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KEA 소개
2. SWOT 분석
3. 미국 진출 전략
4. 중국 진출 전략
5. 일본 진출 전략
6. 독일 진출 전략
7. 해외 진출 성과
8. 최종 결론
2. SWOT 분석
3. 미국 진출 전략
4. 중국 진출 전략
5. 일본 진출 전략
6. 독일 진출 전략
7. 해외 진출 성과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EA 제품 대부분에는 설명서(글로 기술된 설명서가 아닌, 큼직한 그림으로 설명돼 있다)가 첨부돼 있어 스스로 조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때로는 전동 드라이버 같은 전문 조립기구가 필요할 때도 있다. 이러한 가구를 독거노인이나 어린 학생이 구입한 경우에는 IKEA의 조립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단, 일정가격을 추가로 지불해야한다. 혼자 조립하다가 부속나사를 분실한 경우에는 IKEA 부품 서비스코너에서 새로운 나사를 제공받을 수 있다.
(7) 마지막 종착역, 스웨덴의 먹을거리 쇼핑
계산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기 전 쇼핑객들이 꼭 들르는 곳이 있다. 계산대를 통과하자마자 보이는 스웨덴 푸드 숍이 바로 그곳이다. 이곳에서 스웨덴에서만 살 수 있는 북유럽 스타일의 빵, 치즈, 과자, 생선, 술 등을 구입할 수 있다. 특히 1~23유로하는 저렴한 핫도그와 음료수를 사먹기 위해서는 긴 줄을 감수해야한다.
7. 해외 진출 성과
IKEA는 스웨덴 기업이나 기업 활동의 대부분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펼치고 있다. IKEA의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212억 유로로 매년 7%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현재 IKEA의 매장은 유럽, 북미, 아시아 지역 24개국에 253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도에만도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의 국가에 26개의 매장을 더 개장하였다. 즉 신규 매장도 해마다 늘어가고 있고 그에 따라 매출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IKEA는 남부 유럽과 북유럽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IKEA의 유럽 시장 진출 당시 유럽 가구 산업은 부유층을 대상으로 고가 제품의 판매가 주였으나 젊은 층을 상대로 한 저가품 시장은 약했다. 따라서 저가의 IKEA 제품은 유럽 가구 산업에서 의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IKEA는 1985년 미국 시장 진출 후 북미권에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는데 전체 시장의 14%를 차지하였다. 그 후 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 또한 초기에는 성공하였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최초 진입 후 일본의 거품경제가 무너지고 장기적인 불황이 옴에 따라 1986년도에 후퇴하기도 하고, 한국에 진출 당시에도 매장이 들어설 수 있는 적당한 부지가 없고 시장 여건이 맞지 않아 후퇴한 바 있다.
8. 최종 결론
IKEA는 세계화 전략과 현지화 전략의 적절한 조합으로 세계 여러 국가에 성공적으로 침투한 글로벌기업이다. 2008년 무려 4억 1천만 명이 300개 이상의 대형매장에서 가구를 구매했고 288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IKEA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네 개의 대륙에서 굳건히 다지고 있는데 이런 성공의 이유들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훌륭한 디자인, 규모의 경제로 인한 합리적인 가격, 세계 전역에서의 합리적인 구매, 제품과 재료의 완벽한 물류관리 등을 들 수 있다. 높은 매출 덕분에 IKEA는 낮은 가격과 적은 마진으로도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점차 지역단위 블록화 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므로 이미 시장에서 성공을 한 국가들 이외에도, 비슷한 문화권이 모여 형성된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의 각 세부 국가에 알맞은 현지화 전략을 취해 IKEA의 시장을 좀 더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IKEA 역시 한국 시장에도 진출을 하였었으나 당시 한국 소비자들에게 DIY제품이 낯설었으므로 실패하고 돌아갔었다. 그러나 다시 한국 시장에 진출 계획이라고 한다. 다음은 IKEA가 한국으로 진출을 한다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시장에 진입해야 해야 할지 방안이다.
