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의 특질 기준 세우기-풍부한 웃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풍자와 해학(희극미)와 교훈적인 부분
1. `봉산탈춤`<노장과장>과 <양반과장>에서 노장과 양반의 허위 의식 비판
2. 정약용의 한시(哀絶陽 등)에 보이는 사회 비판
3. 채만식의 `태평천하`에서의 식민지 중산층 비판-판소리 문체
4. `아리랑 타령` 등 민요에서의 현실 비판
5.박지원의 양반전
6.김유정의 작품 ‘봄 봄’
7.이춘풍전

본문내용

대해
나열하기 시작한다. 다 듣기도 전에 부자는 도둑이나 진배없는 양반이라며 도망을 쳐서는,
죽을 때까지 아예 양반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도 않았다고 한다.
핵심정리
형식 : 한문소설, 단편소설, 풍자소설
문체 : 번역체, 산문체, 문어체
주제 : 양반들의 공허한 관념비생산성 특권 의식에 대한 비판, 양반에 대한 비판과 자아 각성
6.봄 봄
데릴사위로 장인 지벵서 일을 시작한 지 3년이 넘었건만,
장인은 아직도 성례시켜 줄 생각을 하지 않는다. 말을 꺼낼
때마다 점순이가 아직 작아서 안된다는 말만 되풀이 할 뿐이다.
요즘에는 점순이가 성례시켜 달라는 말도 하지 못하느냐고 나를
채근하기도 한다. 그래서 장인을 끌고 구장 집에 가 보았지만 먼저
열심히 일이나 하라는 말을 듣는다. 다음 날은 아프다고 드러누워
버렸다. 장인은 독기를 품고 나를 대리고, 점순이가 지켜보고 있음을
의식한 나도 장인의 바지 가랭이를 붙들고 늘어진다. 장인이 죽는
소리를 니자 장모아 점순이가 뛰어 나온다. 그리고 "이게 아버지를
죽이려고 하네."라고 말하면서 내 귀를 잡아당기는 점순을,
나는 아무래도 이해할 수 없었다.
핵심 정리
갈래 : 단편 소설
배경 : 시간(1930년대). 공간(강원도 산골)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표현 : 해학적
7.이춘풍전
이춘풍이 성묘하고 돌아오다 불량배들에게 붙잡혀 봉변을 당하는 대목
『 나이가 저희 할애비 동갑이라도 의례이 하대하고, 가진 교만을 다 부린다니 그런 발
락을 젖힐 놈의 새끼가 어디 있으며, 동홍 때 학흉배는 하늘이 제수 하였는지 저희 혼자
지하고, 사인교 평교자는 포도청에 갇힌 모양이라 우리가 부럽지도 않으나 우리는 못 타
하옴이 절분하옵고, 도포조차 저희만 입으니 도무지 욕지거리가 나서 못 견디겠으니 그런
개자식들이 어디 있겠습니까. 중략. 선생님은 무슨 뾰죽한 꾀로 정승의 증손자요 판서의
자요 판서의 아들로 벼슬에 뜻이 없이 쪼그리고 앉아 밤낮으로 공자 맹자 탱자이니, 시전
서전 딴전이니 하고 앉아 무엇을 빨아먹고 좋은 벼슬을 시켜도 아니하시니 그렇게 싫은
슬 우리나 좀 시켜 주시오. 어쩌구저쩌구. 』
핵심정리
작자: 미상
연대: 모름(19세기 이후)
갈래: 판소리계 소설, 풍자소설
표현: 판소리 사설의 문체
주제: 진취적 여성상의 제시, 새로운 인간형의 추구
국문학개론 보고서
각자의
국문학의 특질 기준 세우기
제출일 :
담당 교수님 :
학번/학과
이 름 :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