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3
2. 본론
2.1 남북한의 언어관 -----------------------------3
2.1.1 남한의 언어관-----------------------------3
2.1.2 북한의 언어관 ----------------------------3
2.1.3 남북한의 언어관 비교분석-----------------------6
2.2 남북한의 언어정책
2.2.1 남한의 언어정책----------------------------6
2.2.2 북한의 언어정책----------------------------7
2.2.3 남북한의 언어정책 비교분석---------------------7
3. 결론---------------------------------------8
2. 본론
2.1 남북한의 언어관 -----------------------------3
2.1.1 남한의 언어관-----------------------------3
2.1.2 북한의 언어관 ----------------------------3
2.1.3 남북한의 언어관 비교분석-----------------------6
2.2 남북한의 언어정책
2.2.1 남한의 언어정책----------------------------6
2.2.2 북한의 언어정책----------------------------7
2.2.3 남북한의 언어정책 비교분석---------------------7
3. 결론---------------------------------------8
본문내용
를 허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2-3. 남북한 언어정책 비교분석
북한에서는 주체적인 언어관에 입각한 ‘말다듬기 운동’ 을 통하여 우리말의 순수성을 확보하고 언어의 전통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이는 남한의 국어 순화에 비교할 수 있는 바람직한 운동이라 본다.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에서는 어휘 정리를 통하여 언어의 자주적 발전을 꾀하고 그 사회적 기능을 최대한으로 높여 말이 혁명과 건설에 더 잘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의 어휘 정리에서는 민족 의식을 손상시킬 수 있는 사소한 언어적 요소도 샅샅이 찾아내어 완전히 없애 버림으로써 말을 민족적 자부심과 단결력을 높이는 힘 있는 수단으로 가꾸려 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은 언어의 자연 추세를 무시하고 너무 의도적인 방향에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가 심해지고 있는 원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북한의 말이 남한보다 고유어 중심으로 다듬어진 것은 사실이나 언어적인 요인을 무시하고 목적의식적인 손질을 하여 우리 쪽에서 볼 때는 아주 생소하게 느껴진다. 북한의 기성 세대에 속하는 언중은 다듬어지기 전의 말을 많이 쓰고 있으나 학생들에게는 새 말만을 가르치기 때문에 이들이 기성 세대로 자라나게 될 때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는 더욱 커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 말다듬기를 할 때, 언어란 경우에 따라서는 인위적인 손질을 필요로 할 때도 있으나 대부분은 자연적인 추세에 따라 바뀐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질화를 가속화시키는 말다듬기는 시정해야 한다고 본다.
3. 결론
오늘은 올해로 559돌을 맞이하는 한글의 날이다. 이런 뜻 깊은 날에 하나에서 둘로 갈라져 버린 남한과 북한의 언어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해 보았다. 남과 북의 언어는 분단이래로 사상과 이념이라는 대립 구도 속에서 서로의 체제에 맞게 변화돼어 왔다. 이러한 세월속의 변화와 더불어 남과 북은 서로 알 수 없는 이질화의 길을 걷고 있다. 비록 한 언어라고 하더라도 언어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훗날 시간이 흐를수록 언어의 이질화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한 민족을 구성하는데 있어 혈육, 영토, 언어가 있다. 이중 언어가 다르다면 우리는 통일이 된 이후에도 동질성을 가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남과 북의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서로 달라진 언어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고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해서도 뜻을 모아 하나의 언어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본다.
