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Ⅰ. 과업 목적 및 기본 전략 ---------- P. 1
1. 과업 배경 및 목적 -------- P. 1
2. 과업의 범위 ------ P. 3
3. 마을 소개 및 추진 방향 --------- P. 4
4. SWOT 분석 -------- P. 5
5. STP 분석 -------- P. 6
6. 수요조사 및 사업타당성 분석 -------- P. 9
7. 가격 전략 -------- P. 10
Ⅱ. 도자기 마을 중장기 전략 ---------- P. 13
1. 도입기 ---------- P. 13
2. 확산기 ---------- P. 13
3. 정착기 ---------- P. 14
Ⅲ. 도자기 마을 기본 구상 ---------- P. 15
1. 기본 계획 ---------- P. 15
2. 시설 계획 ---------- P. 15
3. 운영 계획 ---------- P. 18
Ⅳ. 도자기 마을 구체적 사업 계획 ---------- P. 21
1. 시설 ---------- P. 21
2. 각종 영업 활동 및 프로그램 ---------- P. 33
3. 민속놀이 한마당 ---------- P. 44
4. 조경 ---------- P. 47
Ⅴ. 관리 운영 계획 ---------- P. 49
1. 마을 협력체 조직 ---------- P. 49
Ⅵ. 기대 효과 ---------- P. 50
1. 사회인문적 효과 --------
2. 환경적 효과 ---------- P. 51
3. 경제적 효과 ---------- P. 51
1. 과업 배경 및 목적 -------- P. 1
2. 과업의 범위 ------ P. 3
3. 마을 소개 및 추진 방향 --------- P. 4
4. SWOT 분석 -------- P. 5
5. STP 분석 -------- P. 6
6. 수요조사 및 사업타당성 분석 -------- P. 9
7. 가격 전략 -------- P. 10
Ⅱ. 도자기 마을 중장기 전략 ---------- P. 13
1. 도입기 ---------- P. 13
2. 확산기 ---------- P. 13
3. 정착기 ---------- P. 14
Ⅲ. 도자기 마을 기본 구상 ---------- P. 15
1. 기본 계획 ---------- P. 15
2. 시설 계획 ---------- P. 15
3. 운영 계획 ---------- P. 18
Ⅳ. 도자기 마을 구체적 사업 계획 ---------- P. 21
1. 시설 ---------- P. 21
2. 각종 영업 활동 및 프로그램 ---------- P. 33
3. 민속놀이 한마당 ---------- P. 44
4. 조경 ---------- P. 47
Ⅴ. 관리 운영 계획 ---------- P. 49
1. 마을 협력체 조직 ---------- P. 49
Ⅵ. 기대 효과 ---------- P. 50
1. 사회인문적 효과 --------
2. 환경적 효과 ---------- P. 51
3. 경제적 효과 ---------- P. 51
본문내용
를 배운다.
- 다도 교실 배움 내용
· 차의 재료
· 차 마시는 법
· 차의 이로운 점 15가지 배우기
3) 절하기
- 부모님께 절을 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운다.
- 예를 갖추는 법을 배우고, 부모님을 공경하는 법을 배운다.
- 절하기의 배움 내용
· 절의 의미
· 절의 분류
· 절하는 법
4. 체험 프로그램
1) 자연염색하기
- 자연염색은 외국인에게 더욱 인기
- 자연의 색인 쪽을 직접 재배하여 염료를 제조
- 자연을 느낄 수 있고, 전통의 미를 배울 수 있음
1) 떡과 함께 하는 놀이
- 인절미 떡치기, 화전 빚기를 통해 어린이와 어른들이 전통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체험비는 따로 받는다.
- 사전 예약하여야 한다.
Ⅳ. 조경
1. 기본구상
본 마을은 서남쪽 → 북동쪽으로 경사가 생기며 마을 중앙에서 입구까지 북동쪽으로 200m정도 도로로 양분되어 대지의 특수성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각 지역의 공간계획에 있어서 표고 차를 이용한 외부경관을 구성하고 또한 각 지역의 조경계획은 녹지의 연결성을 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숙박시설→중앙공원→체험시설로 연결되는 보행길이 주변을 감상할 수 있는 계획과, 상가시설과 산책로를 연결하여 휴식하며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분할된 각 지역을 동작의 연속성으로 묶어 활동공간의 영역을 넓힌다.
