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의 시각적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차 ------------------------------
Ⅰ.시각화의 의미
Ⅱ.루소의 감각 교육을 통해 본 실물 교육
Ⅲ.과학교육에서의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
Ⅳ.수학 교육에서의 시각적 활동
- 수학 교육의 방향
-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특성
- 수학과의 교수ㆍ학습 방법
Ⅴ.시각적 사고와 학업청취도의 관계
Ⅵ.수업 현장에서 시각화를 꼭 사용하지는 않는 이유
Ⅶ.시각화 자료 사용의 대처 방안

▩실생활에서 실천한 퀴즈네어 막대 활용의 예▩

본문내용

육을 지향 하신다. 루소의 소극적 교육이라고 칭한다면 뭔가 거창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우리 부모님을 미화화한 것이고 솔직히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최소한의 노력만 하신다고 하는 게 옳은 표현일 수도 있겠다.
나와 바로 아래 동생(1968년생 2005년 현재 20살. 대학교 1학년 재학 중)은 이런 부모님의 태도를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였었고 우리는 그런 부모님의 태도에 아주 만족했었다. 또한 나와 바로 아래 동생이 초ㆍ중ㆍ고 교육을 받을 당시만 하여도 주위 친구들의 부모님들 역시 우리 부모님과 비슷한 성향을 지니고 계셨으며 나와 동생 역시 각자의 삶에 대한 책임을 지니는 사람은 자신이라고 생각하며 살아 왔고 의존적이기 보다는 독립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XX초등학교에 3학년에 재학 중인 막내동생!
의존적인 인물이며, 이 아이가 생활하는 터전인 동네의 환경 또한 현재 우리 가정의 환경과는 많이 다르다. 이 학군의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들의 교육에 온 정성을 다하며 자녀들의 교육에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관심과 사교육에 대한 믿음을 보이신다. 이러한 주위의 여러 환경과 막내 동생의 나태함은 아이를 수학 부진아로 만들었다. 가족 모두는 수학 부진아에 대한 우려로 밤을 지새웠다.
예비교사인 내가 막내 동생의 수학 교육을 책임지는 막중한 임무를 지니게 되었다.
-수업 첫날.
아직 구구단은 매우 서투르며 나눗셈은 거의 하지 못 함을 발견하고 무작정 수업에 들어갔다. 구구단 다시 외우기부터..
어느 정도 구구단은 외우게 되었고 간단한 나눗셈도 하는듯한 느낌이 왔다.
- 수업 일주일 후.
아이의 학습 상태는 더뎠으면 간단한 나눗셈의 연산은 하였지만 나눗셈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은 물론 수학에 대학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 그러던 어느 날
갑갑한 마음에 목소리만 커지고 거의 진전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 어느 순간 ‘설마 될까?’하는 심정으로 문구점에서 파는 퀴즈네어 막대를 교구로 활용하기로 결심했다. 동생은 처음에는 마냥 신기해만 하더니 여러 차례 교구를 사용한 수업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점차 감소하였고 퀴즈네어 막대를 딱딱하고 어려운 학습이 아닌 놀이로 인한 학습으로 받아들였다. 점차 나눗셈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이해가 조금씩 되어가는 듯이 보였다.
퀴즈네어 막대를 이용하여 아이에게 수학에 대한 두려움을 어느 정도 감소 시켜주었고 교구를 사용한 수업을 통해 나눗셈의 연산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었다.
나의 초등학교 시절 교구사용은 미약했고, 교구에 대한 생각 역시 긍정적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번 일을 통해서 교구가 학습에 얼마나 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고 교구에 대한 나의 정확한 이해와 습득을 통하여 아동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도록 최선을 다하는 교사가 되어야겠다.
참고문헌-----------------------------------------------------------------
시각자료 (1999. 12) 고경은
초등수학교육에서의 시각적~ (2003. 2) 최연정
시각적 노트(2003) 우정희
퀴즈네어(2002.2) 오성환
초등과학(2005.2) 이은정
초등 수학 수업에서 퀴즈네어 막대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isenaire Ro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류성림
손으로 하는 수학 -놀이 및 게임을 이용한 수학 학습 부진 학생 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003) 최정남 대구인지초등학교수학교과연구회
초등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 / 김규상 (수학교육논문집, Vol.9 No.-, [1999])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1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