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정의
구조
종류 및 적응증
시술 후 관리
구조
종류 및 적응증
시술 후 관리
본문내용
*적응증
심근경색증을 갖고 있는 완전 방실 블럭이나 진행 된 2도 방실블럭
증상이 있는 서맥을 동반한 2도 방실블럭 type II 또는 간헐적인 완전 방실블럭
심한 증상이 있는 서맥과 관련된 동방결절의 기능장애
실신을 동반하는 동방결절 증후군 (sick Sinus Syndrome)
: 동방 결절의 이상으로 심장을 너무 빨리 뛰게 하거나 너무 늦게 뛰게 하거나 때론 두 가지가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경우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상심실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 동성빈맥, 심방성빈맥, 심방세동, 심빈맥등
*시술후간호
인공심박동기의 관리
매일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맥박 잴 것
맥박이 심박동기에 조정해 놓은 횟수보다 느리면 의사에게
알릴 것
심계항진, 현기증, 실신이 일어날 때 즉시보고
고압전류, 자력의 범위 안 이나 방사선의 영향 아래에서는 고장 위험이 있으므로 피할 것
축구나 기타운동으로 박동기 전원에 무딘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할 것
간혹 도난방지장치를 설치해 놓은 가게에 가면 심계항진, 현기증, 실신 등의 심박동기장애 증상이 나타나면 점원에게 심박동기에 대하여 알려주고 그 장소를 빨리 떠 날 것
*permenet pacemakers
영구적으로 삽입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할 때는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전원 삽입 부위, 자극의 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
심근경색증을 갖고 있는 완전 방실 블럭이나 진행 된 2도 방실블럭
증상이 있는 서맥을 동반한 2도 방실블럭 type II 또는 간헐적인 완전 방실블럭
심한 증상이 있는 서맥과 관련된 동방결절의 기능장애
실신을 동반하는 동방결절 증후군 (sick Sinus Syndrome)
: 동방 결절의 이상으로 심장을 너무 빨리 뛰게 하거나 너무 늦게 뛰게 하거나 때론 두 가지가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경우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상심실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 동성빈맥, 심방성빈맥, 심방세동, 심빈맥등
*시술후간호
인공심박동기의 관리
매일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맥박 잴 것
맥박이 심박동기에 조정해 놓은 횟수보다 느리면 의사에게
알릴 것
심계항진, 현기증, 실신이 일어날 때 즉시보고
고압전류, 자력의 범위 안 이나 방사선의 영향 아래에서는 고장 위험이 있으므로 피할 것
축구나 기타운동으로 박동기 전원에 무딘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할 것
간혹 도난방지장치를 설치해 놓은 가게에 가면 심계항진, 현기증, 실신 등의 심박동기장애 증상이 나타나면 점원에게 심박동기에 대하여 알려주고 그 장소를 빨리 떠 날 것
*permenet pacemakers
영구적으로 삽입
-영구적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할 때는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전원 삽입 부위, 자극의 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