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험 방법
5. 실험치
6. 계산 및 결과
7. 토의
8. 결론 및 검토
2. 실험 이론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험 방법
5. 실험치
6. 계산 및 결과
7. 토의
8. 결론 및 검토
본문내용
8.21 - 309.89)
= 158.76 - 138.32
= 24.37
2) 고체의 비열 계산
C =
① 황동의 비열 C1 계산
C1 =
=
= 0.104 (㎈/gK)
② 알루미늄의 비열 C2 계산
C2 =
=
= 0.26 (㎈/gK)
3) 결과
황동의 실제 비열은 0.091㎈/gK이나 위 실험에서는 0.104㎈/gK라는 값이 나와 0.013㎈/gK의 오차가 생겼고, 알루미늄의 실제 비열은 0.21㎈/gK이지만 0.26㎈/gK가 나와 0.05㎈/gK의 오차가 생겼다.
7. 토의
위 실험의 결과에서 보면 작지만 오차가 발생했다. 열량계의 물당량이나 비열을 구하는 식에서 볼 때 오차를 생기게 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온도와 질량 측정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뜨거운 물을 혹은 시료를 열량계에 넣을 때 짧은 순간이지만 온도가 조금씩 내려가고 있으므로 실제 평형온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측정오차역시 온도계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보이고 보다 세밀한 온도 및 질량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오차를 보다 줄일 수 있을 것이다.
8. 결론 및 검토
이번 실험에서는 물 열량계를 통해 물당량을 확인하여 물질의 비열을 측정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고체 시료들의 비열을 측정하고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실험 측정 시 끊인 물의 온도 값을 정확히 읽고 열량계에 찬물과 더운물을 섞었을 때 역시 젓개로 충분히 저어준 후 일정시간 열적평형상태임을 확인하고 온도를 읽는 것이 중요했다. 전체적으로 부족한 점은 있었지만 실험의 이론과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임했으므로 여유있게 실험 할 수 있었다.
= 158.76 - 138.32
= 24.37
2) 고체의 비열 계산
C =
① 황동의 비열 C1 계산
C1 =
=
= 0.104 (㎈/gK)
② 알루미늄의 비열 C2 계산
C2 =
=
= 0.26 (㎈/gK)
3) 결과
황동의 실제 비열은 0.091㎈/gK이나 위 실험에서는 0.104㎈/gK라는 값이 나와 0.013㎈/gK의 오차가 생겼고, 알루미늄의 실제 비열은 0.21㎈/gK이지만 0.26㎈/gK가 나와 0.05㎈/gK의 오차가 생겼다.
7. 토의
위 실험의 결과에서 보면 작지만 오차가 발생했다. 열량계의 물당량이나 비열을 구하는 식에서 볼 때 오차를 생기게 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온도와 질량 측정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뜨거운 물을 혹은 시료를 열량계에 넣을 때 짧은 순간이지만 온도가 조금씩 내려가고 있으므로 실제 평형온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측정오차역시 온도계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보이고 보다 세밀한 온도 및 질량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오차를 보다 줄일 수 있을 것이다.
8. 결론 및 검토
이번 실험에서는 물 열량계를 통해 물당량을 확인하여 물질의 비열을 측정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고체 시료들의 비열을 측정하고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실험 측정 시 끊인 물의 온도 값을 정확히 읽고 열량계에 찬물과 더운물을 섞었을 때 역시 젓개로 충분히 저어준 후 일정시간 열적평형상태임을 확인하고 온도를 읽는 것이 중요했다. 전체적으로 부족한 점은 있었지만 실험의 이론과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임했으므로 여유있게 실험 할 수 있었다.
추천자료
음식물과 칼로리
생활속의 산-염기 분석(예비, 결과 모두 포함)
[일반화학실험] 이산화탄소의 승화열 측정실험
알칼리 소비량
산염기 적정 실험예비레포트
식초중 아세트산의 정량
환원당
[영양학] 에너지 대사와 열량 균형
중화 적정(Neutralization Titration)의 원리와 산염기 적정 실험 보고서 [A+]
[A+] 중화 적정(Neutralization Titration)의 원리와 산염기 적정 실험 보고서
실험보고서 - 중화 적정[염기의 적정]
환경분석화학 - 경도 실험
[식품 가공 실험보고서] 과살의 총산 정량 및 산도 당도 측정
수질오염 실험 -산도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