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항암제
▶ 항암제의 정의
▶ 항암제의 분류
▶ 항암제의 역할 및 작용
▶ 항암제의 최근동향
(최신기사 & 뉴스)
Ⅱ. 버섯의 AHCC
▶ AHCC의 정의
▶ AHCC의 효능
▶ 면역과 AHCC의 상관관계
▶ AHCC에서 추출되는 인터로킨12란?
▶ 암치료시 현대의학의 AHCC응용
▶ 현대의학의 한계와 AHCC
▶ AHCC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
▶ AHCC의 개발 및 연구
▶ 항암제의 정의
▶ 항암제의 분류
▶ 항암제의 역할 및 작용
▶ 항암제의 최근동향
(최신기사 & 뉴스)
Ⅱ. 버섯의 AHCC
▶ AHCC의 정의
▶ AHCC의 효능
▶ 면역과 AHCC의 상관관계
▶ AHCC에서 추출되는 인터로킨12란?
▶ 암치료시 현대의학의 AHCC응용
▶ 현대의학의 한계와 AHCC
▶ AHCC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
▶ AHCC의 개발 및 연구
본문내용
있게 되는 것이다.
10. 암 환자가 AHCC를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AHCC를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2일 후에 NK세포의 활성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2주정도 후에는 72%정도로 활성이 상승하고 피크에 달하게 되는데 이때 암이 치유되는 경우도 있다. AHCC를 복용하는 것을 중지하더라도 NK세포의 활성은 2주정도 유지된다. AHCC는 강력한 면역세포 부활작용으로서 NK세포를 활성화시키며, NK세포뿐만 아니라 마크로파지의 활성 또한 증가시켜서 NK세포가 제거하지 못한 암 세포까지 제거한다.
11. 암 세포는 NK세포에 어떻게 대항합니까?
암 세포는 NK세포에 대항하여 반격을 하게 되는데 NK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독성물질을 방출하여 NK세포의 활성을 70%로 잃게한다. 그리고 이에 백혈구가 쇠약해지는데 암세포는 이 쇠약해진 백혈구를 제거한다.
AHCC의 개발 및 연구
1986. 4월 : AHCC개발 개시
1987. 4월 : 토오쿄대학 약학부 오까모또토시히꼬 명예교수와의 기초공동연구개시
1989. 4월 : 홋까이도립 공업시험장, 호까이도대학 농학부와의 공동연구 개시『담 자균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 식품에의 이용 』
1992. 7월 : AHCC에 의한 암환자 의 NK세포 활성화 보고
특수영양보조식품학회 UCLA Drew대학
전미 특수영양보조학회상 수상
1994. 8월 : 에이즈 환자의 AHCC면역요법 보고
제10회 국제 에이즈회의 (요꼬하마) UCLA Drew대학
1994.10월 : AHCC연구회 발족, 홋까이도대학 의학부, 테이꾜대학약학부, 쿄오린대 학, 칸사이의과대학을 비롯하여 국내연구기관,의료기관과 AHCC의 항 암 작용에 대해 본격적인 공동연구 개시
1996. 9월 : 암치료에 관한 AHCC의 효과 보고
제9회 일본 BRM학회, 쿄오린대학 제1외과 야기따아끼구니조교수
1996.10월 : AHCC에의한 인터루킨-12유도작용에 관한 공동연구 개시 쿄오린대 학 제1외과 야기따아끼구니 조교수
1997. 5월 : 간암 환자에 대한 AHCC의 면역요법, 제 32회 유럽외과학회
칸사이 의과대학 제1외과 타까이소이찌로 ,카미야마야스오 교수외
1997. 5월 : 담자균 배양추출물인 AHCC의 항변이원성 활성에 대해서
제4회 암예방 연구회 (주)아미노엎화학 손 보상외
1997. 5월 : Human natural IL-12 inducer 의 AHCC경구투여에 의한 진행.말기암 의 임 상적,기초적 검토 . 제10회 일본 BRM학회 학술집회 총회
킨끼대학동양의학 연구소 제1연구부문 야기따아끼구니교수외
1997. 8월 : 담자균 배양 추출물인 AHCC의 마우스4염화탄소 간장애모델에 관한 간 보호작용 Natural Medicines 51(4),310-315(1997)
(주)아미노엎화학 손 보상외
1998. 5월 : Human natural (Hn)IL-12 inducer를 이용한 신면역요법
제19회 암 면역외과 연구회
킨끼대학 동양의학 연구소 제1연구부문 야기따아끼구니교수외
1998. 5월 : [Effects of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in Both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cinomas]
Critical Appraissal of Unconventional/ Alternative Interventions for Carcinoma of the Prostate
B.Sun, K.Kosuna, Amino Up Chemical, Co.Ltd.
