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면서
2.북한문학의 기준
3.초기의 북한문학
4.1960년대-1970년대 북한문학
5.1980년대 -1990년대 북한문학
2.북한문학의 기준
3.초기의 북한문학
4.1960년대-1970년대 북한문학
5.1980년대 -1990년대 북한문학
본문내용
1990년대의 북한의 소설 문학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로 ‘사회주의 현실 주제’의 문학이다. 이는 현재 북한 사회의 현실적인 삶에서 그 소재를 구한 것으로 북한 문학에서 김일성 가계형상화와 거의 맞먹는 양을 차지하는 주제이다. 이 주제는 그 문학이 다루는 문제에 따라서 더 세분될수 있다. 그런데 이 주제의 소설에서는 이전의 문학에서 다루어지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이 나타나고 있고, 이는 1990년대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전에는 그렇게 큰 관심을 끌지 않았던 과학 기술의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기 시작하다든가, 혹은 1980년대 ‘사회주의 현실주제’의 소설에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던 것 중에서 다른 것들은 이제 별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한 반면 세대간의 갈등 문제만은 1990녀대에 증폭되어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다섯째, 조국 통일의 주제이다. 이 주제 역시 815 직후부터 북한의 문학에서 지속적으로탐구된 주제이나, 특히 전쟁을 겪고 난 후 분단이 고착되면서 이 주제의 문학은 한층 더 비중을 더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이 주제의 소설들은 남한의 현실이나 혹은 해외 동포의 현실을 소재로 삼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그렇게 때문에 이 주제에서는 분단된 조국 현실에서 북한의 사람들이 겪는 문제라든가 하는 것은 거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1990년대 들어서면서 북한 문학에서 조국 통일의 주제를 다루는 작품들은 북한 내부의 사람들이 겪는 이산 가족의 아픔과 같은 문제들을 다루기 시작했다. 이것은 그 이전에는 결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특이한 요소이다. 이상의 다섯가지 전통적인 주제 중에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1990년대에 들어와 북한 문학에서 새롭게 혹은 증폭되어 다루어지기 시작하는 주제 및 문제들이다. 북한 문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당대 현실을 다룬 문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주제보다도 이 주제에서 그 시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드러난다. 북한은 현재 문학의 성격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딱딱하고 자유로움에 제제를 받고 있다. 이상이 현재까지 흘러온 북한 문학의 특성들이다.
<작성자 주요약력>
한국문인협회 회원(필명 송명).
태극기연구가
저서 - 홍보시대PR문장. 최초의한국인. 역사속의태극기 등 다수
홈페이지 http://www.songpr.com
<작성자 주요약력>
한국문인협회 회원(필명 송명).
태극기연구가
저서 - 홍보시대PR문장. 최초의한국인. 역사속의태극기 등 다수
홈페이지 http://www.songpr.com
추천자료
북한의 문학·예술에 대하여
북한의 문학과 투쟁의 역사
북한 문학과 페미니즘
북한의 아동문학
북한 문학과 북한 사람
북한에서의 근대문학 연구
북한 문학관의 역사적 변모와 그 의미에 관한 고찰
2009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북한의 대표문학사와 장화홍련전)
2010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북한의 대표문학사와 장화홍련전)
[판소리문학][판소리][문학]판소리문학의 의의, 판소리문학의 종류, 판소리문학의 특징, 판소...
북한 문학에 나타난 분단의 문제
북한의 문학예술단체
[1990년대][포스트모더니즘][표현의 자유][민족문학][미디어][북한연극]1990년대의 포스트모...
북한의 창작문학 - 소설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