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저널리즘의 세 가지 문제점
첫째. 저널리즘의 가치와 사실의
혼동 현상
둘째. 저널리즘의 기능에 대한 국민적 불신형상
셋째. 이 모든 것을 양산해내는
자본과 언론의 결합시스템
결론. 민주주의는 의식의 수준이
그 질을 결정한다.
첫째. 저널리즘의 가치와 사실의
혼동 현상
둘째. 저널리즘의 기능에 대한 국민적 불신형상
셋째. 이 모든 것을 양산해내는
자본과 언론의 결합시스템
결론. 민주주의는 의식의 수준이
그 질을 결정한다.
본문내용
들어가서 바보가 되어 나오는 곳이 되어선 안됩니다. 저는 한국저널리즘의 현주소를 조사하며 딱 하나, 플라톤의 ‘철인정치’가 떠올랐습니다. 왜 플라톤은 철학자가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을까요? 그 것은 공정성이 중요한 정치에 있어 이해관계가 없는 철학자가 정직성과 진실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저널리스트를 생각하면서 플라톤의 철인정치를 생각했습니다. 저널리스트는 철학자가 되어야합니다. 틀림을 넘어서 다름을 느끼게 해주어야 합니다. 사건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행동과 그 내면의 의도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사회의 모습을 단순히 반사하는 거울을 넘어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를 연결지을 수 있는 돋보기가 되어야 합니다. 저널리스트는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정의의 펜을 잡은 것입니다.
추천자료
[사회과학] 정치와 언론
인터넷 신문(개념과 사례,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이미지 정치 (석사논문)
인터넷 뉴스에 대하여
언론학개론 -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인터넷 분석
어느 저널리스트의 죽음(손석춘)
언론 환경의 변화와 한계 - 오마이뉴스를 중심으로
노장 사상이 현대인에게 주는 진정한 가르침
미디어와 헤게모니
[뉴미디어론]뉴미디어의 현황과 미래-인터넷과 DMB
지역공동체(지역사회)와 백제사회, 지역공동체(지역사회)와 지역정체성, 지역공동체(지역사회...
[언론노조][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언론노동조합)의 특성, 언론노조(언론노동조합)의 역사, ...
[세상읽기와논술/2학년D형]우리나라 언론의 문제점을 자신이 경험한 구체적인 보도사례를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