1998. 5월 : [Preventive Effect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
on the Recurrence of Postoperative Hepatocelluar Carcinoma Patients]
XXXⅢ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Surgical Research (ESSR)
H.Kitade, Y. Matsui, S.Takai, A.Imamura, Y.Kawaguchi, Y.Kamiyama, B.Sun, K.Kosuna
1998. 7월 : 담자균 배양출물 (AHCC)의 마크로퍼지 활성화 및 종양세포증식 억제 성분 제5회 일본 암예방 연구회 (주)아미노엎화학 가나쟈와쓰또무외
1998. 9월 : 마크로퍼지유도 및 혈중 암세포 증식억제에 의한 AHCC(담자균배양추 출물)의 활성물질 검색
제57회 일본 암학회 총회
AHCC의 보호효과 제57회 일본암학회 총회
(주)아미노엎화학 무까이다 토모미외
1998.10월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
4th Internationl Symposium on Predictive Oncology and Therapy
B.Sun, M.Fukuhara, K.Kosuna
1998.10월 :[간 세포암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AHCC 투여가 재발에 미치는영향] 제34회 일본 간암 연구회
칸사이 의과대학 제1외과 마쓰이요오이찌 외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제1회 일본 대체의료학회 학술총회
(주)아미노엎화학 손보상 외
1998.11월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 (NICE, FRANCE)
B. Sun , M. Fukuhara, K. Kosuna
1999. 3월 : Active Hexose Correlated Conpound(AHCC)의 스트렙토죠토신 유발 당뇨 병rat에 대한 효과
제119회 일본약학회 (주)아미노엎화학 와까메코오지 외
1999. 3월 :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애 경감효과
제119회 일본약학회
(주)아미노엎화학 손보상 외
10. 암 환자가 AHCC를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AHCC를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2일 후에 NK세포의 활성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2주정도 후에는 72%정도로 활성이 상승하고 피크에 달하게 되는데 이때 암이 치유되는 경우도 있다. AHCC를 복용하는 것을 중지하더라도 NK세포의 활성은 2주정도 유지된다. AHCC는 강력한 면역세포 부활작용으로서 NK세포를 활성화시키며, NK세포뿐만 아니라 마크로파지의 활성 또한 증가시켜서 NK세포가 제거하지 못한 암 세포까지 제거한다.
11. 암 세포는 NK세포에 어떻게 대항합니까?
암 세포는 NK세포에 대항하여 반격을 하게 되는데 NK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독성물질을 방출하여 NK세포의 활성을 70%로 잃게한다. 그리고 이에 백혈구가 쇠약해지는데 암세포는 이 쇠약해진 백혈구를 제거한다.
