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집단을 못 떠나는 한국인
제 2 장 가족집단 주의와 한국인
제 3 장 한국인의 우리주의
제 4 장 아래위를 따져야 시원한 한국인
제 5 장 다른 것을 못 참는 한국인
제 6 장 그래도 멀리 보는 한국인
제 7장 신명에 둘째가라면 서러운 한국인
제8장 한국의 문화에 나타나는 무교의 영향
제 2 장 가족집단 주의와 한국인
제 3 장 한국인의 우리주의
제 4 장 아래위를 따져야 시원한 한국인
제 5 장 다른 것을 못 참는 한국인
제 6 장 그래도 멀리 보는 한국인
제 7장 신명에 둘째가라면 서러운 한국인
제8장 한국의 문화에 나타나는 무교의 영향
본문내용
연결된다고 보고 있다.
또,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은 유교주의의 긍정적인 면이라고 하기 보다는 그 당시 사회상황과 잘 맞아 떨어진 분위기를 조장한 유교주의의 또 다른 표출이라고 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 7장 신명에 둘째가라면 서러운 한국인
7장에서 작가는 한국인들의 음주가무를 좋아하는 문화를 한국인의 영원한 종교인 무교에 연결시켜 이해하려 하고 있다.
음주가무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모습을 반영하듯이 우리나라에의 대부분의 TV프로그램 안에는 음악과 춤이 빠지지 않는다.
또, 거리에 나가면 노래방을 쉽게 볼 수 있고 거리에 걸어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귀에 MP3 를 꽂고 음악을 듣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놀고 춤추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것이 한국인의 냄비근성이다. 뭔가를 잘 잊어버리는 특성인 이것은 굿판, 무속이 보여주는 비이성성, 즉흥성, 원초적이고 폭발적인 열정이 낳은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 8 장 한국의 문화에 나타나는 무교의 영향
8장에서 작가는 한국인의 감성적 문화가 무교의 영향에 의해서 발달되었으며 아직 까지도 우리 사회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종교는 무교라고 언급하고 있다.
한국인들은 풍부한 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좌뇌 보다 우뇌가 더 발달 되어 있고 또한 우리말은 우리의 감성은 반영하듯 감정적이고 감상적이고 감각적이다.
우리나라의 시나, 소설은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는 것을 좋아하고 감성적인 한국인들에게 무교는 유교만큼 큰 영향을 미쳤다.
또,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은 유교주의의 긍정적인 면이라고 하기 보다는 그 당시 사회상황과 잘 맞아 떨어진 분위기를 조장한 유교주의의 또 다른 표출이라고 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 7장 신명에 둘째가라면 서러운 한국인
7장에서 작가는 한국인들의 음주가무를 좋아하는 문화를 한국인의 영원한 종교인 무교에 연결시켜 이해하려 하고 있다.
음주가무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모습을 반영하듯이 우리나라에의 대부분의 TV프로그램 안에는 음악과 춤이 빠지지 않는다.
또, 거리에 나가면 노래방을 쉽게 볼 수 있고 거리에 걸어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귀에 MP3 를 꽂고 음악을 듣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놀고 춤추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것이 한국인의 냄비근성이다. 뭔가를 잘 잊어버리는 특성인 이것은 굿판, 무속이 보여주는 비이성성, 즉흥성, 원초적이고 폭발적인 열정이 낳은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 8 장 한국의 문화에 나타나는 무교의 영향
8장에서 작가는 한국인의 감성적 문화가 무교의 영향에 의해서 발달되었으며 아직 까지도 우리 사회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종교는 무교라고 언급하고 있다.
한국인들은 풍부한 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좌뇌 보다 우뇌가 더 발달 되어 있고 또한 우리말은 우리의 감성은 반영하듯 감정적이고 감상적이고 감각적이다.
우리나라의 시나, 소설은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노는 것을 좋아하고 감성적인 한국인들에게 무교는 유교만큼 큰 영향을 미쳤다.
키워드
추천자료
문화유산 답사기 독후감 감상문 A+
동양문화사 일본관련 (독후감)
조선시대 유교문화 독후감 -최봉영 지음
동양문화사 일본관련 (독후감)
[문화인류학 독후감] <오래된 미래>를 읽고 - 미래에서 살고 과거로 내몰린 사람들
[문화인류학 독후감] ‘국화와 칼(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 루스 베네딕트(Ruth F...
[문화인류학 독후감] ‘화해의 아이(Peace Child)’ - 돈 리챠드슨(Don Richardson) 저
[러시아문화산책 독후감] 투르게네프의 『첫사랑』을 읽고
축구는 문화다 독후감
[문화와 경제-독후감]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 _ 장하준 저
[독후감] 대중문화의 겉과 속을 읽고 나서
[독후감] 대중문화의 겉과 속을 읽고
독후감 - ‘대중문화의 겉과 속 3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