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등급제의 허와 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방송프로그램의 등급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칙
(2) 프로그램 등급제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3. 결 론

본문내용

등급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노란 동그라미에 15살 숫자가 나타나면 심장이 덜컥 내려앉는 것 같다는 아이도 있었고, 어차피 그래도 볼 건데 화면의 숫자가 불편하게 느껴진다는 아이도 있었다. ‘15살 이상 시청가’ 등급인데 너희가 왜 보냐는 질문에 한 아이의 대답이 기억에 남는다.
“선생님! 그건 우리가 보지 말라는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분명히 ‘이 프로그램은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하므로 보호자의 적절한 시청지도가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라고 그랬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보고 오면 선생님이 지도해 주시면 되잖아요.”
5월은 가정의 달이라고, 가족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가족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살펴보면 대부분 텔레비전 시청 시간을 꼽을 것이다.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될 것이고 등급 표시가 있는 드라마도 보게 될 것이다. 온 가족이 함께 시청할 프로그램 선택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형은 되고 동생은 안 된다는 식의 획일적인 잣대로 등급제를 이용하기보다는 최소한의 정보를 자녀들의 시청 지도 및 대화에 이용해야 할 것이다. 혼자서 텔레비전을 보던 아이들이 부모님과 가족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보고 이야기할 때, 등급제의 원래 목적을 살릴 수 있을 것이며 텔레비전은 멋진 대화의 통로로 사용될 것이다.
정연실/서울 미양초등학교 교사, 깨끗한 미디어를 위한 교사운동
윗글처럼 프로그램등급제의 적용은 그다지 실용적인 현실로 다가오지 않는다. 이는 프로그램등급제의 좀더 명확한 기준을 갖고 시행함과 어린이들의 시청 지도를 해주어야 하는 부모님들의 몫이 크다는걸 알수 있다.
3. 결 론
대중매체 특히 TV는 세상의 거울이다.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처럼 내닫던 시청률경쟁을 자제하고 공영성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가치관을 설정했으면 하거니와 차제에 침실장면과 싸움장면만 문제인가도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여성과 소외계층에 대한 왜곡과 비하,부에 대한 맹목적 경외심 조장,신데렐라 만들기로는 부족해 온달족 양산에 열을 올리는 것은 괜찮은 건지 판단해야 한다. 또한 우리 청소년들과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로 나오게 된 프로그램 등급제의 명확한 존재여부를 위한 방송사들의 프로그램 등급제의 철저한 시행여부를 지켜야 하며, 가정에서의 부모님들이 어린이들에게 프로그램 시청 지도를 해주어야 하는 현명함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