식재 부문은 가급적 수관 폭이 넓고 우리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경제성 수종으로서 유지 관리를 고려한 수종과 수관의 SKY LINE과 색감, 질감이 공간분위기에 어울리도록 하였다.
2. 설계목적
자연재료를 조화 있게 구성 배치하여 연계성 있는 옥외공간 창출과 각 생활공간을 기능적, 경관적으로 처리하여 손님들의 옥외 활동 폭을 높임으로서 다른 손님들과의 대화, 마을 주민들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각종 편의시설 및 유희시설물을 적재적소에 설치하여 체험활동생활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연계녹지로 풍부한 휴게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의 피로를 달래고 가족의 화합을 도모한다.
3. 지역별 조경계획
1) 숙박시설
- 주거시설 측면과 앞면 그리고 뒷면에는 경관수를 선택 식재하며 옆 건물과의 경계부분은
상록관목 및 교목으로 분기점을 형성한다. 1층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주변환경을 고려
하며 식재한다.
※ 선정수종
가이즈까 향나무, 옥향, 연산홍, 수수꽃다리, 청단풍, 목련
2) 체험시설
-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한 체험시설 주위에는 낮은 관목으로 생울타리를 조성하
여 안정된 분위기에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체험시설은 가급적 목재와 황토를 사용하여 흙 냄새가 나도록 한다.
※ 선정수종
쥐똥나무, 목련, 옥매화, 장미, 수수꽃다리, 회향목, 주목, 독일가문비
3) 보행로
- 주 보행로는 14m폭에서 좌우4m씩 8m를 제외한 6m로서 좌우4m에는 벤치시설 및 녹음수
를 식재한다. 간이 휴게시설 놓는다,
- 녹음수의 2열 병렬식재로서 녹지의 연결감을 부여한다.
- 도로의 결실점은 동선의 교차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휴게공간 구성하고 가로장치물 설 치 등으로 변화 있는 경관미를 부여한다.
※ 선정수종
회양목, 영산홍, 청단풍
4) 중앙공원
- 숙박시설→중앙공원→체험시설로 연결되는 녹지의 흐름 중앙에 있는 중앙공원에는 잔디보호
책을 설치하지 않고 개방함으로써 잔디에서 놀고 뒹굴 수 있는 활동공간을 부여하여 녹지공
간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선정수종
꽃사과, 목련, 적송, 둥근향, 자귀나무, 박태기, 산철쭉, 옥매화, 장미
수수꽃다리, 회향목, 주목, 독일가문비,
5) 주차장
- 내공해성 수종으로서 그늘을 조성할 수 있는 수관과 질감을 갖춘 녹음식재와 입구 및 외전부분에 는 운전자의 시선장애가 없도록 낮은 관목으로 처리한다.
※ 선정수종
버즘나무. 은행나무, 가중나무, 둥근향, 눈향, 산철쭉, 회화나무
6) 기타(복합건물, 상가주변)
- 보행동선의 교차가 빈번하며 다양한 형태가 발생하는 지역이므로 필요시설물 이외의 설치는 피하 고 방향 및 시선 유도를 위한 식재를 계획한다.
※ 선정수종
느티나무, 적송, 회양목, 청홍단풍, 은행, 산철쭉, 목련
회향목
쥐똥나무
가문비 나무
단풍나무
주목
가중나무
철쭉
수수꽃다리
옥매화
박태기
자귀나무
연산홍
옥향
Ⅰ. 마을 협의체 조직
마을 조성 및 관리에 마을 주민이 직접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수단
o 지역 전문가 및 공무원 참여
o 주민들의 개인적 역할과 특성에 따른 분업화 주민들의 적극적 의사 반영
o 마을 관리의 중심적 역할 수행
1. 구 성
o 마을 주민 : 4 ~ 6인
o 공무원 : 2 ~ 3인
o 도자기 전문가(마을 내 · 외부) : 1인
o 지역 전문가 : 1 ~ 2인
2. 발족 시기 : 사업이 시작되기 이전인 2004년 1월경
3. 역 할
o 마을 사업 운영(도자기 거리, 주차장, 체험장, 숙박지역에 대한 전반적 관리
및 방문객 영업, 교육, 관리)
o 마을홍보 및 기획(구전 광고, 홈페이지 운영, 각종 프로그램 개발)
4. 공 간
- 도자기 체험관 내 관리 사무소 운영
Ⅰ. 사회 · 인문적 효과
1. 도자기를 테마로 한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전개와 함께 '흙 속에
사는 마을' 사업은 기존 이천 사기막골이 다른 마을과 차별된 독특한 개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2. 마을 전체의 관광상품으로써의 기능과 함께 주민의 공공복지 증진 및 생활환경
개선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3. 전통문화를 테마로 한 마을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마을 주민의 애향심 및 자긍심 고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Ⅱ. 환경적 효과
1.'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의 추진은 이천 사기막골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환경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이번 '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을 계기로 마을의 생활환경 및 생산환경까지
친환경적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
Ⅲ. 경제적 효과
1.'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의 추진은 마을주민의 기존 생산활동 외에 방문객
유치를 통한 부수입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업 추진을 통한 지역 이미지 제고와 함께 1차산업 중심의 마을의 생산구조가
개선될 것이다.
