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듣기의 본질
2. 말하기의 본질
3. 읽기의 본질
4. 쓰기의 본질.
◎참고문헌◎
2. 말하기의 본질
3. 읽기의 본질
4. 쓰기의 본질.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은 자신의 생각과 의사 전달 및 총체적 언어 생활에 있어서의 문서화 이다. 이것은 다시 말해 쓰기 역시 언어 생활의 일부분이다 라고 말할수도 있을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초등학교 시절 쓰기란 것은 참 어렵다는 것을 항상 느껴 왔었다. 그것은 항상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와라. 매일 매일 일기를 써라 등등의 내용들이 었던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그리고 지금 생각해 보면 그당시 약간 잘못된 교육이었다면, 쓰기 교육이 언어 생활의 일부라는 관점 보단 쓰기란 과목이 마치 글씨 연습을 하는 과목으로 치부 되었던 기억이 있다. 글씨를 못쓰면, 지우개로 다 지우고 처음부터 다시 쓰고 했던 기억으로 비추어 볼 때 국어 교재연구법 국어 교직을 듣는 사람으로써 이번 과제를 통해 쓰기란 과목 역시 단순히 글을 쓴다는 차원을 넘어 언어생활의 하나의 수단이란 생각을 일깨우친 것 같다.
7차 교육과정에서도 10학년 마지막 단계에는 창의적으로 글을 쓰려는 태도를 지닌다. 라고 제시 되어 있었다. 창의적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쓰기에 대한 기초적인것들이 뒷받침 되어야 이루어 질수 있다. 또한 쓴다라는 것을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안도 무시하지 못할 사항인 듯 싶다.
앞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본질과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들의 본질과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단순 국어 교육이 아닌 총체적 교육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초등 학교때부터 배우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무슨 총체적 교육이냐? 라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앞에서도 한번씩 언급되었듯이 이 것들은 일단 기본적으로 언어 생활을 함에 있어서 하나 하나가 일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이것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언어 생활을 유용하게 할수 있는 기반을 다져 주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과정은 우리의 일상생활이다. 그 일 상생활에 사용되어 지는 것을 좀 더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왠 총체적 교육이냐? 라고 묻는다면, 이번 과제를 통해서 책을 읽고 교육과정해설을 읽고 또 도서관서 국어 교육학원론등의 책을 보면서 국어 교육 자체가 국어 교육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란 느낌을 받았다. 간단히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등의 내용은 우리 일상 생활에 유용하게 쓰이어 우리의 언어생활에 이바지한다는 것도 있겠지만, 우리가 다른 학문을 하는데 있어서 가령 외국어를 배운다거나 의학을 배운 다거나 할때 전문 서적을 읽던지 그리고 전문 용어르 쓰고 말하고 또 배우며 듣는 과정은 어느 학문을 하던간에 이루어 지는 기본적인 것이다. 때문에 지금 까지 거론 되었던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과정들은 7차 교육과정의 세세한 각학년 별로의 내용을 살펴 볼 때 그런 훈련을 하고 나서야 대학 진학후 각자의 전공을 함에 있어서도 기본적 틀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다.
◎참고문헌◎
박영목외 2인. 국어 교육학 원론. 박이정(2001)
이영택. 국어 교육하의 맥. 형설 출판사(2001)
7차 교육과정에서도 10학년 마지막 단계에는 창의적으로 글을 쓰려는 태도를 지닌다. 라고 제시 되어 있었다. 창의적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쓰기에 대한 기초적인것들이 뒷받침 되어야 이루어 질수 있다. 또한 쓴다라는 것을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안도 무시하지 못할 사항인 듯 싶다.
앞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본질과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들의 본질과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단순 국어 교육이 아닌 총체적 교육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초등 학교때부터 배우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무슨 총체적 교육이냐? 라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앞에서도 한번씩 언급되었듯이 이 것들은 일단 기본적으로 언어 생활을 함에 있어서 하나 하나가 일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이것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언어 생활을 유용하게 할수 있는 기반을 다져 주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과정은 우리의 일상생활이다. 그 일 상생활에 사용되어 지는 것을 좀 더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왠 총체적 교육이냐? 라고 묻는다면, 이번 과제를 통해서 책을 읽고 교육과정해설을 읽고 또 도서관서 국어 교육학원론등의 책을 보면서 국어 교육 자체가 국어 교육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란 느낌을 받았다. 간단히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등의 내용은 우리 일상 생활에 유용하게 쓰이어 우리의 언어생활에 이바지한다는 것도 있겠지만, 우리가 다른 학문을 하는데 있어서 가령 외국어를 배운다거나 의학을 배운 다거나 할때 전문 서적을 읽던지 그리고 전문 용어르 쓰고 말하고 또 배우며 듣는 과정은 어느 학문을 하던간에 이루어 지는 기본적인 것이다. 때문에 지금 까지 거론 되었던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과정들은 7차 교육과정의 세세한 각학년 별로의 내용을 살펴 볼 때 그런 훈련을 하고 나서야 대학 진학후 각자의 전공을 함에 있어서도 기본적 틀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다.
◎참고문헌◎
박영목외 2인. 국어 교육학 원론. 박이정(2001)
이영택. 국어 교육하의 맥. 형설 출판사(2001)
추천자료
[교과교재연구]교재연구와지도방법
현대국어의 중의구문 연구
국어 유의어의 구조 의미론적 연구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특징 및 소설 동의보감 학습 지도안 연구수업자료
국어 유의어의 구조 의미론적 연구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주세형) 논문 정리 요약
방통대 2012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대중영화의 이해 D형 - 교재에 소개된 네오리얼리즘 사조...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개정판 2011 경문사, 김남희 외)
[국어교육] 상호중심 독서지도 조사, 연구
[국어교육]비한국학 분야 한국어교육의 과제 - 비한국학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 구조 및 ...
[국어교육] 대화 분석을 통한 말하기 평가 원리와 방법 _ 말하기 평가의 특성과 연구의 발달,...
[국어교육] 읽기 포트폴리오의 실제 _ 실험 연구 방법과 실험 설계 및 읽기 포트폴리오에 나...
[일본어 교과교육론] 일본어 교재연구 (교육과정에 따른 일본어교재,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