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목적
실험이론
실험방법
실험결과
토의
참고문헌
실험이론
실험방법
실험결과
토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구분하는 실험6 을 이용한다. B값이 커브모양에 어떤 영향 을 주는지 측정한다.
(4) 액정 제동 부속품이 있다면, 그것을 위 실험의 제동의 어느곳에나 DHMA 기구를 사용할수 있다. 그리고 액정 점도의 수단처럼 B 결정에 사용할 수 있다.
8. 참고 도서
- 기초물리학 / 대학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범한서적주식회사
- 대학물리학 /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청문각
※결과 및 토의
Experiment 1 : Measuring the Spring Constant
spring 1 (가장긴 것) 처음길이 : 0.15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092
0.058
0.862
60
0.075
0.075
0.8
70
0.057
0.093
0.752
평균값
k = 0.804 (N/m)
spring 2 (중간길이) 처음길이 : 0.13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097
0.033
1.151
60
0.086
0.044
1.363
70
0.076
0.055
1.272
평균값
k = 1.383 (N/m)
spring 3 (가장 짧은것) 처음길이 : 0.155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136
0.019
2.631
60
0.131
0.024
2.5
70
0.126
0.029
2.413
평균값
k = 2.514 (N/m)
첫 번째 실험은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구하는 것이다. 먼저 실험에 적합한
스프링 3개를 선정했다. 그리고 제일 긴 스프링부터 실험을 시작하였다.
설치된 스프링의 처음 길이를 측정하고 50g의 질량을 매단 후 늘어난 스프링의
나중길이를 측정하여 스프링의 탄성계수 값을 구하였다.
( 50g의 질량은 저울로 측정한 것이다. ) 다음 10g 씩 두 번의 측정을
더 하여 탄성계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다른 스프링으로
실험을 반복하여 3개의 탄성계수 값을 얻었다. 탄성계수 구하는 공식은
k = mg / x 이므로 위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을 할때 스프링
길이의 변형과 중간 중간에 손상된 부분이 있어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없
었으리라고 짐작한다.
Experiment 2 : Measuring the Resonant Frequency
spring 1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0.804(N/m)
횟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5
0.41
82
2
0.5
0.40
80
3
0.5
0.25
50
4
0.5
0.31
62
5
0.5
0.52
104
6
0.5
0.35
70
7
0.5
0.62
124
8
0.5
0.29
58
9
0.5
0.34
68
10
0.5
0.52
104
spring 2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1.383(N/m)
횟 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381
0.18
47.24
2
0.381
0.10
26.25
3
0.381
0.32
83.99
4
0.381
0.25
65.62
5
0.381
0.32
83.99
6
0.381
0.28
73.47
7
0.381
0.26
62.24
8
0.381
0.31
81.36
9
0.381
0.26
68.24
10
0.381
0.30
78.74
spring 3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2.514(N/m)
횟 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283
0.20
70.67
2
0.283
0.19
67.14
3
0.283
0.27
95.41
4
0.283
0.40
104.99
5
0.283
0.40
104.99
6
0.283
0.44
155.48
7
0.283
0.19
67.14
8
0.283
0.46
162.54
9
0.283
0.40
141.34
10
0.283
0.27
95.41
이번실험은 초당 질량의 진동 주기를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추의 질량을 구하고 1번 실험의 탄성계수를 대입하였다. 질량구하는 공식은
m = 0.05 / 9.8 이고 진동 주기 구하는 공식은 T = 2π/ 이다. 이식으로
이론치를 구하고 실험을 해서 얻은 값을 비교하였다. 이 실험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스프링이 진동할 때 무상쇄, 무운전 조화진동이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실험을 할 때 스프링이 튀어서 위에 부딪히기도 하고, mass bar가
Upper Mass Guide의 옆면에 부딪혀 감쇠운동이 되었다. 그래서 실험으로
구한 진동 주기가 이론치 보다 작게 나온것같다.
Experiment 3 : Extraneous Damping
초기값 : 0.085m
추 의 질량 : 0.0051kg 주기(T) : 0.79(sec) 진폭(mm)
실험
진동수
1
2
3
4
5
6
10
59
76
51
46
73
74
20
35
54
18
29
52
51
30
15
34
33
31
40
19
21
18
이 실험은 진동 운동하는 물체의 공기저항이나 다른 마찰원으로 인해
감쇄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다. 감쇄 방정식은
x = Ae-(B/2m)tsin(wt+θ) 이고 주기 운동에서 진폭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수 e-(B/2m)t에 의해 감소한다. 진동의 주기를 관찰하는 실험인데
10번을 한번으로 보고 실험을 하였다. 생각보다 진동수가 적어서 실험을
정확히 할 수 없었다. 스프링의 이상때문인 것 같다.
Experiment 4 : Ampltude Versus Driving Frequency
Driving Frequency(Hz)
진 폭 (mm)
0.5
2 4
0.6
2 5
0.7
2 7
이 실험은 주파수와 진폭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주파수는
0.5Hz부터 0.7Hz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우선 스프링의 이상도
있겠지만, 기계뒷부분 Drive기능을 하는 줄이 노끈으로 연결되어 있어
마찰이 심해 실험이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 또 매듭이 걸려 있어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없었다.
- 참고 도서
- 기초물리학 / 대학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범한서적주식회사
- 대학물리학 /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청문각
(4) 액정 제동 부속품이 있다면, 그것을 위 실험의 제동의 어느곳에나 DHMA 기구를 사용할수 있다. 그리고 액정 점도의 수단처럼 B 결정에 사용할 수 있다.
