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 고찰
ⅱ. 간 호 력
ⅲ. RAB DATA
ⅳ. MEDICATION
ⅴ. 간호 진단
ⅵ. 실습 소감
참고문헌 & 참고 사이트
ⅱ. 간 호 력
ⅲ. RAB DATA
ⅳ. MEDICATION
ⅴ. 간호 진단
ⅵ. 실습 소감
참고문헌 &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인다. 호흡음 : 깊은 흡기의 끝에 가서 크고, 거친 나음(crackle). 경축된 기도로 공기가 통과할 때 천명(wheezing)이 발생하고 호흡을 돕기 위해 보조근육들이 견축된다.
♣ 평가
기침양상이 줄어들었다.
청진 상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약해졌다.
PH 7.35, PCO₂35, BE -2
#2. 고체온
♣ 사정
-주관적 자료
“이마에 열이 나요”
“온 몸이 뜨거워요”
-객관적 자료
체온이 37.7°이다.
♣ 진단 : 감염에 의한 고 체온
♣ 간호중재
①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는다.
⇒ 증발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② 옷을 얇게 입히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 준다
⇒ 열의 전도를 돕는다.
③ 가습기를 적용한다.
④ 활력징후를 자주 사정한다 (특히 체온)
⇒ 정상체온 범위
경구 : 36.4 ~ 37.4
직장 : 36.2 ~ 37.8
액와 : 35.9 ~ 36.7 임상메뉴얼 p. 1835
⑤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 순천향대학병원의 경우 보통 38℃이상일 때 투여한다.
용량은 환아의 몸무게에 따라 다르다
♣ 평가
체온이 37.7℃ → 36.9℃로 정상범위이다.
#3. 설사, 식욕부진, 체중감소,
♣ 사정
-주관적 자료
“설사를 많이 해요”
“체중도 줄었어요”
“잘 먹지 않고 소변량도 줄었어요”
-객관적 자료
설사 하루 8차례
체중 11kg → 10kg
소변량 감소 100cc → 90cc
sodium 146↑
potassium 5.0
♣ 진단 : 잦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 간호중재
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 음식 섭취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②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옷, 배뇨상태, 음식 섭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변화를 사정한다
⇒ 체중은 수분과다 또는 탈수를 반영한다. 아동간호학 p. 337
③ 수분 공급
⇒ 설사로 인한 체액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해 준다.
④ 좋아하는 음식을 사정하여 조금씩 자주 준다
⇒ 먹는량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 평가
체중 10kg → 11kg 으로 더 이상의 체중 감소 없음
탈수 증상이 없어짐
sodium 140 , potassium 4.0 정상 범위 안에 있다.
#6. 가족력에 의한 감염 위험성
사정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제가 감기에 걸렸어요”
객관적 자료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
가족력의 upper
respiratory
infection로부터 감염을 막는다.
upper
respiratory
infection치료 시까지 되도록 환아와의 접촉을 줄이도록 하라고 얘기한다.
치료를 빠른 시일 내에 하게하고 환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설명 해 준다.
환아에게
infectiont될 수 있다
환자의 특성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
평가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이 치료되어 감염이 없었다.
#7. 낯선 환경, 처치, 의료기구와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불안정
보챔
울음
편안해 보인다
휴식이나 잠의 양상이 정상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낯선 환경에 스스로 들어가도록 유도한다(엄마와 함께 시도)
기분전환 요법을 실시한다 ( 장난감, 음악, 등)
집에서 종아 했던물건이 있으면 엄마에게 가지고 오도록 하여 친숙함을 느끼도록 한다.
불안을 감소시킨다
평가
환아가 편안해 보인다
환아가 휴식하는 동안이나 잠의 양상이 정상이고 편안해 보인다.
ⅵ. 실습을 마치며.....
2학년이 되면서 첫 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모르는 것도 많은데 실습을 시작하게 되면 그 전에 준비를 무엇을 어떤 것부터 해야할지 걱정도 많이 했는데..
A반이라는 반의 특성상 2학년이 되면서 바로 실습을 나가지 않게 되어서 한편으로는 마음이 놓였습니다.
실습 나가있는 친구들한테도 실습에 관한 이야기를 자세히는 아니지만 이쪽 저쪽 흐르는 소리로 들었지만 직접 나가지 않은 저에게는 멀기만 한 이야기로 들려왔습니다. 첫 파트에 소아과에 나가게 되었는데 아이들을 좋아하는 어떤 친구는 너무도 부러워하기도 했습니다.
