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판소리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판소리에 대하여
(1) 판소리의 정의
(2) 텍스트 문제
(3) 신재효에 대하여
Ⅰ. 춘향가
1) 신이하게 태어남
2) 통과의례
3) 회복
Ⅱ. 박타령
1. 『흥보가』의 이원론적 세계

본문내용

는 징계를 받게 되는 것이다.
흥보와 놀보의 선악의 결과는 흥보는 부자가 되고 놀보는 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난한 흥보의 꿈은 부자가 되는 거신데, 그가 살고 있는 현실계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기에 초현실계에서 이루게 되는 것으로 설정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제비이다. 또 욕심이 지나친 놀보를 불행하게 만드는 것은 그를 가난하게 하는 것인데, 그 또한 현실계에서는 불가능하므로 제비를 통하여 초현실계에서 그를 꼼짝없이 망하게 하고 만다. 결국 놀보는 재물을 다 빼앗겨 망하게 되고 목숨까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게 되자 그제서야 물질보다 더 중요한 것이 영적인 것, 즉 형제의 우애와 선한 삶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2) 超現實界
(가) 샤먼으로서의 제비의 의미
이 작품에서 사건의 전환을 가져오는 기능을 한 것은 '제비'의 출현이다. 제비는 강남에서 노정길을 밟아 흥보와 놀보의 집으로 와서 흥보 놀보의 각각의 대접을 받고 그들에게 알맞은 보상과 징벌을 내리고 다시 강남으로 돌아간다. 대체 제비가 어떤 동물이기에 이처럼 엄청난 위력을 갖고 있는가 하는 문제와, 또한 제비라는 동물이 그런 일을 할 수 있다고 믿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를 밝혀 보는 것이 작품에 숨겨진 본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관건이라 본다.
제비는 새이지만, 작품 가운데에서 새 이상의 상징 의미를 지니고 작품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새가 영혼의 상징으로 이해되는 것은 세계 보편적이다. 여기에서 새들은 모두 현실계와 사후세계를 오가는 매개물로 나온다. 작품에서, 빈곤한 불행에서 부유한 행복의 길로 인도해 줄 재물이 나오는 박씨를 물어다 준 것은 제비였다. 제비가 오고 간 강남은 실제적 공간이라기 보다는 상상적 관념적 공간인 피안의 세계인 것이다. 강남은 '강의 남쪽' 즉 물건너의 세계로, 이 세계는 인간이 갈 수 없는 신의 세계이다. 제비가 직접 흥보에게 재물을 주어 부자가 되게 하지는 못하는 것이 바로 신 자체가 아니라 신의 매개자, 신의 전달자인 샤먼의 역할을 하는 이유에서이다. 제비는 화복을 주관할 수 있는 사자의 존재인 것이다.
(나) 박의 象徵意味
박은 둥근 원이다. 원은 '무한대, 우주, 일체의 것'을 상징한다. 원은 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은 신의 상징인 것이다. 그러므로 작품에서의 원은 유한한 인간의 세계가 아니라, 무한한 신의 세계를 상징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영원한 신의 세계는 바로 사후에 간다고 생각되는, 강남에 있는 저승을 의미한다. 둥근 원을 그려내는 강강수월래가 '죽음을 뚫고 다시 부활하기 위한 춤'이라는 사실은 이의 한 방증이 될 수 있다.
『박타령』이 보은이나, 報讐의 수단으로 둥근 박을 택한 것은 우리 민족의 슬기에 속하는 일이다. 보은의 상찡적인 의미로 영원한 세계를 상징하는 둥근 박을 능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둥근 것은 영원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비와 마찬가지로 우리 서민들이 흔히 대할 수 있는 정취 있는 박을 선택한 것은 그 상징성에서나 민족적 정서에 있어서 뛰어난 기법이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작품에서 박은 흥보의 선량한 성품에는 보은을 하고, 대신 놀보의 불량한 성품에는 報讐를 한다. 박은 바로 이승의 공과를 심판 받는 저승의 세계로 상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박은 선량한 자에게는 사후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그리고 불량한 자에게는 반대로 절망을 안겨주는 것이 그 본래의 기능이라고 할 것이다.
목 차
판소리에 대하여
(1) 판소리의 정의
(2) 텍스트 문제
(3) 신재효에 대하여
Ⅰ. 춘향가
1) 신이하게 태어남
2) 통과의례
3) 회복
Ⅱ. 박타령
1. 『흥보가』의 이원론적 세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