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차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7차 교육 과정의 특징
1.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및 연간 기준 수업 시간 수의 확보
2.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3. 재량 활동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4. 특별 활동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5. 고등 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
1)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 편성·운영
2) 실업계와 기타계 고등 학교의 교과 편성·운영
7차 교육 과정의 특징
1.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및 연간 기준 수업 시간 수의 확보
2.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3. 재량 활동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4. 특별 활동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5. 고등 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
1)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 편성·운영
2) 실업계와 기타계 고등 학교의 교과 편성·운영
본문내용
과의 이수로 간주할 수 있다교원 및 시설 여건과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11학년에서도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일부를 편성할 수 있다.
보통 교과의 선택 과목은 기준 단위를 2~4단위까지 증감 운영할 수 있다.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 교과의 선택 과목과 전문 교과는 교체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다.전문 교과는 필요한 경우 다른 계열의 전문 과목을 선택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다.
특성화 고등 학교, ‘21’체제를 운영하는 공업 계열 고등 학교 등과 같이, 전문 교육의 강화가 요구되는 학교는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보통 교과 및 전문 교과의 총 이수 단위 수를 조정, 운영할 수 있다.학교는 필요에 따라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총 교과 이수 단위를 10% 범위 내에서 증배, 운영할 수 있다.
보통 교과의 선택 과목은 기준 단위를 2~4단위까지 증감 운영할 수 있다.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 교과의 선택 과목과 전문 교과는 교체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다.전문 교과는 필요한 경우 다른 계열의 전문 과목을 선택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다.
특성화 고등 학교, ‘21’체제를 운영하는 공업 계열 고등 학교 등과 같이, 전문 교육의 강화가 요구되는 학교는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보통 교과 및 전문 교과의 총 이수 단위 수를 조정, 운영할 수 있다.학교는 필요에 따라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총 교과 이수 단위를 10% 범위 내에서 증배, 운영할 수 있다.
추천자료
7차교육과정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7차교육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7차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영어과에 적용된 7차교육과정
[국어과]7차교육과정 개관
과학과 7차교육과정
도덕과 목표 설정의 기본 이론과 준거(제7차교육과정)
국어과 7차교육과정 분석
6차교육과정vs7차교육과정
공업계 고등학교(공고)의 필요성, 공업계 고등학교(공고)의 기능교육과 진로교육, 공업계 고...
환경과(환경교과)의 목적, 환경과(환경교과)의 실태, 환경과(환경교과)의 내용선정, 환경과(...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개념,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목적, 정보통신윤리교육 실시 현황, 정보통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의미, 정보통신윤리교육 목표, 정보통신윤리교육 중요성, 정보통신윤리교...
[통일교육][제7차교육과정][북한이해교육]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목적, 통일교육의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