소아과에 나가게 되면 어떤 것을 알아야 할까 어떤 식으로 해야 할까 자료도 찾아보고 책도 보았습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많이 머릿속에 넣어 간 것은 없는 듯 했습니다. 처음 소아과에 가서 인계 시간이 되었는데요. 1학년 1학기 때 배웠던 기초적인 의학용어들은 들릴 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너무도 어리숙하고 머릿속이 텅 비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라운딩을 선생님들과 함께 돌면서 환아들의 상태도 같이 살피고 얘기도 들으니 알아듣진 못했지만 왠지 모를 나도 병원의 한 식구가 된 것 같아서 우쭐 해 지는 것 같았습니다.
정작 진단명도 잘 모르면서 겉모습에 나도 간호사선생님이 된 양 우쭐 해 하는 자신에 조금 웃음이 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첫 하루 실습이 지나가고 숙소로 돌아와 기본적인 의학용어들에 대해서 조금씩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너무도 기본적인 호흡수에 대해서도 책을 보면서 노트에 적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오리엔테이션에 말씀하셨던 중요한 약 용량과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리하면서도 과연 나의 지식 속으로 들어가고 있는지는 직접적으로 느끼진 못했지만 반복적으로 읽고 쓰고 하다보면 언젠간 나에게 소아의 약 용량 방법이나 예방접종이나 호흡수에 대해 공부했던 것이 사용할 날이 왔을 때 보람을 느낄 것이라 생각하며 열심히 준비하고 또 준비할 생각입니다. 지금 제가 느끼는 부족함이 나의 노력으로 많이 채워져서 어느 누가 보아도 혜전대학 2학년 학생의 위치에 부족함이 없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Ⅱ (2004) 현문사
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2004) 한우리
아동간호학 총론 각론 (2003) 현문사 문선숙 외
진단검사 가이드북 (2004) 정담 미디어 정승은 외
『참고 사이트』
http://mcn.healthis.org/breath/breath2.htm#세
http://www.cnuped.or.kr/data_file/data08/bronchus.hwp
♣ 평가
기침양상이 줄어들었다.
청진 상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약해졌다.
PH 7.35, PCO₂35, BE -2
#2. 고체온
♣ 사정
-주관적 자료
“이마에 열이 나요”
“온 몸이 뜨거워요”
-객관적 자료
체온이 37.7°이다.
♣ 진단 : 감염에 의한 고 체온
♣ 간호중재
①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는다.
⇒ 증발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② 옷을 얇게 입히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 준다
⇒ 열의 전도를 돕는다.
③ 가습기를 적용한다.
④ 활력징후를 자주 사정한다 (특히 체온)
⇒ 정상체온 범위
경구 : 36.4 ~ 37.4
직장 : 36.2 ~ 37.8
액와 : 35.9 ~ 36.7 임상메뉴얼 p. 1835
⑤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 순천향대학병원의 경우 보통 38℃이상일 때 투여한다.
용량은 환아의 몸무게에 따라 다르다
♣ 평가
체온이 37.7℃ → 36.9℃로 정상범위이다.
#3. 설사, 식욕부진, 체중감소,
♣ 사정
-주관적 자료
“설사를 많이 해요”
“체중도 줄었어요”
“잘 먹지 않고 소변량도 줄었어요”
-객관적 자료
설사 하루 8차례
체중 11kg → 10kg
소변량 감소 100cc → 90cc
sodium 146↑
potassium 5.0
♣ 진단 : 잦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 간호중재
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 음식 섭취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②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옷, 배뇨상태, 음식 섭취상태)에서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변화를 사정한다
⇒ 체중은 수분과다 또는 탈수를 반영한다. 아동간호학 p. 337
③ 수분 공급
⇒ 설사로 인한 체액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해 준다.
④ 좋아하는 음식을 사정하여 조금씩 자주 준다
⇒ 먹는량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 평가
체중 10kg → 11kg 으로 더 이상의 체중 감소 없음
탈수 증상이 없어짐
sodium 140 , potassium 4.0 정상 범위 안에 있다.
#6. 가족력에 의한 감염 위험성
사정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제가 감기에 걸렸어요”
객관적 자료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
가족력의 upper
respiratory
infection로부터 감염을 막는다.
upper
respiratory
infection치료 시까지 되도록 환아와의 접촉을 줄이도록 하라고 얘기한다.
