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연구
1. 사회 안정감
2. 삶의 만족도
3. 사회적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및 자료 수집 방법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대한 인식정도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 안정감
4. 목포시의 제안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
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6.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
7.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Ⅴ. 결론
Ⅱ. 문헌연구
1. 사회 안정감
2. 삶의 만족도
3. 사회적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및 자료 수집 방법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대한 인식정도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 안정감
4. 목포시의 제안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
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6.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
7.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Ⅴ. 결론
본문내용
직업형태
정규직
105.14
25.71
1.109
66
.271
비정규직
98.72
21.67
월평균수입
50만원 이하
99.92
26.14
.487
4
.746
51만원~100만원이하
100.80
15.95
101만원~150만원이하
97.28
28.70
151만원~200만원이하
107.18
26.66
201만원 이상
100.45
19.45
주관적
경제수준
중상1
117.25
27.83
3.282
3
.024
중2
104.98
23.95
중하3
97.33
17.73
하4
89.27
17.53
연령에 따른 목포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성인 초기일 때가 성인중기일 때 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학력수준에 따른 목포시 주민의 삶의 만족도는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자 보다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주민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6.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
구분
삶의 만족도
M
SD
t/F
df
sig.
비고
자연환경
매우 오염된 편이다1
107.00
56.56
4.505
4
.002
2<4
2<5
오염된 편이다2
89.21
16.23
보통이다3
95.26
18.56
쾌적한 편이다4
108.47
22.92
매우 쾌적한 편이다5
116.77
24.72
경제수준
매우 침체된 편이다
108.80
33.35
1.243
3
.229
침체된 편이다
99.81
23.24
보통이다
96.22
17.75
안정된 편이다
108.38
15.79
부정부패
매우 심하다
129.50
25.73
2.307
3
.082
심하다
98.83
22.48
보통이다
100.18
23.85
심하지 않다
100.20
17.33
치안수준
안전하다
104.35
18.30
.714
3
.546
보통이다
97.88
23.75
안전하지 않다
102.60
26.44
전혀 안전하지 않다
85.00
.
식품위생 관리
철저하다
103.81
15.93
.305
2
.738
보통이다
101.17
23.59
철저하지 않다
98.87
25.44
교육여건
충분하다1
102.60
13.15
5.169
3
.002
2<4
보통이다2
93.05
15.28
충분하지 못하다3
103.57
26.83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4
125.85
17.09
교통시설
매우 편리하다1
112.00
7.07
4.727
3
.004
2>4
편리하다2
109.60
20.06
보통이다3
103.55
24.55
불편히다4
89.87
18.77
전반적인 목포시
이미지
좋다1
109.68
19.27
4.756
2
.011
1>3
보통이다2
98.37
23.91
나쁘다3
92.50
21.28
목포시 주민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자연환경을 ‘오염된 편이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쾌적한 편이다’, ‘매우 쾌적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교육여건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교통시설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편리하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불편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전반적인 목포시 이미지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나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7.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구 분
삶의 만족도
상태특성불안
-.819**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 수록 목포시 주민의 안정감은 높게 나타났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목포시 주민들의 상태특성 불안정도로 알 수 있는 사회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조사 분석하여 목포시 주민의 사회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문헌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0부의 살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사회 안정감 및 삶의 만족도 결정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인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를, 사회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을 살펴본 결과, 성인초기가 성인중기보다, 고등학교 졸업자 보다 대학교 졸업자가, 주관적 경제수준이 ‘중’인 응답자가 ‘하’인 응답자보다 사회 안정감이 높게 나타났다. 목포시 교육여건에 대한 인식정도가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교통시설에 대해서 ‘편리하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불편하다’고 인식하는 주민이,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해서 ‘좋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나쁘다’고 응답한 주민이 사회 안정감이 낮았다.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성인 초기보다 성인 중기가, 대학교 졸업자 보다 중학교 졸업자와 고등학교 졸업자가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자연환경을 ‘오염된 편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쾌적한 편이다’와 ‘매우 쾌적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교육여건이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교통시설에서 ‘편리하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불편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전반적인 이미지가 ‘좋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나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목포시 주민의 안정감은 높게 나타났다.
정규직
105.14
25.71
1.109
66
.271
비정규직
98.72
21.67
월평균수입
50만원 이하
99.92
26.14
.487
4
.746
51만원~100만원이하
100.80
15.95
101만원~150만원이하
97.28
28.70
151만원~200만원이하
107.18
26.66
201만원 이상
100.45
19.45
주관적
경제수준
중상1
117.25
27.83
3.282
3
.024
중2
104.98
23.95
중하3
97.33
17.73
하4
89.27
17.53
연령에 따른 목포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성인 초기일 때가 성인중기일 때 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학력수준에 따른 목포시 주민의 삶의 만족도는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자 보다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주민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6. 목포시의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
구분
삶의 만족도
M
SD
t/F
df
sig.
