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 문제점과 해결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고, 정책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이다. 정책수립은 문제해결을 위해 취하고자 하는 조치와 프로그램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다양한 해결대안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찾아내는 정책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이 수립된 후에는 이들 정책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목표를 향한 광범위한 정책을 실천하기 위한 조치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중시되는 것은 결과를 추구함에 있어서의 효과성과 효율성이다. Perlman과 Gurin은 다음의 세 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기술하였다.
① 업무의 내용(해야 할 일에 관한 명세) : 어떤 종류의 활동, 프로그램, 서비스를 어떤 순서로 얼마만큼의 양을, 어떤 전달체계를 통해서 제공할 것인가.
② 자원(여러 가지 활동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 자본설비, 필요한 인력과 자격 및 재원. 이 자원들은 현재 어디에 있으며, 누가 통제하고 있으며, 어떻게 동원할 수 있는가.
③ 가능성(feasibility) : 자원의 활용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 자원의 분배, 새로운 자원의 개발은 어떻게 할 것인가. 프로그램의 수행에 어느 정도의 수용 혹은 저항이 존재하는가.
(3) 프로그램의 실천
프로그램의 실천이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행하게 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활동의 내용과 형태는 문제의 성격을 따라 무한정한 것이긴 하지만 크게 '체제유지 혹은 과정중심적은 활동'과 해결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해 주는 활동을 말하며, 과업중심적인 활동이란 클라이언트 집단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해주는 활동을 말한다.
(4) 평가
평가의 목적
① 프로그램의 실천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입수해서(monitoring), 실천에 반영하여(feedback), 실천의 궤도를 수정하는 경우 : 이 경우 평가가 문제해결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라 문제설정, 목표수립,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실천의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계속적인 활동
② 문제해결의 전 과정이 이룩한 결과와 최종산물을 평가하는 것 :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프로그램의 효과성(effectiveness)과 영향(impact)을 측정하는 것, 실험조사방법(experimental survey)을 가장 많이 사용함.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30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