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제 1. ELM(정교화 가능성 모형)이란 무엇인가?
※ 주제 2. 유머, 공포, 패러디 광고의 효과 원리와 제한점(문제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라.
※ 주제 2. 유머, 공포, 패러디 광고의 효과 원리와 제한점(문제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라.
본문내용
들짝 놀라 뒷걸음친다. 그녀가 웃는 순간 보인 그녀의 누런이와 까만색 이물질들 심지어 파리까지 그녀의 입주위를 맴돌고 있는 것이다. 그 모습과 함께 들려오는 나레이션 ‘담배를 끊지 않으면 사람들이 당신을 끊습니다.’라고 말한다. 그녀는 텅 빈 카페에 홀로앉아 외로움을 달래고 있다.
3. 패러디광고
패러디는 기존에 잘 알려진 보편성을 가진 원작의 명성을 이용하여 풍자적으로 재구성하여 광고의 소재나 테마로 이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더 나아가 광고매체를 통해 영화나 그림 등이 인지된 상태에서 재창조를 통한 아이러니의 형성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며 대중산업사회에서 대중과 가장 밀접한 광고의 역할이 문화적인 측면으로까지 확대되게 되는 당위성을 지니게 된다. 김규철, ‘패러디광고의 주목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8권. 1999. p.213
패러디 광고의 경우, 그 광고가 갖는 맥락정보는 광고의 재인식과 회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 등의 인물이나 소재 등을 광고에 인용했을 때, 그 영화나 드라마의 인물이나 소재가 지니는 캐릭터나 상황이 자연스럽게 맥락의 역할을 해 주어 광고의 이해와 인식 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러디광고가 자주 반복해서 사용될 경우, 여러 광고로 인하여 기억상의 간섭현상에 의해 제품 속성에 대한 회상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광고하는 제품이나 메시지보다 패러디 원전을 위주로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즉, 드라마나 영화가 광고 메시지를 가리는 음영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순수미술 패러디 광고의 효과 연구 : 인쇄매체 광고를 중심으로 / 반윤정
『패러디광고의 사례』
< 금연 패러디 광고. 2003 >
≫ 설명 : 위 그림은 풍자적 성격이 강한 패러디 작품으로 금연캠페인을 위해 2003년 제작된 광고이다. 이 광고는 순수하고 깨끗한 느낌의 동화 백설 공주를 이용하고 있다. 마녀는 원작에서의 독이 든 빨간 사과 대신 빨간 색 케이스 속에 담겨진 담배를 순수하고 때 묻지 않은 어린 백설 공주에게 권한다. 원작에서 독이 든 사과를 받아 물었을 때 백설 공주가 쓰러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담배를 절대 받아 들어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한 번 더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이 광고는 어린이도 담배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뼈있는 표현 또한 담겨 있어 우리 사회에 깊숙이 박힌 청소년과 어린이의 흡연문제에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
3. 패러디광고
패러디는 기존에 잘 알려진 보편성을 가진 원작의 명성을 이용하여 풍자적으로 재구성하여 광고의 소재나 테마로 이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더 나아가 광고매체를 통해 영화나 그림 등이 인지된 상태에서 재창조를 통한 아이러니의 형성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며 대중산업사회에서 대중과 가장 밀접한 광고의 역할이 문화적인 측면으로까지 확대되게 되는 당위성을 지니게 된다. 김규철, ‘패러디광고의 주목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8권. 1999. p.213
패러디 광고의 경우, 그 광고가 갖는 맥락정보는 광고의 재인식과 회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 등의 인물이나 소재 등을 광고에 인용했을 때, 그 영화나 드라마의 인물이나 소재가 지니는 캐릭터나 상황이 자연스럽게 맥락의 역할을 해 주어 광고의 이해와 인식 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러디광고가 자주 반복해서 사용될 경우, 여러 광고로 인하여 기억상의 간섭현상에 의해 제품 속성에 대한 회상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광고하는 제품이나 메시지보다 패러디 원전을 위주로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즉, 드라마나 영화가 광고 메시지를 가리는 음영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순수미술 패러디 광고의 효과 연구 : 인쇄매체 광고를 중심으로 / 반윤정
『패러디광고의 사례』
< 금연 패러디 광고. 2003 >
≫ 설명 : 위 그림은 풍자적 성격이 강한 패러디 작품으로 금연캠페인을 위해 2003년 제작된 광고이다. 이 광고는 순수하고 깨끗한 느낌의 동화 백설 공주를 이용하고 있다. 마녀는 원작에서의 독이 든 빨간 사과 대신 빨간 색 케이스 속에 담겨진 담배를 순수하고 때 묻지 않은 어린 백설 공주에게 권한다. 원작에서 독이 든 사과를 받아 물었을 때 백설 공주가 쓰러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담배를 절대 받아 들어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한 번 더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이 광고는 어린이도 담배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뼈있는 표현 또한 담겨 있어 우리 사회에 깊숙이 박힌 청소년과 어린이의 흡연문제에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