비고
자연환경
매우 오염된 편이다1
107.00
56.56
4.505
4
.002
2<4
2<5
오염된 편이다2
89.21
16.23
보통이다3
95.26
18.56
쾌적한 편이다4
108.47
22.92
매우 쾌적한 편이다5
116.77
24.72
경제수준
매우 침체된 편이다
108.80
33.35
1.243
3
.229
침체된 편이다
99.81
23.24
보통이다
96.22
17.75
안정된 편이다
108.38
15.79
부정부패
매우 심하다
129.50
25.73
2.307
3
.082
심하다
98.83
22.48
보통이다
100.18
23.85
심하지 않다
100.20
17.33
치안수준
안전하다
104.35
18.30
.714
3
.546
보통이다
97.88
23.75
안전하지 않다
102.60
26.44
전혀 안전하지 않다
85.00
.
식품위생 관리
철저하다
103.81
15.93
.305
2
.738
보통이다
101.17
23.59
철저하지 않다
98.87
25.44
교육여건
충분하다1
102.60
13.15
5.169
3
.002
2<4
보통이다2
93.05
15.28
충분하지 못하다3
103.57
26.83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4
125.85
17.09
교통시설
매우 편리하다1
112.00
7.07
4.727
3
.004
2>4
편리하다2
109.60
20.06
보통이다3
103.55
24.55
불편히다4
89.87
18.77
전반적인 목포시
이미지
좋다1
109.68
19.27
4.756
2
.011
1>3
보통이다2
98.37
23.91
나쁘다3
92.50
21.28
목포시 주민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자연환경을 ‘오염된 편이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쾌적한 편이다’, ‘매우 쾌적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교육여건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교통시설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편리하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불편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전반적인 목포시 이미지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는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나쁘다’라고 응답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7.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구 분
삶의 만족도
상태특성불안
-.819**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 수록 목포시 주민의 안정감은 높게 나타났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목포시 주민들의 상태특성 불안정도로 알 수 있는 사회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조사 분석하여 목포시 주민의 사회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문헌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0부의 살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사회 안정감 및 삶의 만족도 결정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인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를, 사회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사회 안정감을 살펴본 결과, 성인초기가 성인중기보다, 고등학교 졸업자 보다 대학교 졸업자가, 주관적 경제수준이 ‘중’인 응답자가 ‘하’인 응답자보다 사회 안정감이 높게 나타났다. 목포시 교육여건에 대한 인식정도가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교통시설에 대해서 ‘편리하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불편하다’고 인식하는 주민이,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해서 ‘좋다’고 인식하는 주민보다 ‘나쁘다’고 응답한 주민이 사회 안정감이 낮았다.
목포시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목포시 제반 상황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성인 초기보다 성인 중기가, 대학교 졸업자 보다 중학교 졸업자와 고등학교 졸업자가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자연환경을 ‘오염된 편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쾌적한 편이다’와 ‘매우 쾌적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교육여건이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매우 충분하지 못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교통시설에서 ‘편리하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불편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전반적인 이미지가 ‘좋다’라고 응답한 주민이 ‘나쁘다’라고 응답한 주민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목포시 주민의 사회안정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목포시 주민의 안정감은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사회]주민등록제도와 프라이버시권
A+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역사 특성 문제점 자원망 지역주민의 욕구를 조사하시오.
[광주광역시][광주시]광주광역시의 지명유래와 특성, 광주광역시의 청년회활동과 청년운동가,...
지역사회 및 시민단체의 특성, 지역주민 및 시민의 욕구
무상급식 정책평가 토론 무상급식 서울시 주민투표 (무상급식 정책 사회정책 사회학 사회 정...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주민을 위한 욕구 조사 설문지 작성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내 사회복지관을 직접 방문하여 주민을 위해 어떠한 프로그램을 하는...
지역주민들이 장애인 시설의 설립을 반대할 경우,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복지관지역에 장애인시설이 틀어설 예정이나 주민들이 집값하락과 학생...
치매 인식조사 이해 - 본인은 현재 치매관련 기관에서 홍보서포터즈로 활동 중으로 지역사회 ...
자연적 지지체계(이웃, 지역주민, 친척 등의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회복지...
[청소년복지] 탈북청소년에 대한 공공부문의 지원 정책 실태 - 통일부(사회적응 기본교육, 교...
성사랑사회C : [성사랑사랑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
지역사회복지론(좋은 지역사회의 이미지에서 지역주민들은 좋은 지역사회를 보편적으로 4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