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심정지 환자의 일차 평가
및 심폐소생술
Ⅱ. CPR시 빈도 높은 사용약물
Ⅲ. 2차 심폐소생술
(Advanced life surpport)
- CPCR
-기관 내 삽관
-제세동술
Ⅳ. 기타 응급상황별 대처법
Ⅴ. team play
Ⅵ. 참고문헌
및 심폐소생술
Ⅱ. CPR시 빈도 높은 사용약물
Ⅲ. 2차 심폐소생술
(Advanced life surpport)
- CPCR
-기관 내 삽관
-제세동술
Ⅳ. 기타 응급상황별 대처법
Ⅴ. team play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 양상을 확인한다.
chating.
DT
수시로 rounding한다.
Dr.에게 notify.
fluid keep
처방에 의해 injection함. (diazepam, Ativan 등)
injection 후에도 sedation되지 않을 경우 bed에 눕힌 후
억제대로 팔, 다리를 억제한다. (억제대 사용 동의서 확인)
필요시 Dr.의 처방에 따라 ICU 전실.
chating
asphyxia
V/S check한다.
의식 유무확인
기도 확보 한다. (목을 한쪽으로 돌린다.)
기도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해준다.
필요시 suction 및 02 inhalation 한다.
담당의에게 보고하여 필요시 ABGA 나 x-ray 촬영을 시행
fluid keep
chating.
갑자기
BP 떨어질 때
leg elevation시킨다.
Dr.에게 notify.
fluid rapid dropping시킨다.(N/S)
처방에 의해 약물 사용 (dopamin, norpin 등등)
chating.
hypoglycemia
저혈당에 의한 증상확인 (식은땀, 어지러움, 기운없음 등등..)
oral intake 권유한다. (사탕, 음료수, 설탕물 등등..)
fluid rapid dropping 시킨다.(금식일 경우)
Dr.에게 notify하고 처방에 의해 injection시행한다.
(5%, 10%, 50% D/W)
30분정도 지난 후 BST re-check.
chating.
낙상
발생한 즉시 V/S, mental check한다.
넘어진 부위와 부딪힌 부위 확인하고
혈종 및 상처유무 확인한다.
Dr.에게 notify.
필요시 X-ray 촬영한다.
Brain CT 및 MRI 촬영
(머리 부딪히거나 의식상실 있는 경우) 시행한다.
side rail 올려준다.
rounding을 자주가고 낙상 위험이 큰 환자는 보호자 keep
chating.
Ⅴ. 응급상황발생시 Team play
team charge Nr.
▶담당 레지던트or병동 당직 인턴 call.
▶sub desk나 acting Nr.에게 intubation을 위한 준비를 시킨다.(Emergency box, suction bottle. O2준비,
EKG monitering 준비)
▶O2 keep -> O2 gauge들고 가서 full inhalation 시키도록 한다.
▶pt V/S, pupil size와 reflex확인 후 Dr.에서 noti.
▶Dr.도착 하면 intubation 유무 확인한다.
▶intubation하게 되면 Nr.는 Dr.에게 한손으로 빛이 들어오는 blade와 연결된 laryngoscope의 손잡이를 건네준다.(blade뽀족한 날이 하늘을 바라보게한 모양으로 handle을 Dr. 가슴부위에서 바로 쥘 수 있도록한다.)
▶한손으로 stylet을 끼운 Endotracheal tube를 생리식염수를 묻힌다(최신 - Jelly 사용 x)
(성인 여자-7.0~8.0mm, 성인 남자-7.5~8.5mm)
*E-tube를 건네줄 때는 끝부분이 contamination되지 않도록 신경 쓰고 stylet이 tube의 1~2cm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 시 후두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을 방지!!*
▶삽입되면 tube가 움직이지 않게 손으로 잡으면서 stylet을 빼고 ambu-bag을 tube 끝에 연결한 뒤 bagging시작.
▶청진하여 tube가 trachea에 제대로 들어감이 확인되면 10cc syringe로 7~8cc air주입.
▶tongue bite와 tube를 맞물리게 하여 포갠 뒤 입 가장자리에 고정 -> X자 모양으로 교차되게 붙임.
(E-tube는 사람의 trachea길이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20cm에서 고정)
▶Dr.의 처방에 따라 tube 깊이를 확인 후 위치조정.