AHCC의 개발 및 연구
1986. 4월 : AHCC개발 개시
1987. 4월 : 토오쿄대학 약학부 오까모또토시히꼬 명예교수와의 기초공동연구개시
1989. 4월 : 홋까이도립 공업시험장, 호까이도대학 농학부와의 공동연구 개시『담 자균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 식품에의 이용 』
1992. 7월 : AHCC에 의한 암환자 의 NK세포 활성화 보고
특수영양보조식품학회 UCLA Drew대학
전미 특수영양보조학회상 수상
1994. 8월 : 에이즈 환자의 AHCC면역요법 보고
제10회 국제 에이즈회의 (요꼬하마) UCLA Drew대학
1994.10월 : AHCC연구회 발족, 홋까이도대학 의학부, 테이꾜대학약학부, 쿄오린대 학, 칸사이의과대학을 비롯하여 국내연구기관,의료기관과 AHCC의 항 암 작용에 대해 본격적인 공동연구 개시
1996. 9월 : 암치료에 관한 AHCC의 효과 보고
제9회 일본 BRM학회, 쿄오린대학 제1외과 야기따아끼구니조교수
1996.10월 : AHCC에의한 인터루킨-12유도작용에 관한 공동연구 개시 쿄오린대 학 제1외과 야기따아끼구니 조교수
1997. 5월 : 간암 환자에 대한 AHCC의 면역요법, 제 32회 유럽외과학회
칸사이 의과대학 제1외과 타까이소이찌로 ,카미야마야스오 교수외
1997. 5월 : 담자균 배양추출물인 AHCC의 항변이원성 활성에 대해서
제4회 암예방 연구회 (주)아미노엎화학 손 보상외
1997. 5월 : Human natural IL-12 inducer 의 AHCC경구투여에 의한 진행.말기암 의 임 상적,기초적 검토 . 제10회 일본 BRM학회 학술집회 총회
킨끼대학동양의학 연구소 제1연구부문 야기따아끼구니교수외
1997. 8월 : 담자균 배양 추출물인 AHCC의 마우스4염화탄소 간장애모델에 관한 간 보호작용 Natural Medicines 51(4),310-315(1997)
(주)아미노엎화학 손 보상외
1998. 5월 : Human natural (Hn)IL-12 inducer를 이용한 신면역요법
제19회 암 면역외과 연구회
킨끼대학 동양의학 연구소 제1연구부문 야기따아끼구니교수외
1998. 5월 : [Effects of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in Both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cinomas]
Critical Appraissal of Unconventional/ Alternative Interventions for Carcinoma of the Prostate
B.Sun, K.Kosuna, Amino Up Chemical, Co.Ltd.
1998. 5월 : [Preventive Effect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
on the Recurrence of Postoperative Hepatocelluar Carcinoma Patients]
XXXⅢ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Surgical Research (ESSR)
H.Kitade, Y. Matsui, S.Takai, A.Imamura, Y.Kawaguchi, Y.Kamiyama, B.Sun, K.Kosuna
1998. 7월 : 담자균 배양출물 (AHCC)의 마크로퍼지 활성화 및 종양세포증식 억제 성분 제5회 일본 암예방 연구회 (주)아미노엎화학 가나쟈와쓰또무외
1998. 9월 : 마크로퍼지유도 및 혈중 암세포 증식억제에 의한 AHCC(담자균배양추 출물)의 활성물질 검색
제57회 일본 암학회 총회
AHCC의 보호효과 제57회 일본암학회 총회
(주)아미노엎화학 무까이다 토모미외
1998.10월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
4th Internationl Symposium on Predictive Oncology and Therapy
B.Sun, M.Fukuhara, K.Kosuna
1998.10월 :[간 세포암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AHCC 투여가 재발에 미치는영향] 제34회 일본 간암 연구회
칸사이 의과대학 제1외과 마쓰이요오이찌 외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제1회 일본 대체의료학회 학술총회
(주)아미노엎화학 손보상 외
1998.11월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 (NICE, FRANCE)
B. Sun , M. Fukuhara, K. Kosuna
1999. 3월 : Active Hexose Correlated Conpound(AHCC)의 스트렙토죠토신 유발 당뇨 병rat에 대한 효과
제119회 일본약학회 (주)아미노엎화학 와까메코오지 외
1999. 3월 :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애 경감효과
제119회 일본약학회
(주)아미노엎화학 손보상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