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사림의 등장
- 훈구와 사림
- 사림과 사화
Ⅲ 사림정치의 내용
- 붕당정치
- 탕평정치
Ⅳ 결론
Ⅱ 사림의 등장
- 훈구와 사림
- 사림과 사화
Ⅲ 사림정치의 내용
- 붕당정치
- 탕평정치
Ⅳ 결론
본문내용
는 물론 사대부 체제의 붕괴로 인한 사태였다. 하지만 이 싸움은 양반들만의 싸움은 아니었고 중인층, 농민층까지 패가 갈려 벌인 싸움이었다. 서얼, 중인, 무인 출신의 이해관계가 당파싸움에 투영되면서 싸움의 해결은 더욱 어려워졌다.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p276 ~ 277
그렇지만 환국 이전 까지는 이렇게 심한 대립은 일어나지 않았다. 대립이 존재하기는 하였지만 정치에서 갈등과 대립은 꼭 필요한 것이고 모두가 찬성하는 만장일치적인 정치는 존재할 수도 없을뿐더러 존재해서도 안 된다. 그러므로 사림들의 붕당정치는 정치세력간의 대립과 견제를 통한 책임정치를 구현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경쟁이 치열했던 시기에 가장 깨끗한 정치가 행해진 것이다.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조선을 더 살기 좋은 나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사림들의 노력을 당파싸움이라는 말 한마디로 정리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림들의 정치는 완벽했다고 미화만 할 수도 없다.
우리에게는 단점과 장점을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장점과 단점을 통하여 지금 우리가 배울 것을 찾아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정치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더더욱 과거를 돌아보고 현실을 고치는 역사가의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국정도서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인적자원부, 200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8 -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탐구당, 2003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변태섭, 「한국사 통론」, 삼영사, 2008
그렇지만 환국 이전 까지는 이렇게 심한 대립은 일어나지 않았다. 대립이 존재하기는 하였지만 정치에서 갈등과 대립은 꼭 필요한 것이고 모두가 찬성하는 만장일치적인 정치는 존재할 수도 없을뿐더러 존재해서도 안 된다. 그러므로 사림들의 붕당정치는 정치세력간의 대립과 견제를 통한 책임정치를 구현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경쟁이 치열했던 시기에 가장 깨끗한 정치가 행해진 것이다.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조선을 더 살기 좋은 나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사림들의 노력을 당파싸움이라는 말 한마디로 정리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림들의 정치는 완벽했다고 미화만 할 수도 없다.
우리에게는 단점과 장점을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장점과 단점을 통하여 지금 우리가 배울 것을 찾아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정치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더더욱 과거를 돌아보고 현실을 고치는 역사가의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국정도서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인적자원부, 200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8 -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탐구당, 2003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변태섭, 「한국사 통론」, 삼영사, 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