- 참 고 문 헌 -
http://www.hanguel.co.kr
http://www.hani.co.kr/han/data/L990322/print/p0b5t3m0b.html
http://www.koreascope.org/index.htm
http://www.koreascope.org/sub/13/ks13.htm
http://chunma.yeungnam.ac.kr/~hangeul/html/hanbook97/north-lang.html
http://user.chollian.net/~peacebbs/gslang.htm
2-2-3. 남북한 언어정책 비교분석
북한에서는 주체적인 언어관에 입각한 ‘말다듬기 운동’ 을 통하여 우리말의 순수성을 확보하고 언어의 전통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이는 남한의 국어 순화에 비교할 수 있는 바람직한 운동이라 본다.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에서는 어휘 정리를 통하여 언어의 자주적 발전을 꾀하고 그 사회적 기능을 최대한으로 높여 말이 혁명과 건설에 더 잘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의 어휘 정리에서는 민족 의식을 손상시킬 수 있는 사소한 언어적 요소도 샅샅이 찾아내어 완전히 없애 버림으로써 말을 민족적 자부심과 단결력을 높이는 힘 있는 수단으로 가꾸려 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은 언어의 자연 추세를 무시하고 너무 의도적인 방향에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가 심해지고 있는 원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북한의 말이 남한보다 고유어 중심으로 다듬어진 것은 사실이나 언어적인 요인을 무시하고 목적의식적인 손질을 하여 우리 쪽에서 볼 때는 아주 생소하게 느껴진다. 북한의 기성 세대에 속하는 언중은 다듬어지기 전의 말을 많이 쓰고 있으나 학생들에게는 새 말만을 가르치기 때문에 이들이 기성 세대로 자라나게 될 때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는 더욱 커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 말다듬기를 할 때, 언어란 경우에 따라서는 인위적인 손질을 필요로 할 때도 있으나 대부분은 자연적인 추세에 따라 바뀐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질화를 가속화시키는 말다듬기는 시정해야 한다고 본다.
3. 결론
오늘은 올해로 559돌을 맞이하는 한글의 날이다. 이런 뜻 깊은 날에 하나에서 둘로 갈라져 버린 남한과 북한의 언어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해 보았다. 남과 북의 언어는 분단이래로 사상과 이념이라는 대립 구도 속에서 서로의 체제에 맞게 변화돼어 왔다. 이러한 세월속의 변화와 더불어 남과 북은 서로 알 수 없는 이질화의 길을 걷고 있다. 비록 한 언어라고 하더라도 언어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훗날 시간이 흐를수록 언어의 이질화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한 민족을 구성하는데 있어 혈육, 영토, 언어가 있다. 이중 언어가 다르다면 우리는 통일이 된 이후에도 동질성을 가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남과 북의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서로 달라진 언어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고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해서도 뜻을 모아 하나의 언어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본다.
- 참 고 문 헌 -
http://www.hanguel.co.kr
http://www.hani.co.kr/han/data/L990322/print/p0b5t3m0b.html
http://www.koreascope.org/index.htm
http://www.koreascope.org/sub/13/ks13.htm
http://chunma.yeungnam.ac.kr/~hangeul/html/hanbook97/north-lang.html
http://user.chollian.net/~peacebbs/gslang.htm
추천자료
[북한의 외교정책][북한의 무역정책]북한의 외교정책(북한외교정책의 목표, 현황 및 북한외교...
[북한 핵문제]북한 핵문제의 성격, 북한 핵무기의 개발 현황, 북한 핵위기와 남북관계, 북한 ...
[북한교육][교육중점][교과목][교과서]북한교육의 특성, 북한교육의 이념, 북한교육의 교육중...
[북한의 교육][북한교육][국어교육][사회교육][도덕교육][세계사교육][영재교육][사상교육]북...
[북한교육][북한교육제도][북한교육정책]북한교육의 특징, 북한교육의 목적, 북한교육의 이념...
[북한농업][북한농업 침체원인][농업협력][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농업 개방사례]북한농업 실...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
[북한소설][연변소설][여성관][운영전][황진이][북한][연변][소설]북한소설과 연변소설, 북한...
[북한 금융기관, 북한 금융체계, 북한 금융문제점, 북한 금융개혁방향, 북한 금융전망, 북한,...
[북한이탈주민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 지원체계]북한이탈주민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의 ...
[북한 정보기술, IT, 북한 정보기술(IT) 환경, 북한 정보기술(IT) 인력, 북한 정보기술(IT) ...
[북한문화재, 북한문화재와 평양, 북한문화재와 대동문, 개성, 숭인전, 수산리고분벽화]북한...
[북한경수로사업][북한][북한경수로사업 의의][북한경수로사업 현황]북한경수로사업의 의의, ...
[북한의사회와경제] 1. 남북한 통일방안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 2. 북한 통일방안의 허구성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