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죽음이란, 밥 먹다가 갑자기 씹는 돌처럼 닥치는 것
삶도 알지 못하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는가
1. 한국의 무속 신앙과 죽음
2. 중국의 유교 사상과 죽음
3. 도교 사상과 죽음
4. 인도의 힌두교와 죽음
5. 불교 사상과 죽음
6. 서양 종교의 죽음관 - 그리스도교 사상과 죽음
마치며...
죽음이란, 밥 먹다가 갑자기 씹는 돌처럼 닥치는 것
삶도 알지 못하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는가
1. 한국의 무속 신앙과 죽음
2. 중국의 유교 사상과 죽음
3. 도교 사상과 죽음
4. 인도의 힌두교와 죽음
5. 불교 사상과 죽음
6. 서양 종교의 죽음관 - 그리스도교 사상과 죽음
마치며...
본문내용
영혼과 육신이 결합되어 천국에서 영생을 누리게 된다고 본다. 그리스도교의 죽음관은 바오로 사도의 \" 내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이다. 그리고 죽는 것도 내게는 이득이 된다. (필립비 1, 21)\" 라는구절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스도교에 있어서 죽음은 하나의 위기인 동시에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기는 하지만, 생물학적 죽음을 하찮은 일로 경시하고, 부활 사상에 중심을 두어 죽음을 새로운 존재로 이끌어 주는 \'희망\'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마치며...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있다. 유교에서 보는 관점이나 도교, 종교적인 측면에서이 삶과 죽음에 대한 시각은 다양하다.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에서 본질적인 물음이 “죽음”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나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의문일 것이다. 죽음을 생각하기에 앞서서 유교에서는 삶에 대한 자세를 짚어본다. 죽은 뒤의 세상은 인간사고의 한계로 보고 삶의 문제에 더 치중한다.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은 하루 86,400초이다. 이 시간들이 자신의 존재가 있음으로 해서 그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할 때 보다 가치 있는 삶을 만들어 감에는 부인할 수 없다. 사람들이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기우에 빠져 자신의 현재 삶을 부정한다면 많은 문제가 생길 것이다. 예전의 “휴거”로 세상을 떠들석하게 했던 사람들... 지금 그 사람들의 행적이 궁금해진다. 사이비 종교들에서의 잘못된 교리들로 선량했던 사람들이 죽고, 집단으로 세뇌당하고, 집단으로 많은 고통을 받고, 정신적으로 사람들의 생각을 잠식하는 잘못된 생각들을 자신에 대한 성찰로 벗어나고 비판해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자신이 수양되어 있지 못하면 잘못된 패러다임이나 사상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를 경계해주는 유교의 논리가 지금 세상에 더욱 부각되고 있는 이유가 아닌지 생각된다.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자신의 존재와 가치관을 가지고, 자신의 욕심에만 너무 치우쳐 중용적인 자세를 잃어버린다면 결국 오늘 죽으나 내일 죽으나 의미없는 삶을 살아가는 것은 마찬가지 일 것이다. 자신의 삶에 대한 감사와 자신의 노력이 필요함을 느껴야만 할 것이다. 이런 말이 생각이 난다.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 해도 나는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을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 자료)
맹자(孟子),홍성욱 역해,고려원, 1994.5.10
http://cmc.cuk.ac.kr/kangnam/hospice/2_3.html#top
마치며...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있다. 유교에서 보는 관점이나 도교, 종교적인 측면에서이 삶과 죽음에 대한 시각은 다양하다.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에서 본질적인 물음이 “죽음”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나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의문일 것이다. 죽음을 생각하기에 앞서서 유교에서는 삶에 대한 자세를 짚어본다. 죽은 뒤의 세상은 인간사고의 한계로 보고 삶의 문제에 더 치중한다.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은 하루 86,400초이다. 이 시간들이 자신의 존재가 있음으로 해서 그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할 때 보다 가치 있는 삶을 만들어 감에는 부인할 수 없다. 사람들이 죽음의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기우에 빠져 자신의 현재 삶을 부정한다면 많은 문제가 생길 것이다. 예전의 “휴거”로 세상을 떠들석하게 했던 사람들... 지금 그 사람들의 행적이 궁금해진다. 사이비 종교들에서의 잘못된 교리들로 선량했던 사람들이 죽고, 집단으로 세뇌당하고, 집단으로 많은 고통을 받고, 정신적으로 사람들의 생각을 잠식하는 잘못된 생각들을 자신에 대한 성찰로 벗어나고 비판해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자신이 수양되어 있지 못하면 잘못된 패러다임이나 사상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를 경계해주는 유교의 논리가 지금 세상에 더욱 부각되고 있는 이유가 아닌지 생각된다.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자신의 존재와 가치관을 가지고, 자신의 욕심에만 너무 치우쳐 중용적인 자세를 잃어버린다면 결국 오늘 죽으나 내일 죽으나 의미없는 삶을 살아가는 것은 마찬가지 일 것이다. 자신의 삶에 대한 감사와 자신의 노력이 필요함을 느껴야만 할 것이다. 이런 말이 생각이 난다.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 해도 나는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을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 자료)
맹자(孟子),홍성욱 역해,고려원, 1994.5.10
http://cmc.cuk.ac.kr/kangnam/hospice/2_3.html#top
추천자료
별과 인간의일생
삼국지의 등장인물을 통한 현대중국인의 태도 이해
영화 "영웅"을 통해 장예모 감독의 편집 스타일 분석
남녀는 왜 사랑하는가?
악법은 무엇이고, 악법도 법으로 인정해야 하는가?
종교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유학의 생태친화적 자연관
우리 마음속의 어두운 반려자-그림자
[고전소설 운영전][고전소설][운영전][고전문학][문학][소설][운영전평가]고전소설 운영전의 ...
[현대사회와 윤리] 원효 그리고 헤겔
[직업과 윤리] 윤리적 딜레마와 접근방법 - 야누스적 인간본성,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세가지...
[독후감] 베르나르 베르베르(Bernard Werber)의 <개미>를 읽고
(A+) 데미안(Demian)을 읽은 뒤 작성한 나의 소감 _ 헤르만 헤세는(Hermann Hesse) 저
[사회복지정책론] 존엄사에 대한 생각 서술 : 안락사(존엄사)에 대한 나의 견해(안락사찬성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