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트라자야 - 신행정도시 및 신행정수도 해외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푸트라자야 - 신행정도시 및 신행정수도 해외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1

2) 개발배경 2
① Vision 2020 2
② 실질적 추진 배경 2

3) 신도시 개발 방향 및 개발 목표 3

4) 토지이용계획 4
① 개요 4
② 도시 공간 ․ 구조 계획 (생활권, 커뮤니티 관련 등) 5
③ 전통가치의 회복을 위한 노력 6

5) 부문별 계획 6
① 주거부문 계획 6
② 상업부문 계획 7
④ 교통계획 8
③ 공원 ․ 녹지 ․ 하천 계획 8
④ 환경보전 및 에너지 계획 9

본문내용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첨단 정보도시(Intelligent City)
푸트라자야가 도시비전으로 추구하는 첨단 정보도시의 구현형태는 제품과 서비스가 누구나 어떠한 시간과 장소에서도 접근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통합된 전자커뮤니티를 만드는 것
사람들이 집이나 직장과 같은 편리한 장소에서 세금납부, 은행업무, 쇼핑, 티켓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도시를 건설한다는 것
4) 토지이용계획
① 개요
푸트라자야의 공간적 위치는 우리나라 수도권에 건설된 5개 신도시와 유사
5개 신도시가 서울에서 통근, 통학이 가능한 반경 20~30km의 거리에 건설된 것처럼 푸트라자야는 수도인 콸라룸푸르에서 25km 떨어진 거리에 건설되고 있음
그러나 푸트라자야는 분당의 약 2.3배에 해당하는 4,581ha(1,386만평)의 면적에 목표연도인 2010년까지 분당신도시 인구의 86%수준인 335천명을 수용하며, 2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임
ha당 총인구밀도는 73인 수준으로서 분당의 계획인구밀도 199인/ha의 약 1/3에 불과한 수준임. 사업완료시점까지 전체사업비는 약 97.2천억 원(81억 달러)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② 도시 공간 구조 계획 (생활권, 커뮤니티 관련 등)
푸트라자야는 다음의 몇 가지 특성들을 수용하는 전원도시로 개발하고자 하는 기본개념으로 설계가 이루어졌으며 구역단위로 개발 특징이 있음
녹지 open space에 많은 면적 할애
인공 호수를 도시 내 신설
호수건설을 통한 38km의 수변공간 신설
20개 (precinct)구역으로 구획
전통적 개념의 근린 컨셉에 기초해서 커뮤니티를 계획
도시의 중심축으로서 4.2km의 대로 형성
③ 전통가치의 회복을 위한 노력
말레이시자 정부는 푸트라자야를 행정중심도시(Administrative Center)로 건설함에 있어서도 기존 말레이시아의 전통적 커뮤니티의 정신을 계승, 현대적 접목을 위해 몇 가지 시도를 함
대표적인 것으로 커뮤니티외곽의 규모를 커뮤니티 센터로부터 1/4마일까지로 한 점(일반적인 도시계획학에서 제시하는 근린주구의 거리인 1/2마일의 절반에 해당하는 구역을 커뮤니티의 공간구조로 함)
5) 부문별 계획
① 주거부문 계획
주거지역은 전체 개발면적 중 25.5%인 2,888에이커(ac)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징적인 것은 전체 공급되는 가구 중 약 52%가 공무원들에게 공급되는 것
푸트라자야는 전첵가 다양한 규모의 15개 구역으로 세분화되며 이중 12개 구역은 주거용도위주로 개발되고 있음
각 구역들은 구역의 특색을 고려하고 독특한 경관을 창출하면서 각 구역의 장소성을 부각시키고 있음
상주인구 : 33.5만 명을 계획하여 총 67,000호의 주택이 건설될 예정
사회의 계층 MIX를 위해 다양한 주택유형, 평형, 주거밀도를 배치하고 있음
공급되는 주택의 유형 중 테라스 주택형, semi-detached, 방갈로형, 콘도미니엄형, 타운하우스 등 고가 주택 유형도 다양하게 공급할 예정임
또한, 각 구역에는 유치원, 놀이터, 커뮤니티시설, 보건시설들이 배치되어 구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기초생활권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음
② 상업부문 계획
상업부문 계획 중 가장 특징있는 곳은 4구역임
4구역은 2, 3구역과 함께 푸트라자야의 중심상업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213ha(64.4만평)의 면적에 개발되고 있음
상업 4구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다양한 고밀도의 건축물들이 건설
단, 전원도시로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구역전체면적의 45%를 소규모공원(pocket park)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배치함
일반적으로 심야에 도심상업지에서 발생사하는 도심공동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역의 동서쪽에 소규모 주거지역을 배치 계획을 반영함
상업 4구역에 도입된 기능 및 시설
첫째, 보행도로 설치
둘째, 광장 건설(관광객의 이용 증대 및 극대화 : 라키앗(Rakyat)광장과 제미랑(Gemilang)광장)
셋째, 수변공간 개발(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의 야간활동 활성화 위해 개발)
④ 교통계획
푸트라자야의 교통계획은 차량의 통행을 최소화하고 대중교통 위주의 중앙부 접근을 구성하고 있음
즉, 중심업무 구역으로 접근하는 호수에 조성된 다리들과 중심부를 관통하는 대로로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Park and Ride 및 기타 다양한 대중교통 유도수단을 강구하였음
③ 공원 녹지 하천 계획
푸트라자야의 공원 및 녹지, 하천계획의 개념은 정원도시임
전체 개발면적 중 37.6%는 개방된 공간으로 보존되며, 이들 지역은 도시형공원, 시립공원, 습지, 완충지역, 수변공원 등으로 활용됨
수변지역의 대부분은 호수와 습지로 구성
호수개발 목적 : 레크레이션, 수상스포츠, 수상 교통 등
습지의 역할 : 200ha에 달하는 인공습지는 호수로 유입되는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는 거름막 역할
④ 환경보전 및 에너지 계획
계획초기부터 자연환경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원칙을 정하고 도시와 자연의 공존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마련하였다. 특히 푸트라자야의 주된 자연경관을 구성하는 호수와 습지에 이러한 계획이 집중되었으며, 생태적 영속성과 당위성을 보장하고 시민들의 여가 활동과 건강한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의 활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자연경관의 활용과 관련된 계획시설로는 38km에 이르는 수변 산책로와 수상 레저시설들, 그리고 복합용도의 수변 상업시설 등이 있다.
참고문헌
1. 푸트라자야 시청 : www.ppj.gov.my
2. 푸트라자야 시청, Planning and Development of Putrajaya
3. 남영우(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해외출장보고서, 2005
4. 성유경, 신도시 푸트라자야-말레이시아의 미래 비전, 건설저널, 2006.10
5. 손동욱, 푸트라자야 도시계획의 개념과 실행에 관한 외부 초청 강연, 국토 2006.12
6. 시에드 자이놀 아비딘 이디드ㆍ세리나 히자스ㆍ림 텡 응이옴ㆍ탄 로크 문, 인터뷰: 쿠알라룸푸르,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월간 SPACE 0701
7.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해외도시 건설ㆍ개발 사례조사
8.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추진위원회, 말레이시아 및 카자흐스탄 사례조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5.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