첫째, 한국인은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DIY 제품에 대해서 낯설기도 하지만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본 일본과 같은 전략으로, 먼저 소비자의 취향을 파악한 뒤 모델하우스를 지어서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해서 설명하고 눈으로 직접 보여줌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송과 조립서비스를 실시해서 DIY를 좋아하지 않는 한국인에게 조금 더 편리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는 ‘빨리빨리’ 문화가 한국인에게 깊숙이 내제되어 있어서 느린 배송으로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이 된다면 소비자들은 답답하고 짜증나서 그 기업의 제품을 다시는 사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현지에 있는 기업과 결합을 하여 빠른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가 점점 변화하면서 혼자 사는 특히, 직장이 있는 30대 여성의 싱글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IKEA는 한국 시장에서의 Target을 30대 여성의 싱글족으로 보고 전략을 세우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능력이 있지만 혼자 살기 때문에 고가 보다는 저가로 그리고 젊은 여성이기 때문에 어두운 색상의 가구보다는 밝은 색상의 가구를 생산해서 판매하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한국인들은 가구단지를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직접 보고 체험도 해볼 수 있고,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또 가구를 사게 된다면 가격흥정 등등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를 이용하여 찾아오는 고객에게 동기부여 하고 고객 관리를 함으로써 인지도와 호평 등 기업의 좋은 이미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KEA는 아직까지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는 가망성 있는 기업이다. 한국의 문화와 정치적, 환경적 요인, 소비자의 취향 등을 파악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이미지로 성공할 수 있는 그런 기업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www.ikea.com
www.ikea-group.ikea.com/corporate
www.interbrand.com
www.businessweek.com
www.seri.org
www.caci.co.uk
위대한 경영 - 비즈니스위크, 행간, 2009
초일류 브랜드 100 - 에밀리로스,앵거스홀랜드, 김현구 역, 프라임, 2007
IKEA - 뤼디거 융블루트, 배인섭 역, 미래의창, 2006
IKEA의 디자인 경영사례 연구 - 신용준,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IKEA의 형성과정과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 - 이융상,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3
IKEA의 성공배경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양영완, 한국가구학회지 제13권, 2002
(7) 마지막 종착역, 스웨덴의 먹을거리 쇼핑
계산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기 전 쇼핑객들이 꼭 들르는 곳이 있다. 계산대를 통과하자마자 보이는 스웨덴 푸드 숍이 바로 그곳이다. 이곳에서 스웨덴에서만 살 수 있는 북유럽 스타일의 빵, 치즈, 과자, 생선, 술 등을 구입할 수 있다. 특히 1~23유로하는 저렴한 핫도그와 음료수를 사먹기 위해서는 긴 줄을 감수해야한다.
7. 해외 진출 성과
IKEA는 스웨덴 기업이나 기업 활동의 대부분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펼치고 있다. IKEA의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212억 유로로 매년 7%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현재 IKEA의 매장은 유럽, 북미, 아시아 지역 24개국에 253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도에만도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의 국가에 26개의 매장을 더 개장하였다. 즉 신규 매장도 해마다 늘어가고 있고 그에 따라 매출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IKEA는 남부 유럽과 북유럽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IKEA의 유럽 시장 진출 당시 유럽 가구 산업은 부유층을 대상으로 고가 제품의 판매가 주였으나 젊은 층을 상대로 한 저가품 시장은 약했다. 따라서 저가의 IKEA 제품은 유럽 가구 산업에서 의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IKEA는 1985년 미국 시장 진출 후 북미권에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는데 전체 시장의 14%를 차지하였다. 그 후 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 또한 초기에는 성공하였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최초 진입 후 일본의 거품경제가 무너지고 장기적인 불황이 옴에 따라 1986년도에 후퇴하기도 하고, 한국에 진출 당시에도 매장이 들어설 수 있는 적당한 부지가 없고 시장 여건이 맞지 않아 후퇴한 바 있다.