▶약물 주입 시 약명, 용량.주입시간을 명확하고 큰소리로 반복하여 Dr.와의 의사소통 원활하게 한다.
▶defibrilator사용 시- 양쪽 paddle을 빼서 함께 건네주며 화상방지위해 jelly 듬뿍 묻혀준다.
▶Nr.는 처방된 jule을 맞추고 charge 버튼을 누른다.
▶pt의 V/S, spo2, EKG, mental, pupil변화 관찰
▶정맥 투여된 약물과 함께 charting을 마무리한다.
sub desk Nr.
▶intubation 을 위한 준비물을 E-box 위에 올려놓으며 준비한다.
▶IV route 확인, 18G 유지
▶intubation 할 수 있는 자세준비
(supine position + 베개,sheet준비)
▶laryngoscope에 blade를 끼워 밝은 빛을 내는지 확인.
▶E-tube 7.5mm를 꺼내 성인용 stylet을 tube의 1~2cm 안쪽에 위치하도록 끼워 놓는다.
▶tongue bite와 tapping위한 반창고를 준비한다. 반창고는 1인치를 넓이를 1/2 폭으로 하여 준비
▶10cc syringe를 꺼내어 미리 E-tube ballooning 유무 확인 후 다시 air를 뺀 뒤 놓아둔다.
▶용지를 준비하여 시간별 V/S 과 약물용량 및 이름을 기록한다.
약물 투여 후 약명과 용량이 완료됨을 Dr.에게 알리고 메모한다.
▶E-tube안으로 tip을 넣어 suction을 시행
수시로 V/S, EKG, pupil, mental변화 확인
acting Nr.
▶E-box와 suction bottle, O2 gauge, EKG monitor를 재빨리 병실로 가져간다.
▶intubation시 sub desk Nr.와 함께 assist한다.
▶intubation이 끝나자마자 V/S check. suction시행. EKG monitoring을 시작함과 동시에 pulse oxymetry keep.
▶ICU 전실확정시 O2 portable tank대기시켜놓고 마지막 pt 상태+ v/s 상태+ 처치등를 team charge Nr.에게 보고.
Ⅵ. 참고문헌
1.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황성오/임경수 - 군자출판사
2. 약물요법과 간호, 대한간호협회, 2006.
3. 임상진료지침, 카톨릭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군자출판사
4. 내과진료지침,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5. 성인간호학. 2000. 서문자 외 저- 수문사
chating.
DT
수시로 rounding한다.
Dr.에게 notify.
fluid keep
처방에 의해 injection함. (diazepam, Ativan 등)
injection 후에도 sedation되지 않을 경우 bed에 눕힌 후
억제대로 팔, 다리를 억제한다. (억제대 사용 동의서 확인)
필요시 Dr.의 처방에 따라 ICU 전실.
chating
asphyxia
V/S check한다.
의식 유무확인
기도 확보 한다. (목을 한쪽으로 돌린다.)
기도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해준다.
필요시 suction 및 02 inhalation 한다.
담당의에게 보고하여 필요시 ABGA 나 x-ray 촬영을 시행
fluid keep
chating.
갑자기
BP 떨어질 때
leg elevation시킨다.
Dr.에게 notify.
fluid rapid dropping시킨다.(N/S)
처방에 의해 약물 사용 (dopamin, norpin 등등)
chating.
hypoglycemia
저혈당에 의한 증상확인 (식은땀, 어지러움, 기운없음 등등..)
oral intake 권유한다. (사탕, 음료수, 설탕물 등등..)
fluid rapid dropping 시킨다.(금식일 경우)
Dr.에게 notify하고 처방에 의해 injection시행한다.
(5%, 10%, 50% D/W)
30분정도 지난 후 BST re-check.
chating.
낙상
발생한 즉시 V/S, mental check한다.
넘어진 부위와 부딪힌 부위 확인하고
혈종 및 상처유무 확인한다.
Dr.에게 notify.
필요시 X-ray 촬영한다.
Brain CT 및 MRI 촬영
(머리 부딪히거나 의식상실 있는 경우) 시행한다.
side rail 올려준다.
rounding을 자주가고 낙상 위험이 큰 환자는 보호자 keep
chating.
