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 있다.
③ 더빈-왓슨 통계량 (부록 표1)
더빈 왓슨 통계량은 0.86358845이 나왔다. 이 값이 2에 가까울수록 자기상관 관계가 없을 나타내고 0에 가까우면 강한 양의 자기상관, 4에 가까우면 강한 음의 자기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n=30이고 독립변수 k=3일 때의 dl=1.214이고 du=1.650이다.
따라서 d(0.86358845) dl=1.214이므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8. 계량분석정리와 결론
총관객수 = -64416.4 + 13760.01 X1 + 6.36E-08 X2 +217924.4 X3
(3.06645) (0.00023) (0.94384)
(X1: 개봉관수, X2: 마케팅비용, X3: 배우유명세)
R2 =0.4604 , Se(표준오차) = 543798
회귀분석에서 얻어진 B1, B2, B3의 통계값은 각각 3.066451, 0.000234, 0.943842이고 유의수준 5%, 자유도 27에 대응하는 임계치는 2.052 이다.
따라서 B1의 귀무가설만 기각되어 추정결과 얻은 회귀계수의 값이 유의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B1, B3의 귀무가설은 채택되어 추정결과 얻은 각 회귀계수의 값은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즉 개봉관수는 총관객수에 영향을 미치지만 나머지 변수들은 그 회귀값이 t-통계량 임계치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믿을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관객들은 많은 곳에서 상영하는 영화, 각종 매체를 이용한 광고를 많이 하는 영화, 인기 배우가 출연하는 영화를 더 많이 접할 수 있고 또한 더 많이 선호함으로써 이러한 조건을 갖춘 영화들이 흥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하면서 정확한 자료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과정이었고 그에 따라 자료 분석도 그 정확도가 낮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라고 자료 수집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단지 3개의 설명면수만이 포함된 것이 이 분석의 설명도를 그다지 높지 않게 나오게 한 이유인 것 같다.
(부록 표1 ) 잔차 출력 - 더빈 왓슨 통계이용 -
관측수
Y 예측치
잔차
표준 잔차
1
566372
2013578
3.910598
2
896612.3
864487.7
1.678934
3
786564
679836
1.320319
4
855345
41154.97
0.079928
5
1254449
-380849
-0.73965
6
444755
771145
1.497652
7
843839.9
-230540
-0.44773
8
566346.6
-58946.6
-0.11448
9
745233.1
-283483
-0.55056
10
814084.1
-399884
-0.77662
11
566362.5
-172330
-0.33469
12
717719.4
-334419
-0.64948
13
320927.6
-220528
-0.42829
14
183282.9
-93582.9
-0.18175
15
86994.64
-6294.64
-0.01222
16
497512.8
-377313
-0.73278
17
2437766
71554.34
0.138967
18
238342.1
57257.94
0.111201
19
1006731
-124331
-0.24146
20
470051.9
-451655
-0.87717
21
924126
-287126
-0.55763
22
621399.3
-79399.3
-0.1542
23
252095.7
-121096
-0.23518
24
-50653.2
110452.2
0.214511
25
-36885.6
71885.56
0.13961
26
387491.8
-336592
-0.6537
27
896650.5
264849.5
0.514368
28
717732.2
-649132
-1.26069
29
362226.7
-300092
-0.58281
30
45708.24
-38608.2
-0.07498
(자료 출처)
■ 경제 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samsung.org
/
■ 영화 관련 기관
한국 영상 자료원 http://www.koreafilm.or.kr/
한국영화진흥원 http://www.kofic.or.kr/
■ 영화 관련(잡지) 사이트
씨네21 http://www.cine21.co.kr/
무비스트 http://www.movist.co.kr/
영화웹진 http://www.screen.co.kr/
FILM2.0 http://www.film2.co.kr/
③ 더빈-왓슨 통계량 (부록 표1)
더빈 왓슨 통계량은 0.86358845이 나왔다. 이 값이 2에 가까울수록 자기상관 관계가 없을 나타내고 0에 가까우면 강한 양의 자기상관, 4에 가까우면 강한 음의 자기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n=30이고 독립변수 k=3일 때의 dl=1.214이고 du=1.650이다.
