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현장훈련 등을 실시하였다. 독수리작전의 최종목표는 훈련된 한국인부대를 한반도 작전에 투입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훈련을 마친 제2지대와 제3지대를 한반도에 침투시키려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이를 위한 마지막 단계로 OSS측은 직접훈련생을 직접 평가하여 제2지대 훈련생 전원이 합격하는 영애를 얻었다.
한·미간에 공동작전이 선언되자, 광복군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할 수 있게 되었다. 공동작전은 구체적으로 미국 OSS와 연계하여 훈련을 마친 후 한반도에 침투하여 첩보활동을 전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각 도(道) 단위로 활동구역을 정하고 공작반을 편성하기도 하였다. 기본적인 훈련과 준비가 완료되자, 이들을 구체적으로 침투시키려는 방법이 논의되었고, 그것은 산동(山東)에서 미국 잠수함을 태워 본국으로 들여 보내어서 국내의 요소를 혹은 파괴하고 혹은 점령한 후에 미국 비행기로 무기를 운반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모든 준비가 완료되고 대원들은 오직 출발명령만을 기다렸다. 그러나 뜻밖에도 출발명령보다 더 빨리 해방의 소식이 찾아들었다. 해방으로 OSS와 연계된 국내정진작전이 좌절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광복군에서는 곧바로 국내로의 '정진대' 파견을 추진하였다. 임정에서는 이범석 장군을 포함한 4명으로 광복군 정진대를 편성하여 이들을 국내에 진입시켰다. 정진대는 해방 3일 후인 8월 18일 여의도 비행장 착륙에 성공하였으나, 일본군의 삼엄한 경계와 저항으로 도착한 지 28시간 만에 다시 쓸쓸히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광복군의 모든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7.맺음말
한국광복군이 일제의 침략에 맞서 싸웠던 항일 투쟁사는 가장 가까운 시기에 우리 민족이 함께 공유했던 이민족에 대한 투쟁의 역사이다. 그러므로 한국광복군의 존재는 새로이 전개될 화해와 협력의 통일시대를 맞아 남북간의 맥락이 상통하는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조국 광복을 자신들의 손으로 쟁취할 수 있다는 희망에 부푼 이들은 비록 단기간에도 불구하고 각종 훈련을 성공으로 끝마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항복은 의외로 빨랐고, 이범석(李範奭)장군을 국내 정진군(挺進軍)총사령으로 재편성하여 투입하려던 계획마저 중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모두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광복군은 2001년에 창군 60주년을 맞이하면서 새로운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서고 있다. 한 때 나라를 빼앗겼던 국치의 슬픔과 다시 나라를 되찾은 광복의 기쁨을 동시에 맛본 20세기는 민족 분단이라는 또 다른 고통을 우리에게 안겨준 세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20세기를 보내고 민족 통일의 희망이 바로 눈앞에 다가선 21세기에 들어와서 처음 맞이하는 해인지라 한국광복군 창군 60주년에 느끼는 감회도 여느 때와 다르지 않을 수 없다.
참고문헌
한시준,
목차
1.머리말
2.광복군의 창설배경
3.광복군의 창설과 조직
4.중국군사위원회와의 관계
5.광복군의 초모·선전활동
6.국내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 과 국내정 진대
7.맺음말
8.참고문헌
한·미간에 공동작전이 선언되자, 광복군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할 수 있게 되었다. 공동작전은 구체적으로 미국 OSS와 연계하여 훈련을 마친 후 한반도에 침투하여 첩보활동을 전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각 도(道) 단위로 활동구역을 정하고 공작반을 편성하기도 하였다. 기본적인 훈련과 준비가 완료되자, 이들을 구체적으로 침투시키려는 방법이 논의되었고, 그것은 산동(山東)에서 미국 잠수함을 태워 본국으로 들여 보내어서 국내의 요소를 혹은 파괴하고 혹은 점령한 후에 미국 비행기로 무기를 운반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모든 준비가 완료되고 대원들은 오직 출발명령만을 기다렸다. 그러나 뜻밖에도 출발명령보다 더 빨리 해방의 소식이 찾아들었다. 해방으로 OSS와 연계된 국내정진작전이 좌절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광복군에서는 곧바로 국내로의 '정진대' 파견을 추진하였다. 임정에서는 이범석 장군을 포함한 4명으로 광복군 정진대를 편성하여 이들을 국내에 진입시켰다. 정진대는 해방 3일 후인 8월 18일 여의도 비행장 착륙에 성공하였으나, 일본군의 삼엄한 경계와 저항으로 도착한 지 28시간 만에 다시 쓸쓸히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광복군의 모든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7.맺음말
한국광복군이 일제의 침략에 맞서 싸웠던 항일 투쟁사는 가장 가까운 시기에 우리 민족이 함께 공유했던 이민족에 대한 투쟁의 역사이다. 그러므로 한국광복군의 존재는 새로이 전개될 화해와 협력의 통일시대를 맞아 남북간의 맥락이 상통하는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조국 광복을 자신들의 손으로 쟁취할 수 있다는 희망에 부푼 이들은 비록 단기간에도 불구하고 각종 훈련을 성공으로 끝마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항복은 의외로 빨랐고, 이범석(李範奭)장군을 국내 정진군(挺進軍)총사령으로 재편성하여 투입하려던 계획마저 중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모두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광복군은 2001년에 창군 60주년을 맞이하면서 새로운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서고 있다. 한 때 나라를 빼앗겼던 국치의 슬픔과 다시 나라를 되찾은 광복의 기쁨을 동시에 맛본 20세기는 민족 분단이라는 또 다른 고통을 우리에게 안겨준 세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20세기를 보내고 민족 통일의 희망이 바로 눈앞에 다가선 21세기에 들어와서 처음 맞이하는 해인지라 한국광복군 창군 60주년에 느끼는 감회도 여느 때와 다르지 않을 수 없다.
참고문헌
한시준,
목차
1.머리말
2.광복군의 창설배경
3.광복군의 창설과 조직
4.중국군사위원회와의 관계
5.광복군의 초모·선전활동
6.국내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 과 국내정 진대
7.맺음말
8.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