- 다도 교실 배움 내용
· 차의 재료
· 차 마시는 법
· 차의 이로운 점 15가지 배우기
3) 절하기
- 부모님께 절을 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운다.
- 예를 갖추는 법을 배우고, 부모님을 공경하는 법을 배운다.
- 절하기의 배움 내용
· 절의 의미
· 절의 분류
· 절하는 법
4. 체험 프로그램
1) 자연염색하기
- 자연염색은 외국인에게 더욱 인기
- 자연의 색인 쪽을 직접 재배하여 염료를 제조
- 자연을 느낄 수 있고, 전통의 미를 배울 수 있음
1) 떡과 함께 하는 놀이
- 인절미 떡치기, 화전 빚기를 통해 어린이와 어른들이 전통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체험비는 따로 받는다.
- 사전 예약하여야 한다.
Ⅳ. 조경
1. 기본구상
본 마을은 서남쪽 → 북동쪽으로 경사가 생기며 마을 중앙에서 입구까지 북동쪽으로 200m정도 도로로 양분되어 대지의 특수성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각 지역의 공간계획에 있어서 표고 차를 이용한 외부경관을 구성하고 또한 각 지역의 조경계획은 녹지의 연결성을 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숙박시설→중앙공원→체험시설로 연결되는 보행길이 주변을 감상할 수 있는 계획과, 상가시설과 산책로를 연결하여 휴식하며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분할된 각 지역을 동작의 연속성으로 묶어 활동공간의 영역을 넓힌다.
식재 부문은 가급적 수관 폭이 넓고 우리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경제성 수종으로서 유지 관리를 고려한 수종과 수관의 SKY LINE과 색감, 질감이 공간분위기에 어울리도록 하였다.
2. 설계목적
자연재료를 조화 있게 구성 배치하여 연계성 있는 옥외공간 창출과 각 생활공간을 기능적, 경관적으로 처리하여 손님들의 옥외 활동 폭을 높임으로서 다른 손님들과의 대화, 마을 주민들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각종 편의시설 및 유희시설물을 적재적소에 설치하여 체험활동생활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연계녹지로 풍부한 휴게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의 피로를 달래고 가족의 화합을 도모한다.
3. 지역별 조경계획
1) 숙박시설
- 주거시설 측면과 앞면 그리고 뒷면에는 경관수를 선택 식재하며 옆 건물과의 경계부분은
상록관목 및 교목으로 분기점을 형성한다. 1층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주변환경을 고려
하며 식재한다.
※ 선정수종
가이즈까 향나무, 옥향, 연산홍, 수수꽃다리, 청단풍, 목련
2) 체험시설
-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한 체험시설 주위에는 낮은 관목으로 생울타리를 조성하
여 안정된 분위기에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체험시설은 가급적 목재와 황토를 사용하여 흙 냄새가 나도록 한다.
※ 선정수종
쥐똥나무, 목련, 옥매화, 장미, 수수꽃다리, 회향목, 주목, 독일가문비
3) 보행로
- 주 보행로는 14m폭에서 좌우4m씩 8m를 제외한 6m로서 좌우4m에는 벤치시설 및 녹음수
를 식재한다. 간이 휴게시설 놓는다,
- 녹음수의 2열 병렬식재로서 녹지의 연결감을 부여한다.