따라서 d(0.86358845) dl=1.214이므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8. 계량분석정리와 결론
총관객수 = -64416.4 + 13760.01 X1 + 6.36E-08 X2 +217924.4 X3
(3.06645) (0.00023) (0.94384)
(X1: 개봉관수, X2: 마케팅비용, X3: 배우유명세)
R2 =0.4604 , Se(표준오차) = 543798
회귀분석에서 얻어진 B1, B2, B3의 통계값은 각각 3.066451, 0.000234, 0.943842이고 유의수준 5%, 자유도 27에 대응하는 임계치는 2.052 이다.
따라서 B1의 귀무가설만 기각되어 추정결과 얻은 회귀계수의 값이 유의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B1, B3의 귀무가설은 채택되어 추정결과 얻은 각 회귀계수의 값은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즉 개봉관수는 총관객수에 영향을 미치지만 나머지 변수들은 그 회귀값이 t-통계량 임계치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믿을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관객들은 많은 곳에서 상영하는 영화, 각종 매체를 이용한 광고를 많이 하는 영화, 인기 배우가 출연하는 영화를 더 많이 접할 수 있고 또한 더 많이 선호함으로써 이러한 조건을 갖춘 영화들이 흥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하면서 정확한 자료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과정이었고 그에 따라 자료 분석도 그 정확도가 낮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라고 자료 수집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단지 3개의 설명면수만이 포함된 것이 이 분석의 설명도를 그다지 높지 않게 나오게 한 이유인 것 같다.
(부록 표1 ) 잔차 출력 - 더빈 왓슨 통계이용 -
관측수
Y 예측치
잔차
표준 잔차
1
566372
2013578
3.910598
2
896612.3
864487.7
1.678934
3
786564
679836
1.320319
4
855345
41154.97
0.079928
5
1254449
-380849
-0.73965
6
444755
771145
1.497652
7
843839.9
-230540
-0.44773
8
566346.6
-58946.6
-0.11448
9
745233.1
-283483
-0.55056
10
814084.1
-399884
-0.77662
11
566362.5
-172330
-0.33469
12
717719.4
-334419
-0.64948
13
320927.6
-220528
-0.42829
14
183282.9
-93582.9
-0.18175
15
86994.64
-6294.64
-0.01222
16
497512.8
-377313
-0.73278
17
2437766
71554.34
0.138967
18
238342.1
57257.94
0.111201
19
1006731
-124331
-0.24146
20
470051.9
-451655
-0.87717
21
924126
-287126
-0.55763
22
621399.3
-79399.3
-0.1542
23
252095.7
-121096
-0.23518
24
-50653.2
110452.2
0.214511
25
-36885.6
71885.56
0.13961
26
387491.8
-336592
-0.6537
27
896650.5
264849.5
0.514368
28
717732.2
-649132
-1.26069
29
362226.7
-300092
-0.58281
30
45708.24
-38608.2
-0.07498
(자료 출처)
■ 경제 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samsung.org
/
■ 영화 관련 기관
한국 영상 자료원 http://www.koreafilm.or.kr/
한국영화진흥원 http://www.kofic.or.kr/
■ 영화 관련(잡지) 사이트
씨네21 http://www.cine21.co.kr/
무비스트 http://www.movist.co.kr/
영화웹진 http://www.screen.co.kr/
FILM2.0 http://www.film2.co.kr/
추천자료
영화 <포레스트 검프>를 심리학적으로 분석
영화 밴디트와 미치고 싶을때 비교 분석
20대 관객의 영화취향 분석
공동경비구역 JSA 영화분석
영화 살인의 추억 시나리오 분석
영화 살인의 추억 시나리오 분석
영화 블랙을 보고나서 특수교육학적으로 분석한 내용
영화 괴물 의 흥행요소와 마케팅 분석
[역사와영화]연을쫓는아이의 분석 비평과 연을쫓는아이의 한계
정신건강과 관련된 영화 분석문 _ 굿 월 헌팅
정신건강과 관련된 영화 분석문 _ 버디
환상서사이론을 적용한 영화분석 - 웰컴 투 동막골,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분석
장이모 영화 영웅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