치료를 빠른 시일 내에 하게하고 환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설명 해 준다.
환아에게
infectiont될 수 있다
환자의 특성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
평가
가족력 상 upper respiratory infection이 치료되어 감염이 없었다.
#7. 낯선 환경, 처치, 의료기구와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불안정
보챔
울음
편안해 보인다
휴식이나 잠의 양상이 정상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낯선 환경에 스스로 들어가도록 유도한다(엄마와 함께 시도)
기분전환 요법을 실시한다 ( 장난감, 음악, 등)
집에서 종아 했던물건이 있으면 엄마에게 가지고 오도록 하여 친숙함을 느끼도록 한다.
불안을 감소시킨다
평가
환아가 편안해 보인다
환아가 휴식하는 동안이나 잠의 양상이 정상이고 편안해 보인다.
ⅵ. 실습을 마치며.....
2학년이 되면서 첫 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모르는 것도 많은데 실습을 시작하게 되면 그 전에 준비를 무엇을 어떤 것부터 해야할지 걱정도 많이 했는데..
A반이라는 반의 특성상 2학년이 되면서 바로 실습을 나가지 않게 되어서 한편으로는 마음이 놓였습니다.
실습 나가있는 친구들한테도 실습에 관한 이야기를 자세히는 아니지만 이쪽 저쪽 흐르는 소리로 들었지만 직접 나가지 않은 저에게는 멀기만 한 이야기로 들려왔습니다. 첫 파트에 소아과에 나가게 되었는데 아이들을 좋아하는 어떤 친구는 너무도 부러워하기도 했습니다.
소아과에 나가게 되면 어떤 것을 알아야 할까 어떤 식으로 해야 할까 자료도 찾아보고 책도 보았습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많이 머릿속에 넣어 간 것은 없는 듯 했습니다. 처음 소아과에 가서 인계 시간이 되었는데요. 1학년 1학기 때 배웠던 기초적인 의학용어들은 들릴 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너무도 어리숙하고 머릿속이 텅 비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라운딩을 선생님들과 함께 돌면서 환아들의 상태도 같이 살피고 얘기도 들으니 알아듣진 못했지만 왠지 모를 나도 병원의 한 식구가 된 것 같아서 우쭐 해 지는 것 같았습니다.
정작 진단명도 잘 모르면서 겉모습에 나도 간호사선생님이 된 양 우쭐 해 하는 자신에 조금 웃음이 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첫 하루 실습이 지나가고 숙소로 돌아와 기본적인 의학용어들에 대해서 조금씩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너무도 기본적인 호흡수에 대해서도 책을 보면서 노트에 적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오리엔테이션에 말씀하셨던 중요한 약 용량과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리하면서도 과연 나의 지식 속으로 들어가고 있는지는 직접적으로 느끼진 못했지만 반복적으로 읽고 쓰고 하다보면 언젠간 나에게 소아의 약 용량 방법이나 예방접종이나 호흡수에 대해 공부했던 것이 사용할 날이 왔을 때 보람을 느낄 것이라 생각하며 열심히 준비하고 또 준비할 생각입니다. 지금 제가 느끼는 부족함이 나의 노력으로 많이 채워져서 어느 누가 보아도 혜전대학 2학년 학생의 위치에 부족함이 없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문헌』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Ⅱ (2004) 현문사
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2004) 한우리
아동간호학 총론 각론 (2003) 현문사 문선숙 외
진단검사 가이드북 (2004) 정담 미디어 정승은 외
『참고 사이트』
http://mcn.healthis.org/breath/breath2.htm#세
http://www.cnuped.or.kr/data_file/data08/bronchus.hwp
추천자료
천식 연구 문헌고찰 간호
간암 문헌고찰
Ⅰ.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의 문헌고찰
심근경색과 고혈압에 대한 문헌고찰
폐렴(폐암)문헌고찰 간호사정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문헌고찰
SPR 스키조 정신분열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분만 (문헌고찰, 처치, DR에서 자주 쓰는 약물, 간호진단)
[간호학] 화상 문헌고찰 (화상 분류, 종류, 증상 및 징후, 치료적 관리, 예후 및 합병증)
간호학과- 심근경색 문헌고찰, 의학용어
경막외혈종케이스(문헌고찰부터~간호진단까지) A++++
쇄골몸통의골절 케이스(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A+++++
폐암 케이스(문헌고찰,병태생리,간호과정,간호사정,간호진단 포함)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