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경기변동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효수요이론(effective demand)

2. 선형가속도이론(Samuelson, Acceleration Principle)

3. Metzler의 설명

4. Hicks의 설명(비선형가속도이론)

본문내용

정한다. 과거에 장사가 잘되었다면 재고생산을 늘리게 된다.
·한계소비성향의 크기는 0과 1사이에 있다.
- 모형의 해결
·Y에 대하여 정리하면
Y_t - 2b Y_t-1 + bY_t-2 = I_0
·사무엘슨의 경우와 같이 푼다.
·특수해는
Y= I_0 over {1-b}
·근은
x=b+-root{b(b-1)} = b+-root{b(1-b)} cdot i
·허근이므로 순환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고, 허수의 놈은 b이므로 0과 1사이에 있다.
·즉, 특수해의 수준을 중심으로 순환하면서 특수해에 접근하게 된다.
4. Hicks의 설명(비선형가속도이론)
-모형은 본질적으로 사무엘슨의 모형과 동일하지만 약간의 추가적 제약이 있다.
·
Y_t = C_t + I_t
국민소득이 총수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는 유효수요 이론
·
C_t = bY_t-1
장기소비함수
시차의 도입으로 전기의 국민소득수준이 현재의 소비수준을 결정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인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
I_t = v left(Y_t-1 - Y_t-2 right) + I_0 r^t
비선형가속도계수를 설정: 경기의 흐름에 따라 0 혹은 확산의 조건을 만족함.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는 항상적인 투자 혹은 독립투자가 존재한다.
·생산가능정도는 일정한 속도로 증가한다.
생산이 초과할 수 없는 영역을 설정하게 된다. 上限
·자본의 감가상각이 발생한다.
감가상각을 대체하는 투자가 유지되고 있으며, 생산은 독립투자와 소비의 크기를 下限으 로 한다.
-모형의 풀이
·위의 모형을 해결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 특이한 것은 특수해를 구할 때,
Y가 일정하다는 가정을 도입할 수 없다
·일단 위의 식을 Y에 대하여 정리하면
Y_t - LEFT ( 1-s+v RIGHT )Y_t-1 + v Y_t-2 = I_0 r^t
·근을 구하면 사무엘슨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비선형의 조건에 따라 확산하는 형태를 띤다.
·특수해는 Y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서 구하게 되고, 그 결과는 ??
·따라서 균형점/특수해의 궤적을 이탈하게 되면 즉시 발산하는 과정을 겪는다.
발산의 과정은 위로부터 제약을 받고, 시간이 지나면서 순투자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Y의 증가속도가 작아지면서 경기의 하락과정이 발생한다.
하락의 지속은 결국 하한에 걸리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순투자의 증가가 나타난다.
·순환은 비선형 가속도와 추가된 2개의 가정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30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