8. 최종 결론
IKEA는 세계화 전략과 현지화 전략의 적절한 조합으로 세계 여러 국가에 성공적으로 침투한 글로벌기업이다. 2008년 무려 4억 1천만 명이 300개 이상의 대형매장에서 가구를 구매했고 288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IKEA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네 개의 대륙에서 굳건히 다지고 있는데 이런 성공의 이유들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훌륭한 디자인, 규모의 경제로 인한 합리적인 가격, 세계 전역에서의 합리적인 구매, 제품과 재료의 완벽한 물류관리 등을 들 수 있다. 높은 매출 덕분에 IKEA는 낮은 가격과 적은 마진으로도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점차 지역단위 블록화 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므로 이미 시장에서 성공을 한 국가들 이외에도, 비슷한 문화권이 모여 형성된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의 각 세부 국가에 알맞은 현지화 전략을 취해 IKEA의 시장을 좀 더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IKEA 역시 한국 시장에도 진출을 하였었으나 당시 한국 소비자들에게 DIY제품이 낯설었으므로 실패하고 돌아갔었다. 그러나 다시 한국 시장에 진출 계획이라고 한다. 다음은 IKEA가 한국으로 진출을 한다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시장에 진입해야 해야 할지 방안이다.
첫째, 한국인은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DIY 제품에 대해서 낯설기도 하지만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본 일본과 같은 전략으로, 먼저 소비자의 취향을 파악한 뒤 모델하우스를 지어서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해서 설명하고 눈으로 직접 보여줌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송과 조립서비스를 실시해서 DIY를 좋아하지 않는 한국인에게 조금 더 편리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는 ‘빨리빨리’ 문화가 한국인에게 깊숙이 내제되어 있어서 느린 배송으로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이 된다면 소비자들은 답답하고 짜증나서 그 기업의 제품을 다시는 사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현지에 있는 기업과 결합을 하여 빠른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가 점점 변화하면서 혼자 사는 특히, 직장이 있는 30대 여성의 싱글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IKEA는 한국 시장에서의 Target을 30대 여성의 싱글족으로 보고 전략을 세우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능력이 있지만 혼자 살기 때문에 고가 보다는 저가로 그리고 젊은 여성이기 때문에 어두운 색상의 가구보다는 밝은 색상의 가구를 생산해서 판매하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한국인들은 가구단지를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직접 보고 체험도 해볼 수 있고,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또 가구를 사게 된다면 가격흥정 등등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를 이용하여 찾아오는 고객에게 동기부여 하고 고객 관리를 함으로써 인지도와 호평 등 기업의 좋은 이미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KEA는 아직까지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는 가망성 있는 기업이다. 한국의 문화와 정치적, 환경적 요인, 소비자의 취향 등을 파악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이미지로 성공할 수 있는 그런 기업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www.ikea.com
www.ikea-group.ikea.com/corporate
www.interbrand.com
www.businessweek.com
www.seri.org
www.caci.co.uk
위대한 경영 - 비즈니스위크, 행간, 2009
초일류 브랜드 100 - 에밀리로스,앵거스홀랜드, 김현구 역, 프라임, 2007
IKEA - 뤼디거 융블루트, 배인섭 역, 미래의창, 2006
IKEA의 디자인 경영사례 연구 - 신용준,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IKEA의 형성과정과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 - 이융상,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3
IKEA의 성공배경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양영완, 한국가구학회지 제13권, 2002
추천자료
마케팅 성공사례-피자헛의 마케팅 성공 사례 및 성공요인 분석 & SWOT 분석 & 4P분석
(마케팅 성공 사례) 국민 경차 마티즈의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SWOT, STP, 마케팅 믹스 모두...
(마케팅 성공 사례) 국민 경차 마티즈의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SWOT, STP, 마케팅 믹스 모두...
스포츠마케팅,성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실패사례,성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
STP 전략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뽀로로, 스타벅스, 노스페이스, 경영전략, ...
애플 기업 STP 전략의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변화, ...
서울 도시 브랜드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변화, 특징, 현...
불고기 브라더스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시장조사, 마케팅 전략, 변화, 특징, 현황, ...
모바일마케팅,SNS,성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마케팅관리론-문화상품 마케팅의 마케팅 전략-문화상품 마케팅의 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
전략마케팅,마케팅전략,성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러시아시장,마케팅성공사례,글로벌경영,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