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자재
4. 실험방법
5. 실험참고사항
6. 참고문헌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자재
4. 실험방법
5. 실험참고사항
6. 참고문헌
본문내용
45와 348㎚에서 흡수 봉우리를 나타낸다. 이것은 트립토판의 들뜸 봉우리(275㎚), 방출 봉우리(350㎚)와 겹치며 방해한다. 내부-필터효과는 또한 형광과 그 자체의 농도 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생긴다. 어떤 분석물질의 분자들은 다른 것들로부터 방출된 복사선 을 다시 흡수하는 것도 있다.
(4) Haematococcus pluvialis
해양미세조류의 하나로서 진핵세포(eukaryotes)이며 녹조류(green algae)에 속하며, 강력한 항산화제인 astaxanthin을 생산하는 균주이다. vegetative cell 상태에서는 motile하나 mature cell 상태에서는 non-motile하게 된다.
Cell cycle이 매우 다양하며 특히 astaxanthin이 축적되어 있는 aplanospore 상태 에서는 cell size가 30~60㎛까지 성장하고 건조중량의 8~19%까지 축적한다.
주요 광합성 색소로는 chlorophyll a와 chlorophyll b가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색소 로 zeaxanthin, lutein, canthaxanthin, β-carotene을 생산한다.
3. 시약 및 기자재
(1) 시약
Haematococcus pluvialis 배양액, Acetone
(2) 기자재
coulter counter, spectrophotometer, PAM fluorometer, microtube, 원 심분리기, pipette
4. 실험방법
(1) 준비방법
1) 1㎖ microtube에 Haematococcus pluvialis 배양용액 1㎖를 취하여 넣는다.
2) cell을 열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 준비한 microtube를 넣고 13000rpm에서 10 분간 centrifugation을 한다.
3) 조심스럽게 microtube를 꺼내어 버린다. 이 때 가능한 한 상등액을 남기지 않도록 pipette으로 조심히 제거한다.
4) 다른 microtube에 1㎖의 acetone을 첨가한 후 2min 동안 homogenizer로 cell wall을 깨서 세포내부의 chlorophyll이 추출되도록 한다.
5) 충분히 homogenizing이 된 cell 내의 chlorophyll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microtube를 20min 동안 냉장보관한다.
6) chlorophyll이 추출된 acetone을 얻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서 13000rpm으로 10분간 centrifugation을 수행하여 cell down을 시킨다.
(2) 측정방법
1) 미리 예열한 spectrophotometer에 glass well에 acetone을 넣어 blank를 잡고 파장을 546㎚로 잡아놓는다.
2) 원심분리시킨 sample의 상등액 0.8㎖(cell debris가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을 취하여 10㎜ glass well에 넣고 파장을 측정한다.
주의 : 측정값이 1 이상이 되면 희석하여 다시 측정한다.
흡광도 : 645㎚, 663㎚
5. 실험참고사항
(1) 파장을 측정할 때 cell debris가 포함되면 정확한 파장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주의한 다.
(2) 파장의 측정값이 1 이상이 되면 오차가 커지므로 희석해서 다시 측정한다.
6. 참고문헌
(1) 이용근 외 4인 공역, 분석화학, 희중당, 1996, pp.460
(2) 박기체 외 7인 공역, 기기분석의 원리, 탐구당, 1997, pp.158~159
(3) 김윤수 저, 생화학, 의학문화사, 1993, pp.312~313
(4) 고석찬 외 7인 공저, 생명과학 실험서,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4, pp.191~192
(5) 김명순 외 10인 공저, 생화학, 형설출판사, 1997, pp.87
(4) Haematococcus pluvialis
해양미세조류의 하나로서 진핵세포(eukaryotes)이며 녹조류(green algae)에 속하며, 강력한 항산화제인 astaxanthin을 생산하는 균주이다. vegetative cell 상태에서는 motile하나 mature cell 상태에서는 non-motile하게 된다.
Cell cycle이 매우 다양하며 특히 astaxanthin이 축적되어 있는 aplanospore 상태 에서는 cell size가 30~60㎛까지 성장하고 건조중량의 8~19%까지 축적한다.
주요 광합성 색소로는 chlorophyll a와 chlorophyll b가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색소 로 zeaxanthin, lutein, canthaxanthin, β-carotene을 생산한다.
3. 시약 및 기자재
(1) 시약
Haematococcus pluvialis 배양액, Acetone
(2) 기자재
coulter counter, spectrophotometer, PAM fluorometer, microtube, 원 심분리기, pipette
4. 실험방법
(1) 준비방법
1) 1㎖ microtube에 Haematococcus pluvialis 배양용액 1㎖를 취하여 넣는다.
2) cell을 열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 준비한 microtube를 넣고 13000rpm에서 10 분간 centrifugation을 한다.
3) 조심스럽게 microtube를 꺼내어 버린다. 이 때 가능한 한 상등액을 남기지 않도록 pipette으로 조심히 제거한다.
4) 다른 microtube에 1㎖의 acetone을 첨가한 후 2min 동안 homogenizer로 cell wall을 깨서 세포내부의 chlorophyll이 추출되도록 한다.
5) 충분히 homogenizing이 된 cell 내의 chlorophyll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microtube를 20min 동안 냉장보관한다.
6) chlorophyll이 추출된 acetone을 얻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서 13000rpm으로 10분간 centrifugation을 수행하여 cell down을 시킨다.
(2) 측정방법
1) 미리 예열한 spectrophotometer에 glass well에 acetone을 넣어 blank를 잡고 파장을 546㎚로 잡아놓는다.
2) 원심분리시킨 sample의 상등액 0.8㎖(cell debris가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을 취하여 10㎜ glass well에 넣고 파장을 측정한다.
주의 : 측정값이 1 이상이 되면 희석하여 다시 측정한다.
흡광도 : 645㎚, 663㎚
5. 실험참고사항
(1) 파장을 측정할 때 cell debris가 포함되면 정확한 파장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주의한 다.
(2) 파장의 측정값이 1 이상이 되면 오차가 커지므로 희석해서 다시 측정한다.
6. 참고문헌
(1) 이용근 외 4인 공역, 분석화학, 희중당, 1996, pp.460
(2) 박기체 외 7인 공역, 기기분석의 원리, 탐구당, 1997, pp.158~159
(3) 김윤수 저, 생화학, 의학문화사, 1993, pp.312~313
(4) 고석찬 외 7인 공저, 생명과학 실험서,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4, pp.191~192
(5) 김명순 외 10인 공저, 생화학, 형설출판사, 1997, pp.87
키워드
추천자료
세포배양에 관한 요약 정리
미생물 순수배양 위한 무균조작법 실험
주제 : 농업에 있어 환경 친화적 병충해 방제법과 생물학적 병충해 방제법
[미생물]미생물의 상호작용 (미생물과 원생생물)
세포 배양(Cell Culture)과 계대배양(Subcultury)
적조현상의 정의와 종류, 적조현상의 역사와 분포, 적조현상의 원인, 적조현상의 원인생물, ...
지구 생태계와 관련된 환경문제들,지구온난화와원인,오존층 파괴와원인,사라지는 열대림,야생...
생물공학기초 학습지도안 약안 (조직배양)
(예비) 균류와 원생생물 관찰
(결과) DO(용존산소량),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기생 혹은 공생하는 생명체가 숙주 생물에서의 진화양상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종류, 식물생장(식물성장)의 환경,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생물학적 요...
[레포트] 일반 생물학 및 실험2 식물의 구조(잎) 3주차 실험
미생물배양및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