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학이란
2. 실학의 배경
3. 실학의 학파
(1) 경세치용학파
(2) 이용후생학파
(3) 실사구시학파
4. 북학파
2. 실학의 배경
3. 실학의 학파
(1) 경세치용학파
(2) 이용후생학파
(3) 실사구시학파
4. 북학파
본문내용
땅에 실학문화를 꽃피우게 하였다.
이들은 이전 실학자들의 연구방법을 계승하면서도 학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 엄격하고 객관적 태도를 확립하고 순수한 학문적 차원에서 실학을 발전시키자는 모습으로 전환하였던 학파이다. 결과적으로 실사구시학파는 근대적. 실증적 과학연구태도를 확립하는데 공헌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학파의 사회개혁 요구는 탄압을 받고 지배층으로부터 배제되었고 이 때문에 경세치용적(經世致用的)인 유파는 거세되고 실사구시의 학문방법론이 추구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김정희(金正喜)이다. 그에 앞서 홍석주(洪奭周)는 성리학과 고증학을 조화시키는 방향에 섰지만, 김정희는 실사구시의 방법론과 실천을 역설하였다
<북학파>
조선 후기 실학의 한 분파로 상공업 발달을 중시하였다.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 북학파(北學派)라고도 불리는데 북학파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이들이 청나라 문물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실학은 조선 후기 특수한 사회적·경제적 상황 속에서 발생한 사상으로서 공리공담이 아닌 실질적인 것, 실제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이며 그것을 통해 현실을 개혁하려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이다. 나아가 실제 사회에 이용될 수 있는 이용후생의 학문이었다.
<서경> 대우모(大禹謨)에 수록된 '이용(利用)'이란 백성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각종 기계나 운송수단 등을 말하며, '후생(厚生)'이란 의복이나 식량 등을 풍부하게 하여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18세기 이후 실학의 흐름은 이익으로 대표되는 경세치용학파와 박지원·박제가·홍대용으로 대표되는 이용후생학파 및 완당 김정희에 이르러 일가를 이룩하게 된 실사구시학파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 세 유파가 제각기 학문분야를 달리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념과 방법에 있어서는 모두 당시의 관념적인 주자학의 세계에 매몰되지 않고 새로운 차원을 지향하여 실용과 실증을 창도했다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북학파의 개혁 상상은 농업에만 치우친 이상 국가론에서 탈피하여 부국강병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개화 사상의 등장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북학파의 사상이 형성된 배경으로는 조선 후기 사회의 상공업 발달과 청나라 문물의 수용, 그리고 서양 문물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 혁신 등이 부국강병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북학파 실학자들에게 깨우쳐 주었다.
참고문헌
우형효 외 (2009).
쉽게 풀어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양서원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02762
http://100.naver.com/100.nhn?docid=783180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1&docid=783002&qb=7Iuk7ZWZ7J2YIOuwsOqyvQ==&enc=utf8&pid=frvzysoi5TCsssAsAm4sss--216155&sid=SrDzyLapsEoAACPVOlw
이들은 이전 실학자들의 연구방법을 계승하면서도 학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 엄격하고 객관적 태도를 확립하고 순수한 학문적 차원에서 실학을 발전시키자는 모습으로 전환하였던 학파이다. 결과적으로 실사구시학파는 근대적. 실증적 과학연구태도를 확립하는데 공헌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학파의 사회개혁 요구는 탄압을 받고 지배층으로부터 배제되었고 이 때문에 경세치용적(經世致用的)인 유파는 거세되고 실사구시의 학문방법론이 추구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김정희(金正喜)이다. 그에 앞서 홍석주(洪奭周)는 성리학과 고증학을 조화시키는 방향에 섰지만, 김정희는 실사구시의 방법론과 실천을 역설하였다
<북학파>
조선 후기 실학의 한 분파로 상공업 발달을 중시하였다.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 북학파(北學派)라고도 불리는데 북학파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이들이 청나라 문물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실학은 조선 후기 특수한 사회적·경제적 상황 속에서 발생한 사상으로서 공리공담이 아닌 실질적인 것, 실제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이며 그것을 통해 현실을 개혁하려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이다. 나아가 실제 사회에 이용될 수 있는 이용후생의 학문이었다.
<서경> 대우모(大禹謨)에 수록된 '이용(利用)'이란 백성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각종 기계나 운송수단 등을 말하며, '후생(厚生)'이란 의복이나 식량 등을 풍부하게 하여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18세기 이후 실학의 흐름은 이익으로 대표되는 경세치용학파와 박지원·박제가·홍대용으로 대표되는 이용후생학파 및 완당 김정희에 이르러 일가를 이룩하게 된 실사구시학파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 세 유파가 제각기 학문분야를 달리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념과 방법에 있어서는 모두 당시의 관념적인 주자학의 세계에 매몰되지 않고 새로운 차원을 지향하여 실용과 실증을 창도했다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북학파의 개혁 상상은 농업에만 치우친 이상 국가론에서 탈피하여 부국강병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개화 사상의 등장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북학파의 사상이 형성된 배경으로는 조선 후기 사회의 상공업 발달과 청나라 문물의 수용, 그리고 서양 문물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 혁신 등이 부국강병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북학파 실학자들에게 깨우쳐 주었다.
참고문헌
우형효 외 (2009).
쉽게 풀어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양서원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02762
http://100.naver.com/100.nhn?docid=783180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1&docid=783002&qb=7Iuk7ZWZ7J2YIOuwsOqyvQ==&enc=utf8&pid=frvzysoi5TCsssAsAm4sss--216155&sid=SrDzyLapsEoAACPVOlw
추천자료
[교육철학요약, 교육철학] 교육철학 요점정리
[미국교육개혁][미국교육제도][미국교육과정][미국교육철학]미국교육의 목표, 미국교육의 제...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프레이리][프레이리교육철학][프레이리교육사상][의식화교육][대화의교육][해방의교육]프레...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소피스트, 그리스 아...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E)놀이가 유아교육에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논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 놀이가 유아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독일 루터 교육사상(교육철학), 독일 코메니우스 교육사상(교육철학), 독일 칸트 교육사상(교...
[교육관][교육철학]9율곡이이][남궁억][여성교육관][실존적 민족적 교육관]교육관의 분류, 교...
[교육철학적쟁점] 교육현장에서 교육방향에 대한 외재적 목적과 내재적 목적에 대한 쟁점 분...
[철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 01.고대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재건주의 교육 - 재건주의 교육이념, 재건주의 교육철학, 재건주...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분석철학 -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의 등장 배경, 논리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