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사대가와 동기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사대가와 동기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원사대가
1) 원사대가의 시대적 배경
2) 원사대화가들
2. 동기창
1) 동기창 소개
2) 회화론 형성의 시대적 배경
3) 회화미학 사사의 전개
4) 회화미학의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대 예술 장르의 세분화에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3) 산수화의 의경
동기창의 회화적 의경은 원의 회화경지였던 유아지경을 발전시킨 것으로 진정한 회화작품은 객체인 자연경물을 자세히 그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의 주관적이 정서, 감흥, 관념을 필묵의 정묘함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묵희가 잘 드러난 회화 경지로서 서법과 회화가 조화통일을 이룬 경지이다. 그러므로 동기창 산수화의 의경도 실경산수를 자세히 표현한 그림이기보다 상징적 의미가 담긴 문인적 화풍의 회화 경지였다.
(4) 남종화의 이론
남화(南畵)라고도 하며 북종화(北宗畵)에 대응되는 말이다. 북종화가 화원(畵員)이나 직업적인 전문화가들을 중심으로 경직(硬直)된 선묘를 사용하여 그린 장식적이면서도 공필(工筆)의 그림을 의미하는 데 반하여, 남종화는 대체로 인격이 고매하고 학문이 깊은 사대부(士大夫)가 여기(餘技)로 수묵과 담채(淡彩)를 사용하여 그린 간일(簡逸)하고 온화한 그림이다. 당나라 초기 남북2종설(南北二宗說)은 명나라 때 동기창이 《화지(畵旨)》 《화안(畵眼)》 등 그의 문집 속에서 당대(唐代) 선종(禪宗)에 남 ·북종이 있음을 주목하고, 회화에서도 남 ·북종의 구분을 한 데서 비롯된다.
4) 회화미학의 특성
동기창이 회화미성은 고인, 천지, 산천을 배우면서 예술가의 타고난 일품적인 소질과 독만권서 행만리로로 노력하는 예술가의 수양적인 면을 동시에 요구함으로써 회화ㅗ예술미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았다. 또한 동기창은 형사와 사의적인 단계에서 창조적인 만족을 구하지 않고 필묵의 정묘함에 관심이 많았기에 후대인 청의 다양한 회화표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작품보기
<하목수음도>
동기창의 나무 그리는 방식은 매우 독특하다. 나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부타적인 것이 되어버렸고 옛 그림 연구를 통해 체계화된 이론에 기반을 둔 새로운 형태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나무의 수종과 배치, 나뭇가지의 꺽임 등을 중시하는 것이다
<추경산수도>
예찬의 표준적인 구도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찬의 기법을 대부분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이를 매우 상이한 패턴의 산수화로 구성하는데 동기창은 예찬의 기본적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면서도 예찬과는 완전히 다른 기법으로 이를 표현하고 있다.
표현양식은 고극공의 <청산백운도>같은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거기서 우리는 기묘하게 매끄러운 형태들, 작은 언덕 같은 형상들, 그리고 부풀어 있으며 꼭대기는 동근 원추형의 반복을 볼 있다. 동기창의 구도는 보다 장대하면서도 덜 안정되어 있으며 비스듬히 기울어진 덩어리들은 붕ㄹ안정한 평형 상태에 있다. 어두컴컴한 채색도 그 자체 별 매력이 없는 나무들의 선묘도 이방면의 딱딱함을 완화 시켜 주지는 못한다. 동기창도 예찬만큼 철저히 일화적 내용을 기피했으며 , 산수로부터 인물을 배제한 그의 태도는 거의 준엄할 정도였습니다. 만약 우리가 회화는 그 인간을 반영한다는 문인화론가들의 의견에 공감한다면, 동기창이 지조가 높으며 준엄한 개성을 지녔다는 인상을 받을 것입니다
Ⅲ. 결론
자료를 찾고 발표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공부를 많이 한 것 같습니다. 최소한 서양화에 관해서는 잘 몰라도 이젠 동양화에 관하여서는 개념이 생긴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서양의 풍경화가 더 훌륭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미술 자체를 사물의 얼마나 더 비슷하게 그리느냐만 중요하게 보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산수화와 풍경화의 차이를 알고 산수화가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나니 동양의 산수화가 더 멋지고 더 깊이 있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중국의 미술은 가장 동양적인 그림을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미술은 그 시대의 시대적배경과 그 당시 유행하였던 학문과 깊은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원사대가들은 남종화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동기창은 동양의 미학사상을 정립하고 후대 근대 미술에 큰 영향을 주고 우리나라의 산수화에 많은 영향을 줬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나면 우리나라 산수화도 보고 공부 해보고 싶습니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도 많고 보람 또한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미술이라는 예술장르를 느껴 보고 싶습니다. 학점을 채우는 강의가 아니라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법을 배우는 등 제대로 된 교양수업을 들었던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 미학-지순임
중국 회화사-제임스캐힐
중국 회화사론-장준식
http://kr.blog.yahoo.com/kms1333
http://100.naver.com/
http://ko.wikipedia.org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