Ⅴ. 응급상황발생시 Team play
team charge Nr.
▶담당 레지던트or병동 당직 인턴 call.
▶sub desk나 acting Nr.에게 intubation을 위한 준비를 시킨다.(Emergency box, suction bottle. O2준비,
EKG monitering 준비)
▶O2 keep -> O2 gauge들고 가서 full inhalation 시키도록 한다.
▶pt V/S, pupil size와 reflex확인 후 Dr.에서 noti.
▶Dr.도착 하면 intubation 유무 확인한다.
▶intubation하게 되면 Nr.는 Dr.에게 한손으로 빛이 들어오는 blade와 연결된 laryngoscope의 손잡이를 건네준다.(blade뽀족한 날이 하늘을 바라보게한 모양으로 handle을 Dr. 가슴부위에서 바로 쥘 수 있도록한다.)
▶한손으로 stylet을 끼운 Endotracheal tube를 생리식염수를 묻힌다(최신 - Jelly 사용 x)
(성인 여자-7.0~8.0mm, 성인 남자-7.5~8.5mm)
*E-tube를 건네줄 때는 끝부분이 contamination되지 않도록 신경 쓰고 stylet이 tube의 1~2cm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 시 후두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을 방지!!*
▶삽입되면 tube가 움직이지 않게 손으로 잡으면서 stylet을 빼고 ambu-bag을 tube 끝에 연결한 뒤 bagging시작.
▶청진하여 tube가 trachea에 제대로 들어감이 확인되면 10cc syringe로 7~8cc air주입.
▶tongue bite와 tube를 맞물리게 하여 포갠 뒤 입 가장자리에 고정 -> X자 모양으로 교차되게 붙임.
(E-tube는 사람의 trachea길이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20cm에서 고정)
▶Dr.의 처방에 따라 tube 깊이를 확인 후 위치조정.
▶약물 주입 시 약명, 용량.주입시간을 명확하고 큰소리로 반복하여 Dr.와의 의사소통 원활하게 한다.
▶defibrilator사용 시- 양쪽 paddle을 빼서 함께 건네주며 화상방지위해 jelly 듬뿍 묻혀준다.
▶Nr.는 처방된 jule을 맞추고 charge 버튼을 누른다.
▶pt의 V/S, spo2, EKG, mental, pupil변화 관찰
▶정맥 투여된 약물과 함께 charting을 마무리한다.
sub desk Nr.
▶intubation 을 위한 준비물을 E-box 위에 올려놓으며 준비한다.
▶IV route 확인, 18G 유지
▶intubation 할 수 있는 자세준비
(supine position + 베개,sheet준비)
▶laryngoscope에 blade를 끼워 밝은 빛을 내는지 확인.
▶E-tube 7.5mm를 꺼내 성인용 stylet을 tube의 1~2cm 안쪽에 위치하도록 끼워 놓는다.
▶tongue bite와 tapping위한 반창고를 준비한다. 반창고는 1인치를 넓이를 1/2 폭으로 하여 준비
▶10cc syringe를 꺼내어 미리 E-tube ballooning 유무 확인 후 다시 air를 뺀 뒤 놓아둔다.
▶용지를 준비하여 시간별 V/S 과 약물용량 및 이름을 기록한다.
약물 투여 후 약명과 용량이 완료됨을 Dr.에게 알리고 메모한다.
▶E-tube안으로 tip을 넣어 suction을 시행
수시로 V/S, EKG, pupil, mental변화 확인
acting Nr.
▶E-box와 suction bottle, O2 gauge, EKG monitor를 재빨리 병실로 가져간다.
▶intubation시 sub desk Nr.와 함께 assist한다.
▶intubation이 끝나자마자 V/S check. suction시행. EKG monitoring을 시작함과 동시에 pulse oxymetry keep.
▶ICU 전실확정시 O2 portable tank대기시켜놓고 마지막 pt 상태+ v/s 상태+ 처치등를 team charge Nr.에게 보고.
Ⅵ. 참고문헌
1.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황성오/임경수 - 군자출판사
2. 약물요법과 간호, 대한간호협회, 2006.
3. 임상진료지침, 카톨릭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군자출판사
4. 내과진료지침,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5. 성인간호학. 2000. 서문자 외 저-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