8. 참고 도서
- 기초물리학 / 대학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범한서적주식회사
- 대학물리학 /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청문각
※결과 및 토의
Experiment 1 : Measuring the Spring Constant
spring 1 (가장긴 것) 처음길이 : 0.15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092
0.058
0.862
60
0.075
0.075
0.8
70
0.057
0.093
0.752
평균값
k = 0.804 (N/m)
spring 2 (중간길이) 처음길이 : 0.13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097
0.033
1.151
60
0.086
0.044
1.363
70
0.076
0.055
1.272
평균값
k = 1.383 (N/m)
spring 3 (가장 짧은것) 처음길이 : 0.155m
질량(kg중)
나중 길이(m)
늘어난 길이(m)
탄성계수(N/m)
50
0.136
0.019
2.631
60
0.131
0.024
2.5
70
0.126
0.029
2.413
평균값
k = 2.514 (N/m)
첫 번째 실험은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구하는 것이다. 먼저 실험에 적합한
스프링 3개를 선정했다. 그리고 제일 긴 스프링부터 실험을 시작하였다.
설치된 스프링의 처음 길이를 측정하고 50g의 질량을 매단 후 늘어난 스프링의
나중길이를 측정하여 스프링의 탄성계수 값을 구하였다.
( 50g의 질량은 저울로 측정한 것이다. ) 다음 10g 씩 두 번의 측정을
더 하여 탄성계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다른 스프링으로
실험을 반복하여 3개의 탄성계수 값을 얻었다. 탄성계수 구하는 공식은
k = mg / x 이므로 위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을 할때 스프링
길이의 변형과 중간 중간에 손상된 부분이 있어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없
었으리라고 짐작한다.
Experiment 2 : Measuring the Resonant Frequency
spring 1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0.804(N/m)
횟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5
0.41
82
2
0.5
0.40
80
3
0.5
0.25
50
4
0.5
0.31
62
5
0.5
0.52
104
6
0.5
0.35
70
7
0.5
0.62
124
8
0.5
0.29
58
9
0.5
0.34
68
10
0.5
0.52
104
spring 2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1.383(N/m)
횟 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381
0.18
47.24
2
0.381
0.10
26.25
3
0.381
0.32
83.99
4
0.381
0.25
65.62
5
0.381
0.32
83.99
6
0.381
0.28
73.47
7
0.381
0.26
62.24
8
0.381
0.31
81.36
9
0.381
0.26
68.24
10
0.381
0.30
78.74
spring 3 질량 : 0.0051kg 탄성계수 : 2.514(N/m)
횟 수
진동 주기(T)
오차율(%)
이론치(sec)
실험치(sec)
1
0.283
0.20
70.67
2
0.283
0.19
67.14
3
0.283
0.27
95.41
4
0.283
0.40
104.99
5
0.283
0.40
104.99
6
0.283
0.44
155.48
7
0.283
0.19
67.14
8
0.283
0.46
162.54
9
0.283
0.40
141.34
10
0.283
0.27
95.41
이번실험은 초당 질량의 진동 주기를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추의 질량을 구하고 1번 실험의 탄성계수를 대입하였다. 질량구하는 공식은
m = 0.05 / 9.8 이고 진동 주기 구하는 공식은 T = 2π/ 이다. 이식으로
이론치를 구하고 실험을 해서 얻은 값을 비교하였다. 이 실험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스프링이 진동할 때 무상쇄, 무운전 조화진동이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실험을 할 때 스프링이 튀어서 위에 부딪히기도 하고, mass bar가
Upper Mass Guide의 옆면에 부딪혀 감쇠운동이 되었다. 그래서 실험으로
구한 진동 주기가 이론치 보다 작게 나온것같다.
Experiment 3 : Extraneous Damping
초기값 : 0.085m
추 의 질량 : 0.0051kg 주기(T) : 0.79(sec) 진폭(mm)
실험
진동수
1
2
3
4
5
6
10
59
76
51
46
73
74
20
35
54
18
29
52
51
30
15
34
33
31
40
19
21
18
이 실험은 진동 운동하는 물체의 공기저항이나 다른 마찰원으로 인해
감쇄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다. 감쇄 방정식은
x = Ae-(B/2m)tsin(wt+θ) 이고 주기 운동에서 진폭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수 e-(B/2m)t에 의해 감소한다. 진동의 주기를 관찰하는 실험인데
10번을 한번으로 보고 실험을 하였다. 생각보다 진동수가 적어서 실험을
정확히 할 수 없었다. 스프링의 이상때문인 것 같다.
Experiment 4 : Ampltude Versus Driving Frequency
Driving Frequency(Hz)
진 폭 (mm)
0.5
2 4
0.6
2 5
0.7
2 7
이 실험은 주파수와 진폭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주파수는
0.5Hz부터 0.7Hz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우선 스프링의 이상도
있겠지만, 기계뒷부분 Drive기능을 하는 줄이 노끈으로 연결되어 있어
마찰이 심해 실험이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 또 매듭이 걸려 있어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없었다.
- 참고 도서
- 기초물리학 / 대학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범한서적주식회사
- 대학물리학 /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 청문각
키워드
추천자료
기독교 평화운동의 이론과 실천유형
일반 물리 실험 단조화 운동 결과 보고서
조화진동 Harmonic Oscillation 예비레포트
비틀림 진자 조화진동에 대한 조사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의 조화방안
공간의 재문화화와 용산미군기지 시민생태공원화 운동사례 및 전략
인지 부조화이론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이론에 입각한 광고사례 분석
만유인력 하의 궤도운동 프리레포트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충돌 및 운동량 보존
단순조화모션
일반물리학 - 운동량 보존 실험
[운동량][운동량 개요][운동량과 운동량보존][운동량과 각운동량보존][운동량과 선운동량][평...
단조화운동 예비보고서
천체 물리학 서론 정리 - Part 01 (천체 역학과 태양계, 태양계의 개관, 지구의 운동, 지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