- 도로의 결실점은 동선의 교차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휴게공간 구성하고 가로장치물 설 치 등으로 변화 있는 경관미를 부여한다.
※ 선정수종
회양목, 영산홍, 청단풍
4) 중앙공원
- 숙박시설→중앙공원→체험시설로 연결되는 녹지의 흐름 중앙에 있는 중앙공원에는 잔디보호
책을 설치하지 않고 개방함으로써 잔디에서 놀고 뒹굴 수 있는 활동공간을 부여하여 녹지공
간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선정수종
꽃사과, 목련, 적송, 둥근향, 자귀나무, 박태기, 산철쭉, 옥매화, 장미
수수꽃다리, 회향목, 주목, 독일가문비,
5) 주차장
- 내공해성 수종으로서 그늘을 조성할 수 있는 수관과 질감을 갖춘 녹음식재와 입구 및 외전부분에 는 운전자의 시선장애가 없도록 낮은 관목으로 처리한다.
※ 선정수종
버즘나무. 은행나무, 가중나무, 둥근향, 눈향, 산철쭉, 회화나무
6) 기타(복합건물, 상가주변)
- 보행동선의 교차가 빈번하며 다양한 형태가 발생하는 지역이므로 필요시설물 이외의 설치는 피하 고 방향 및 시선 유도를 위한 식재를 계획한다.
※ 선정수종
느티나무, 적송, 회양목, 청홍단풍, 은행, 산철쭉, 목련
회향목
쥐똥나무
가문비 나무
단풍나무
주목
가중나무
철쭉
수수꽃다리
옥매화
박태기
자귀나무
연산홍
옥향
Ⅰ. 마을 협의체 조직
마을 조성 및 관리에 마을 주민이 직접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수단
o 지역 전문가 및 공무원 참여
o 주민들의 개인적 역할과 특성에 따른 분업화 주민들의 적극적 의사 반영
o 마을 관리의 중심적 역할 수행
1. 구 성
o 마을 주민 : 4 ~ 6인
o 공무원 : 2 ~ 3인
o 도자기 전문가(마을 내 · 외부) : 1인
o 지역 전문가 : 1 ~ 2인
2. 발족 시기 : 사업이 시작되기 이전인 2004년 1월경
3. 역 할
o 마을 사업 운영(도자기 거리, 주차장, 체험장, 숙박지역에 대한 전반적 관리
및 방문객 영업, 교육, 관리)
o 마을홍보 및 기획(구전 광고, 홈페이지 운영, 각종 프로그램 개발)
4. 공 간
- 도자기 체험관 내 관리 사무소 운영
Ⅰ. 사회 · 인문적 효과
1. 도자기를 테마로 한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전개와 함께 '흙 속에
사는 마을' 사업은 기존 이천 사기막골이 다른 마을과 차별된 독특한 개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2. 마을 전체의 관광상품으로써의 기능과 함께 주민의 공공복지 증진 및 생활환경
개선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3. 전통문화를 테마로 한 마을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마을 주민의 애향심 및 자긍심 고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Ⅱ. 환경적 효과
1.'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의 추진은 이천 사기막골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환경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이번 '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을 계기로 마을의 생활환경 및 생산환경까지
친환경적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
Ⅲ. 경제적 효과
1.'흙 속에 사는 마을'사업의 추진은 마을주민의 기존 생산활동 외에 방문객
유치를 통한 부수입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업 추진을 통한 지역 이미지 제고와 함께 1차산업 중심의 마을의 생산구조가
개선될 것이다.
추천자료
국내의 기존 농산어촌의 개발 평가
해저 테마 수족관 경영 개발 사례
Green Tourism에 의한 산촌마을 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고래를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 마산시 진동면 부동산 개발 Project
(광 상품 개발) 영화 또는 드라마를 관광 상품으로 활용
[관광 사업 개발 사업계획서] 경기도 파주시에 복합적 시설을 가지고 있는 뮤지컬 리조트를 ...
[관광학]관광자원개발(노원구)
한국 테마파크 관광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크루즈관광의 사례와 관광상품 개발
관광(문화)개발 계획
젊음의 도시 Cairns -해외 해안관광개발 사례(Cairns)
[농업관광] 농업과 관광개발(농업과 관광의 접목)
[리조트형 실버타운 개발]고령화사회와 관광산업의 대응, 리조트 컨셉과 실버타운, 리조트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