배지의 아연 성분과 만나면서, 검정색으로 색이 변질된다. 그래서 S.paratyphi균이
자란 배지에만 검정색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즉, TSI실험 결과가
S.paratyphi ; 황화수소형성
E.coli ; gas 형성
P.aeruginosa ; gas 형성
P.vulgaris ; gas 형성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색은 네 가지 균 모두 빨강→노랑으로 변했다.
이론상 배운 대로라면, 구연산을 이용하여 자라는 균은 5)균주가 구연산(sodium citrate)를 이용하고, 발생되는 CO2 와 Na+, 그리고 H2O 와 작용하여 pH가 올라가는 것을 이용하는 실험이었다. 배지에는 Bromthymol blue 가 지시약으로 첨가 되어 green (acid)에서 Blue(alkali)로의 변색을 관찰하면 되는 실험이었다.
Sodium citrate → oxalo acetate + Acetate
Oxaloacetate → Pyruvate + CO2
CO2 + Na+ → Na2CO3
E.aerogenes
하나여야 했지만, 실험 과정 중 잘못되었는지 우리 조에서는 E.aerogenes, P.aeruginosa 두 가지가 파란색으로 변했다.
Ⅶ. REFERENCE
<참고문헌>
김경민 외, 미생물학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민봉희 외, 미생물과학, 도서출판 효일
미생물 및 면역학 분과회,최신 실험 미생물, 도서출판 신일상사
김태운 외,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인터넷 참조
교수님 수업내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