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II.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
III. 자폐 아동의 사회성 결핍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
IV. 사회성 발달 촉진을 위한 교수전략
1. 사회적 기술 교수전략
2.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전략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II.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
III. 자폐 아동의 사회성 결핍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
IV. 사회성 발달 촉진을 위한 교수전략
1. 사회적 기술 교수전략
2.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전략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경우에 자폐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또래교사가 자폐아동을 가르친다고 해서 무조건 효과적인 또래교수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또래교수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지침이 있다(Villa & Thoussand, 1992). 먼저 또래교수를 통하여 성취할 구체적인 목표와 활동을 계획한 후, 교육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아동을 또래교사로 선정하고 또래교사로서의 역할을 훈련한다. 또래교사와 또래교사의 도움을 받을 아동을 짝 짓고, 교사는 정기적으로 또래교수를 감독하며 효율성을 평가해야 한다.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또래교수는 30분 단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학교전체에 또래교수를 도입한 미국의 Kennedy 초등학교에서는 4, 5학년 또래들이 격주로 1, 2, 3 학년 아동들을 가르치는데, 이 또래교사들은 특정 교수전략, 행동중재 방법,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해 교사로부터 정기적인 훈련을 받는다. 특이한 점은 고학년 정신지체아동(예: 한 자리 덧셈을 할 수 있는 수학능력)도 저학년 일반학급 아동(예: 1-5의 수개념에 대해 반복연습)을 교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정신지체아동이 자부심을 가지고 교사의 역할을 감당하고 기본적인 학업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Ⅴ. 맺음말
본 글에서는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과 사회성 결핍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들을 살펴보고, 자폐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은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와 행동장애와 더불어 자폐증을 정의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사회성 결핍은 자폐아동의 특성 중 가장 이해가 안 된 부분이며, 인지능력이나 언어능력을 측정을 위해 많은 표준화 검사가 개발된데 반해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 검사는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자폐증의 정의와 진단에 대해서 학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자폐증의 증후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자폐아동의 사회성 발달 연구는 더욱 힘들어진다.
Kanner, Rodriguez, 그리고 Ashden(1972)가 실시한 추후 연구에 따르면 자폐아동 중 사회성이 발달한 경우는, 스스로가 정상적인 사회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기의 장애를 극복할 전략을 개발하여 사용한 아동들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자폐아동의 사회성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폐아동들에게 자신들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을 인식시키도록 하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수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한 가지 모델이나 접근방법만을 고집하지 말고, 앞에서 살펴 본 '중추적인 반응훈련'이나 The Early Childhood Social Skills Program같이 여러 접근방법(예: 인지적, 행동주의적, 생태학적, 발달적)들을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사회적 기술이 포함되듯이,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인지 및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른 분야를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선진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도입하기보다는 우리 나라의 문화와 사회적 기대에 부합되는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은경. (1999). 자폐성 장애의 증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3(2), 193-220.
방명애. (1998). 특수학급 아동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방법론. 제5회 이화 특수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43-65).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과학 연구소, 특수교육학과.
이소현, 박은혜. (1998).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정대영, 이석진, 정해동, 권오희, 권재남. (1994).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 Washington, DC: Author.
Bacon, A. L., Fein, D., Morris, R., Waterhouse, L., & Allen, D. (1998). The responses of autistic children to the distress of oth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8(2), 129-142.
또래교수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지침이 있다(Villa & Thoussand, 1992). 먼저 또래교수를 통하여 성취할 구체적인 목표와 활동을 계획한 후, 교육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아동을 또래교사로 선정하고 또래교사로서의 역할을 훈련한다. 또래교사와 또래교사의 도움을 받을 아동을 짝 짓고, 교사는 정기적으로 또래교수를 감독하며 효율성을 평가해야 한다.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또래교수는 30분 단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학교전체에 또래교수를 도입한 미국의 Kennedy 초등학교에서는 4, 5학년 또래들이 격주로 1, 2, 3 학년 아동들을 가르치는데, 이 또래교사들은 특정 교수전략, 행동중재 방법,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해 교사로부터 정기적인 훈련을 받는다. 특이한 점은 고학년 정신지체아동(예: 한 자리 덧셈을 할 수 있는 수학능력)도 저학년 일반학급 아동(예: 1-5의 수개념에 대해 반복연습)을 교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정신지체아동이 자부심을 가지고 교사의 역할을 감당하고 기본적인 학업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Ⅴ. 맺음말
본 글에서는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과 사회성 결핍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들을 살펴보고, 자폐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은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와 행동장애와 더불어 자폐증을 정의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사회성 결핍은 자폐아동의 특성 중 가장 이해가 안 된 부분이며, 인지능력이나 언어능력을 측정을 위해 많은 표준화 검사가 개발된데 반해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 검사는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자폐증의 정의와 진단에 대해서 학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자폐증의 증후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자폐아동의 사회성 발달 연구는 더욱 힘들어진다.
Kanner, Rodriguez, 그리고 Ashden(1972)가 실시한 추후 연구에 따르면 자폐아동 중 사회성이 발달한 경우는, 스스로가 정상적인 사회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기의 장애를 극복할 전략을 개발하여 사용한 아동들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자폐아동의 사회성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폐아동들에게 자신들의 사회성 결핍의 특성을 인식시키도록 하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수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한 가지 모델이나 접근방법만을 고집하지 말고, 앞에서 살펴 본 '중추적인 반응훈련'이나 The Early Childhood Social Skills Program같이 여러 접근방법(예: 인지적, 행동주의적, 생태학적, 발달적)들을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사회적 기술이 포함되듯이,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인지 및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른 분야를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선진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도입하기보다는 우리 나라의 문화와 사회적 기대에 부합되는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은경. (1999). 자폐성 장애의 증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3(2), 193-220.
방명애. (1998). 특수학급 아동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방법론. 제5회 이화 특수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43-65).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과학 연구소, 특수교육학과.
이소현, 박은혜. (1998).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정대영, 이석진, 정해동, 권오희, 권재남. (1994).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 Washington, DC: Author.
Bacon, A. L., Fein, D., Morris, R., Waterhouse, L., & Allen, D. (1998). The responses of autistic children to the distress of oth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8(2), 129-142.
추천자료
자폐아의 치료교육 목표
자폐아치료 및 교육-가정지도프로그램
자폐아 의 교육과 치료
일반아동과 ADHD 아동의 공격성 및 친사회성 비교연구
자폐아에 대한 이해와 치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역할
[특수교육] 자폐아를 대상으로 한 조작적 언어훈련 프로그램
아동기 정신건강(자폐증, 섭식장애, ADHD, 품행장애) 보고서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필요성, 발달단계, 자폐(자폐성장애, 전반...
★ 아동간호학- 발달장애(자폐증) 아동에 대한 교육 및 진로 ( 자폐의 개념 및 증상, 자폐증 ...
자폐 스펙트럼 아동,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교육방법,한국의 자폐 스펙트럼 아동,자폐성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